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에펠탑은 어느 곳의 소유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에펠탑 소유는 프랑스 국가입니다귀스타브 에펠1889년 3월 31일 준공. 프랑스의 건축가 알렉상드르 귀스타브 에펠(1832~1923)이 만든 거대한 철탑.프랑스와 파리를 대표하는 랜드마크. 근대 건축의 혁신점으로, 1889년에 300m라는 경이로운 높이를 달성하여 크라이슬러 빌딩이 완공되기 전인 1930년 이전까진 세계에서 가장 높은 구조물이었 습니다.
학문 /
미술
23.05.02
0
0
보물과 국보의 차이가 무엇인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보물은 유형 문화재 중에서 역사적·예술적·학술적 가치가 큰 것으로, 국가가 지정. 합니다국보는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 중 특히 가치있는 것을 국보로 지정 하는 것입니다.
학문 /
미술
23.05.02
0
0
흑인은 언제부터 인종차별을 당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흑인에 대한 인종차별은 아주 오래전 부터 있었지만 그렇게 극심하다고 할순 없었습니다.하지만 서양의 선박재조 기술과 해운산업이 발전하기 시작한 대항해시대 쯤에 이르러서인종 차별이 극한으로 치닫게 됩니다. 영국에서 독립하게된 미국은 넓은 영토에 비해서 인구가 극히 적다는 것이 큰 문제였습니다.이것은 곧 노동력 부족으로 이어 지는데요. 이것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흑인 노예들이 생겨 납니다.이 노예는 한사람의 사유 재산으로써 매매가 가능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02
0
0
이집트 옛 왕조중에서 최고의 권력자 파라오는 누구였나요?
고대 이집트의 최고 통치자이자, 살아있는 신으로 추앙받았던 존재입니다.고대 이집트는 상이집트와 하이집트가 하나로 묶여서 만들어진 국가였고, 파라오는 남쪽의 상이집트와 북쪽의 하이집트를 동시에 다스리는 통치자였기에 양쪽 모두를 다스렸습니다.
학문 /
역사
23.05.02
0
0
조선시대때도 산림을 보호하기위해 나무를 베는 행위를 금지하였을까?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영조28년(1752년)에 후궁 영빈 이씨가 통여 안정사의 주지에게 절주변 소나무를 보호하기 위해 내린 산림 감시원의 신분증도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조선시대에 산림에 관련된 고서와, 옛날 물건들을 살펴보면서 아주 오랜 예전부터 산림은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자원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그리고 중보산림경제초, 임원경제지, 산림경제, 세종실록 등에는 산림에 관한 농사법 등이 나타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02
0
0
조선시대에 불교 말고 유학이 발달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교는 조선시대에 와서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각 방면에 걸쳐 유교의 영향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었고, 세종 때 유교문화가 꽃을 피운 이래 성종 때에 이르러서는 문물제도가 정비되었다. 그것은 새로운 왕조의 정치적 이유이기도 했습니다.
학문 /
철학
23.05.02
0
0
최초의 종교는 언제 생겨났을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종교는 인간이 살을 유지하고 부터 태어났습니다.인간은 자연의 두려움에 토테미즘이나 어느곳에 기대어 위안과 안녕을 기원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5.02
0
0
세종대왕은 왜 문종의 세자빈을 두번이나 내쫓은건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첫째부인은 문종이 궁녀들에게 눈독을 드리자부적등여러가지 행위를 하여 쫒겨났으며둘째부인은 육체적 본능을 이기지 못하여 궁녀와 육체관계를 맺어 쫒겨났다고 합니다.쉽게 답변 드렸습니다
학문 /
역사
23.05.02
0
0
휴양림에 갔다가 묵자라는 철학자의 글을 보았습니다. 묵자는 어떠한 사상을 펼쳤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묵자는 춘추전국시대의 송나라에서 태어난 사상가이자 철학자 입니다.묵자가 주장한 '겸애'사상은 모두를 사랑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묵자는 유교에 대립하였는데 차별적인 사랑을 하는 유가와 달리 모든 사람을 사랑하고, 타인의 이익과 자신의 이익을 동일시해 사회 전체의 이익을 도모하려는것이 묵자의 겸애 사상의 전체적인 목적입니다. 모두를 사랑하는것은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학문 /
철학
23.05.02
0
0
한국인의 비교 문화는 언제부터 자리잡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주관적으로 답변을 드리자면 인간은 어느때고 비교가 대상이 되었을 것입니다.그러나 유독 심했다고 느껴지는건 산업화이후 경쟁사회가 시작되고 나서부터가 아닐까 합니다.
학문 /
역사
23.05.02
0
0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