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이 먼저 주변국을 침략했던 역사적 사실은 존재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12월 3일 우정승 김사형을 보내 대마도 정벌에 나서게 하였고, 그가 귀환할 때 친히 흥인문 밖까지 나가 노고를 치하했다고 한다.세종 1년인 1419년에 있었다. 이종무를 3군도체찰사(三軍都體察使)로 임명하여 정벌에 나섰다. 병선 227척과 1만 7천여 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대마도에 도착하여 왜구 114명을 참수하고 2천여 채의 가옥을 불태웠으며, 129척의 선박을 노획하거나 불태웠다. 세 차례에 걸친 대마도 정벌 이후 왜구들은 대마도를 비롯한 서부 일본 각지에서 약탈보다는 평화적 임무를 갖고 왕래하기 시작하였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4.30
0
0
고3자녀의 글씨가 초등학생 보다도 더 못 쓰는데 정말 고민입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글씨도 기술입니다.대학 교수들 글씨 잘쓰는 사람 얼마 보질 못했고 공부꾀나 한 사람들은 이상하게 글씨가 엉망입니다.글씨를 잘쓰려면 글씨쓰기 공부를 해야합니다.펜글씨 교본 기억나시죠?
학문 /
문학
23.04.30
0
0
조선시대에는 몸을 씻는 날이 일년에 며칠이나 됐을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딱히 며칠이라고 답변을 드릴순 없지만 시대상황상 그리고 계절 상황상 겨울과 추울때는 목욕을 할 수 없었습니다.뜨거운 물은 나무를 때어야 했기 때문 입니다.그리고 위생관념이 엉망이라 일년에 몇번 씻지 않았습니다.그러나 여름엔 씻지 않았을까 주관적으로 판단해 봅니다.
학문 /
역사
23.04.30
0
0
조선시대의 형량 지금과 비슷할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쉽게 말씀드리면 지금보다 형량이 더 엄격 하였다고 할수있고 그렇지 않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지금은 형량이 수십년짜리가 있지만 그때는 없었습니다.다만 그때는 때리는것과 신체에 위해를 가하고 목숨을 잃게 하는 형량이 있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4.30
0
0
남한산성은 어느 시대에 축조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 문무왕 13년(673)에 한산주에 주장성(일명 일장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는데, 현재의 남한산성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의 기록은 없으나 조선『세종실록지리지』에 일장산성이라 기록되어 있다.현재의 모습으로 갖춘 것은 후금의 위협이 고조되고 이괄의 난을 겪고 난 인조 2년(1624)이다. 인조 14년(1636)병자호란 때 왕이 이곳으로 피신하였던 곳이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4.30
0
0
임진왜란때 유명한 진주대첩은 어떤 전투였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592년에 진주성에서 김시민이 이끄는 조선군과 백성들이 일본군을 물리친 전투입니다.일본군은 1593년 6월 다시 7만여 명에 달하는 병력을 동원해 진주성을 공격했습니다(제2차 진주성 전투). 진주성 전투의 패배를 설욕하고, 부산 일대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의 안전을 확보하려는 목적이었습니다. 경상우병사 최경회, 충청병사 황진, 의병장 김천일 등이 이끄는 수천 명의 조선군은 이때에도 백성들과 힘을 합쳐 일본군과 치열하게 싸웠습니다. 그리고 9일에 걸쳐 벌어진 전투 끝에 진주성은 일본군에게 함락되고 말았습니다. 조선군 병사와 지휘관들도 대부분 목숨을 잃었습니다. 그러나 이 전투에서 타격을 받은 일본군은 더 이상 서쪽으로 진격하지 못하고 한반도 동남부의 거점으로 돌아간 전투 입니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4.30
0
0
종교전쟁은 언제 어떻게 왜 발생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종교전쟁은 종교 갈등으로 발생한 전쟁입니다. 종교적인 것은 표면적인 것이고 정치적인 야욕과 세력 확장 등 내면에는 종교 이외에 다른 요소들이 많이 내포. 일단은 겉으로 보기에 종교 문제로 인해서 발생하는 전쟁을 말하며, 종교가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 자신이 믿는 종교를 전파하기 위해서 선교적 목적으로 일으키는 전쟁도 종교전쟁에 포함됩니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4.29
0
0
철학은 실생활에 어떤 도움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간단하게 답번을 드리겠습니다.철학은 인간의 근원적인것을 탐구하는 학문으로사람들과의 인간관계에 깊은 도움이 됩니다.
학문 /
철학
23.04.29
0
0
치매의 역사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아주 옛날부터 노망이라고 하였습니다.프랑스 Pinnel은 최초로 노인성치매(senile dementia)란 용어를 사용하였습니다. 20세기 들면서 나타난 획기적 변화는 현미경을 사용해 신경조직을 직접 관찰하는 의학기술의 발전이었다. 1906년에 알츠하이머는 51세의 오거스트 디(Auguste D)라는 여성 환자에게서 진행성 인지기능장애, 환각, 망상, 생활능력상실의 증상을 확인하였고 부검 결과 뇌 피질의 신경세포 내에 섬유질이 다발을 이루고 있습니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4.29
0
0
빈센트 반 고흐가 자신의 귀를 자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갱과 고흐가 한지붕아래에 살다가 둘의 공유 생활에 다툼이 많았고 고흐는 내성적이였고 고갱은 냉소적인 인물이였습니다. 그러다보니 싸움이 많아졌고 둘은 갈라서기로 합니다. 고흐는 분노를 식히지못했고 고갱이 떠나자 귓볼을 자른 것이라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4.29
0
0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