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신궁이라 불리는 자들은 실제로 어느 정도 거리를 맞춘건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45 미터라고 합니다10발 그러니까 10순이라고 하는데요,예전엔 50순을 쏘았는데 정조대왕은 49순 명중 했다고 합니다.주몽 이성계 모두 신궁이라고 합니다양궁은 과녁과의 거리가 70 미터 입니다.예전엔 정말 145미터에서 모니터만 한것을 맞춘다는건 대단한 일입니다.그리고 예전엔 시력이 지금보다 좋았습니다.왜냐하면 아시다시피 과학문명으로 인한 시력손상이 없었으니까요.요즘은 TV, 모니터 스마트폰으로 인하여 점점더 시력에 문제가 있습니다.질문이 신선하니 좋았습니다
학문 /
역사
22.10.06
0
0
요즘에는 미술작품에 투자하는게 많은데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개인적인 생각을 말씀드려 보겠습니다.경매에서 미술품을 많이 취급합니다.입찰에 참가 할 수도 있구요,사실미술품에 투자 한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움이 있습니다.팔사람은 많은데 살 사람이 없다는거죠내가 샀을때는 이미 소비자가격을 전부 주고 산거입니다.그 미술품이 가격이 많이 올라야 하는데 오히려 팔려하면 터무니 없는 가격을 너무도 많이 보아 왔습니다.미술품도 사업입니다.신중히 미술품에 투자 하시는것이 옳을듯 합니다
학문 /
미술
22.10.06
0
1
수화가 나라마다 다른데 미국수화도 국제수화랑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수화는 국제수화로 통용 합니다.조약이나 법률은 없지만 무언의 약속인지 국제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미국수화는 프랑스에서 전해졌는데 그래서 프랑스 수화랑 비슷하다 합니다.그러나 영국 한국등 나라들은 각나라의 문법 사투리등이 다르니까 알아 듣지 못한다고 합니다.국제적 행사 있을 때 하는 수화가 국제 수화라 할 수 있습니다.저 역시 수화에 관심이 있어 수화를 배워 본적이 있어 관심이 가는 질문입니다
학문 /
미술
22.10.06
0
0
예술의 가치는 무엇으로 판단하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예술의 가치 판단 기준은 매우 다양합니다.그러나 아무거나 예술적이라고는 할수 없습니다.모든것은 가치로 결정지어 지니까요그래서 예술적 가치는 아름다운 상대적 가치에 있습니다.그 작품은 독창성과 개성 새로움이 주는 환호 등이 결합하여 상업성까지 뛰어나다면 예술적가치가 인정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또한 예술은 대중성이 있어야 합니다.대중이 관심을 가질때 소유하고 싶고 보고싶은 것입니다.그리고 희기성도 반듯이 따라야 합니다작품이 많다면 그 값어치는 하락 할 것입니다.예술의가치 판단은 전문가 평론가들에 의하여 많이 좌우 되는 경향이큼니다.
학문 /
미술
22.10.06
0
0
오래전 선조시대때의 여성의 인권은 어땠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때는 여성의 인권이 높았다고 합니다.재산도 반반 나누었으며 재가도 했으니까요그러나 조선시대 중반부터는 여필종부 남존여비 남녀칠세 부동석이라든지 여성을 하대하여 근래까지 여성의 인권은 안타깝게 너무 불평등 하였습니다조선시대는 성리학을 근간으로 하어 유교에 맞추기 위해 노력했씀으로 그래서 음양이론 즉 남자가 귀하다는 논리로 남자는 밖에서 여자는안에서 일해야 한다고 생각하여 경제적 이유로도 여성인권이 낮아지게 된것입니다.지금은 거의 동등하게 회복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학문 /
역사
22.10.06
0
0
오케스트라 단원 활동만으로는 생계유지가 불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러시군요,정말 안타깝네요.전업음악인으로 살아가기가 쉬운게 아닌듯 싶습니다.제 생각으론 단원만으로 살아기기란 힘들거라 생각됩니다.특히 코로나 시국에서는 너무나 힘들었을 것 같습니다.아주 유명교수도 지식을 팔고 강의를 다니고 합니다. 유능한 재능을 삼류 라고 안판다는 것보다 일류와 삼류를 드나들며 경제활동 하시면 재미와 기쁨도 함께 따르리라 생각됩니다.모든건 생각 하기 나름입니다.
학문 /
음악
22.10.06
0
0
음악 표절의 구체적인 기준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표절은 타인의 창작물을 가져다가 자신은 것으로만들어 쓴 것입니다.그러니까 창작자의 저작권을 절도한 것이나 마찬가지이며 이는 손쉽게 구하고자 하는 욕심에서 일어나는 잘못된 법 위반입니다.표절의 판단 기준은 간단하면서 상당히 복잡한 문제로 진행되는데 저작권법에서 보호받을 창작요소를 침해 하였는지, 의도적으로 따라했는지, 정말 대중이 듣기에 유사한지 등을 판단하여 전문가들에 의하여 표절시비에 대한것이 구별되며 시비가 생기면 법원이 최종판결을 내립니다.개인의 손쉽게 경제적 이익과 명성을 얻기위하여 표절을 하고 있는것 같습니다.표절은 상대에게 고통과 절망을 가져다 줄수 있으니 하지 말아야 할 범주에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2.10.05
0
0
우리나라 음력은 언제 많이 사용 했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56년 1월 1일부터 양력을 사용하였고 그 이전은 음력과 시헌력을 사용하였습니다.시헌력은 태음력에 태양력을 대입하여 24절기로 세밀하게 만든 것입니다.음력은 계절과 차이가 납니다.그래서 윤달이라는것도 있구요.농업에는 계절의 변화가 중요함으로 24절기 라는 양력을 이용한 더세분화된 달력을 만들어 현제에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2.10.05
0
0
우리문화에 절에가면 기둥에 배흘림 기둥이라는게 있던데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이기둥은 하나의 건축 양식으로 중간은 굵고 아래와위는 가는 목제 기둥 양식 입니다.로마 신전 기둥에도 이양식으로 만들었는데 엔타시스라고합니다.이는 구조상 안정과 착시현상을 방지하여 준다고 합니다.건축학상 많이 쓰인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2.10.05
0
0
우리나라 석굴암에대해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석굴암은 경주 토함산에 가면 있습니다.경험을 토대로 하자면 중학교때 수학여행과 성인이되어 여행하면서 보았습니다.석굴암은 신라시대 김대성이 창건한 화강석으로 만든것 입니다.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 되어 있습니다.이마에 붙었던것은 아마도 수정이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우리나란 수정이 많이 났으니까요,신라시대 다이아몬드는 아닌것 같습니다.왜놈들이 훔쳐간후 근대에 순금판을대고 수정을 깍아 이마에 박아 놓았습니다.그리고 태양이고 모고 떠드는것은 과장된 것일수 있답니다. 신라시대는 달을 숭배했으며일본에 의하여 조작된 일제 식민사관일 가능성역시 존재 합니다.실제 일본인들이 복원까지 할 정도로 애착을 했던 위대한 걸작품 이니까요이 위대한 문화 유산이 잘 보존 되기를요
학문 /
미술
22.10.05
0
0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