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19

정조의 탕평정치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사도세자의 죽음을 둘러싼 것이 배경인건 알겠는데요. 정조의 탕평정치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고 싶어서요. 그리고 탕평정치가 사회개혁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도 궁금해요. 아시는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탕평책은 정조의 개혁 정책입니다.

    사도세자의 죽음을 둘러싸고 벌어진 시파와 벽파의 갈등으로 더욱 강력한 탕평책을 추진하였습니다. 먼저 척신과 환관을 제거하고 의리와 명분에 합치되는 능력이 있는 사람을 중용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초계 문신제 시행을 통하여 신진 인물 및 하급관리에 대한 재교육을 통하여 왕권을 강화하려 하였습니다. 정조는 규장각을 국왕의 권력과 정책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정치 기구로 육성하려 하였습니다. 또한 장용영을 설치하여 국왕의 친위부대로 군사적 기반을 강화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었습니다.

    정조는 화성을 이상 정치를 실현하는 상징적 도시로 육성하고 정치적·군사적 기능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그 밖에 수령권을 강화하여 수령이 향약을 주관하며 지방 사족의 향촌 지배력을 억제하려 하였다. 이는 국가의 지방 통치력이 강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정조는 그 외에도 많은 문물 제도를 정비하였다. 서얼과 노비의 차별을 완화하고 능력 있는 인재를 등용하려 하였다. 또한 상인의 자유로운 상업 행위를 허용하는 신해통공을 통해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상인들의 금난전권을 폐지하였다. 중국과 서양의 과학 기술을 수용하고, 「고금 도서집성」을 수입하였다. 편찬사업으로는 「대전통편」·「동문휘고」·「탁지지」·「추관지」·「무예도보통지」를 편찬하였다. 하지만 정조의 이러한 통치는 왕의 개인적인 역량에 의존하여 안정적인 유지가 불가능하였다는 한계를 지녔다.

    탕평정책의 의미와 한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탕평책은 정국의 파탄을 수습하기 위해 제시되었다. 그것은 정치 세력을 재조정할 수 있는 선에서 효력을 발휘하기는 하였어도, 사회 변동의 충격을 바로 흡수하지 못하였다. 탕평책이 추구된 18C는 17C에 이어서 사회 경제적 변동이 더욱 심화되어 사회 계급간의 대립과 마찰 등 혼란이 크게 일어나고 있었다. 부세(賦稅)의 가중에 따라 나타난 불만은 때로 정치권에 대한 도전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따라서 영조는 지배층 내부의 안정과 결속을 다지는 한편으로 민심을 수습할 수 있는 방책을 강구하지 않을 수 없었는데, 그 구체화가 탕평책이라고 하겠다.
    탕평책은 정국 안정에는 기여한 바 있었지만, 불만이 고조되어 있던 기층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왜냐하면 이 시기에 이르면 근본적 해결책이 강구되지 않고서는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풀어질 수 없을 만큼 사회의 구조적 모순이 극도로 심화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군주는 정권을 유지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어느 정도 양보하는 차원에서 일시적으로나마 기층민을 무마하고자 하였다. 예컨대 균역법(均役法) 실시, 통공정책 추진 등이 그러한 조치였다. [최완기 〈붕당정치의 전개와 정국의 변화〉, 〈한국사 9〉, 한길사. 내용요약.]

    [네이버 지식백과] 정조의 탕평정치 (통합논술 개념어 사전, 2007. 12. 15., 한림학사)


  •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23.04.19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새로운 정치이므로 영조입니다 정조는 영조의 탕평을 계승해서 준론 탕평을 펼쳤습니다.

    영조와 정조는 탕평정치를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자 했습니다.

    영조는 각 붕당의 정치명분 즉, 의리론을 인정하지 않고, 당파적인 입장에서 떠날 것을 요구했습니다.

    반면, 정조는 노론, 소론, 남인 각각의 의리론을 인정하면서도 국왕의 의리론도 주장하였습니다. 이른바 '의리탕평론'이라 하겠습니다.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 정조왕은 영조왕의 탕평책을 이어받아 완성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척신과 환관을 제거하고 능력 있는 사람을 중용하면서 파벌정치가 아닌

    능력 중심 정치를 시도한 것입니다.

    규장각을 설치하여 왕과 권력과 정책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정치 기구로 육성한 것을 두고 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