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참과 진리는 같은 것일까요? 다르다면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참이라는 사전적 의미는 사실이나 이치에 조금도 어긋남이 없는것 이라 합니다.진리는참된 이치다즉 거짓이 아니면 진실이라는 것이다.그러면 이두가지를 종교에서 쓰는이유는 하나의 믿음을 강조 하기 위함이 아닐까 합니다.그러므로 이 두가지는 거의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철학
22.10.13
0
0
노자의 도덕경의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도덕경의 사상은 혼란한 시기에 역경에 빠져있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삶의 수양서로서 민간신앙과 어울리면서 피 지배계층의에게 호소력을 지닌 사상과 세계관을 심어주는 내용 입니다.노자, 또는 도덕경이라 하며 5,000자 정도로 되어 있습니다.
학문 /
철학
22.10.13
0
0
조선 고종황제는 어떻게 돌아가셨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제 강점기 시대 고종은 갑작스레 68 세의 나이로 죽었습니다.명성황후가 시해되고 고종은 나라를 빼앗인지 10년만에 독살되었다는 주장이 강합니다.그의 음식을 전담하던 상궁두명도 차후 살해되었다고 합니다.그러나 일본에 의하여 지배되고 있는 상홤에 이 사건의 진실은 확인 하기 힘듭니다.그는 중미 영사관을 설립하였고 대한제국 설립 소련이 일본에게 패하여 중립국 선언을 하고 헤이특사를 파견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리려 했으나 결국은 실패하였습니다.국력이 강해야 합니다.과거나 현제나요
학문 /
역사
22.10.13
0
0
기독교 중에 감리교와 장로교. 성결교등이 있는데요. 무슨 차이가 있는 것 일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종교 개혁이후 다양한 교파들이 나누어지고 생겨 났습니다.교회구조와 청치적인 이유등으로 나누어 졌습니다.종교의 뼈아픈 교파 분리는 대부분 돈과 권력 때문입니다.하나님이 자녀로서 아픈 현실입니다.거기에서 새로운 해석으로 신흥교회가 생겨나고 참 자유로운 종교나라 입니다.질문의 이해가 쉽기를 바랍니다
학문 /
철학
22.10.13
0
0
과거시대에서 고인돌은 누가 만든건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족국가가 형성되고 많은 인력으로 큰 바위를 옮겨 무덤을 만든다는건 그 지배계층의 권위를 말해 줍니다.그 시대에 많은 사람이 동원될수 있다는것이 대단합니다.돌을 쪼아 만들었다기보다자연석 으로 만들었다고 생각됩니다.
학문 /
역사
22.10.13
0
0
청와대 석조여래입상도 관람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청와대가 국민들에게 개방이되고 상당한 볼거리가 많아졌다고 합니다.물론 말씀하신 석조여래입상과 특별한 작품들을 걸으면 관람할 수 있습니다.정말 세상이 밝아지고 좋아졌습니다.청와대가 개방이 되다니요
학문 /
미술
22.10.13
0
0
디자이너 하시는 분들은 진짜 디자인만 계속하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실질적으로 디자이너들은 디자인을 주로하지만 여러가지 일들도 합니다.디자인만 해서는 작업과 소통이 원활하지 않습니다.훌륭한 디자이너들은 디자이너와 작품을 전부 만들어야 실력이 인정됩니다.
학문 /
미술
22.10.13
0
0
소크라테스가 했던 유명한 말이 정말 소크라테스가 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크라 테스가 한말 맞습니다.간혹 아니다 라는 사람도 있지만우리가 학교 교과서에서 배운대로 보시면 됩니다.가장 정확한 것은 교과서에 나온 글입니다
학문 /
철학
22.10.13
0
0
미술전공으로 화가가 되면 돈을 어떤식으로 벌어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술을 전업으로 하는 화가들돈 벌기 힘들다 합니다화가들이 워낙 많고 그림이 잘 안팔립니다.아주 유명한 화가 말고 그림팔기가 힘이 듭니다.전업화가들은 개인전등 꾸준한 작품활동을 합니다.인지도가 있어야 하니까요,정말 화가들 미대나와서 미술학원 원장보다 못한부들이 거의 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미대생이라면 훌륭한 화가가 되길 빕니다.
학문 /
미술
22.10.13
0
0
어디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는 인생 왜 이리 바쁠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산다는것이 한줌 흙 한줌 바람 같은 것인데 우리는 하루를 바쁘게 삽니다.이또한 욕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닐까 생각 됩니다.대부분 먹고 살기에 바뻐서 그렇고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입니다.조금 내려 놓으시고 버려 보세요,쉴때 즐겁게 쉬세요, 쉬는날은 뜻있는 계획을 세워 보세요.바쁘다고 생각 하기보다 돈버는 재미다 라고 생각하시면 마음이 가벼워 질것입니다.시인으로서 전해 봅니다.
학문 /
역사
22.10.13
0
0
613
614
615
616
617
618
619
620
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