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김재규는 왜 박정희 대통령을 저격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역사적 진실을 묻어 두고 거짓한다는건 이사건은 불가능한 일입니다.생존해 있고 목격자가 이사건은 분명하게 있기 때문입니다.대통령을 시해한 사건이고 과거 조선 시대와 의 시대상 상황이 많이 다릅니다.그래서 김재규는 허위 진술을 할 수 없었다고 판단 됩니다.그리고 이사건의 여러가지 정황과 증거가 있기 때문 이라고 판단됩니다.군부독재시대의 일이며 앞으로는 이러한 사건은 있어서 안될 것 입니다.쉽게 설명 드렸습니다
학문 /
역사
22.11.02
0
0
일부다처제는 언제까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일부일처 다첩제였습니다.반듯이 본처는 1명이되 첩은 여러명을 두었던 조선 시대가 있었습니다.조선이 일본에게 강제로 나라를 빼앗기고 1915 년 조선총독부에 의하여 축첩제도가 폐지 되었습니다.정확한것은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헌법이 개정되는 과정에서 모두 폐지되었다는 것이 정답이라 판단 됩니다.
학문 /
역사
22.11.02
0
0
조선시대때 언어는 지금이랑 많이 달랏다고 하던데 현재의 사람이 조선시대로 간다면 전혀 말을 알아듣지 못했을 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는 지금으로 부터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사투리는 각지방마다 있었겠지만 전혀 알아듣지 못하고 그러지는 않았을 것 입니다.언어란 한 나라의 전통이며 바뀔수 없는 말 입니다.제주도는 하나의 섬 이었지만 그래도 우리말을 썼기때문에 일부단어를 제외하고 충분한 소통이 되었다 합니다.우리말은 아마도 고조선 사람이 환생하여 대화 한다하여도 소통이 잘 되지 않을까 하는 판단이 섭니다.질문자님의 흥미로운 질문에 아하의 하트를 보냅니다
학문 /
역사
22.11.02
0
0
가문의 족보를 계산하는방법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이 풍산류씨가 아닐까 생각 됩니다.훌륭한 선조아래 훌륭한 자손이 나온답니다.풍산류씨 대종손이 시조로부터 30대손이 조금넘었다고 합니다.그런니 100대손이 아직은 아닌것 같습니다.인터넷에서 찾아보시면 잘 나와 있으리라 판단됩니다.관심을 기울이면 족보도 정말 흥미롭습니다.
학문 /
역사
22.11.02
0
0
대만을 보면 하나의 나라로 봐야 하나요 아니면 중국의 소수민족으로 봐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의 질문에 공감이 갑니다.그러나 이문제는 정치적으로 아주 민감한 문제 입니다.대만은 과거 중국의 1개성이었습니다.그러나 우리나라와 북한과 같이 비슷하게 되어 있습니다.우리가 볼땐 중국이 아닐까 생각하는데대만 정부는 하나의 주권국임을 주장하여 정치적으로 완전 독립국이고 .자국의 군대를 가지고 있어세계는 하나의 국가로 인정 하지만 중국만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결론은 중국과 한나라가 아니라고 판단 됩니다.
학문 /
역사
22.11.02
0
0
인간이 만든 추척의 기원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의 최대명절 추석과 설 중에 질문자 님의 질문은 추석이 십니다.추석은 한가위라하여 삼국사기에 신라시대 여인들이 길쌈을 가배라 부르다 가위가 되었다 합니다.한은 크다 가위는 가운데를 나타 냅니다.음력 8월15일이 가운데 있는 큰 날이란 뜻 입니다.
학문 /
역사
22.11.02
0
0
인간의 심리중에 변화를 싫어하는 심리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변화를 싫어 하는 것은 질문자님과 답변자의 저역시 그렇습니다.변화를 싫어하는건 헌실에 어느정도 만족하니까 변화가 두려운 것이라 판단 됩니다.변화하지 않으면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뒤처지게 됨과 도태하여 발전이 없습니다.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새로운 것을 습득하고 나보다 뛰어난 사람들을 많이 만나서 좋은 가치의 정보를 얻어 자기 개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안주하여 발전하지 못한 사람을 볼때 나는 저렇게 되지 말아야지 하고 생각했지만 나도 저렇게 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니 항상 투자하면서 자기 개발에 정성을 기울인다면 변화되어 있는 자신이 빛이 날거라 생각 됩니다
학문 /
역사
22.11.02
0
0
화가들의 그림값은 어디에서 책정하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림가격은 통상적으로 정해져 있습니다.그작가의 명성에 따라 가격이 형성되어 있습니다.그것은 각나라별 미술에 대한 협회등이 있습니다.거기에서 가격이 결정되어 있습니다.그림가격은 본인이 결정하는 것이지만 사는 사람이 있어야 하고 그 그림의 가치를 판단하는 사람들이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이모든 것은 자기를 알려야 하는 것임으로 많은 전시회와 공모전 입상 역시 가져야 하는 절차들이 있는 것입니다.수백억 수천억 짜리 그림 역시 같은 절차를 거치고세계적으로 명성을 얻어야 하는 것입니다.왜 세계적인 그림인가는 미술사조에 나와 있습니다.질문자님과 궁금한 유저들에게 조금이라도 알기쉽게 설명 드렸습니다
학문 /
미술
22.11.02
0
0
은행잎에 관한 글이 있나요? 가을이 되면 은행잎 주우러 다녔는데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은행잎에 관한 글이라면 시 로 답변해도 될지 모르겠습니다.저는 시인으로서 공광규의 별닦는 나무를 한 줄 써드릴까 합니다."가을이 되면 별가루가 묻어 순금빛 나무"어떠신지요?별을 열심히 닦다가 순금물이 들어 아름답게 지고싶다는 글입니다저는 별을 열심히 닦아서 순금물이 드는 것보다순금이라는 별을 아주 열심히 닦아서 순금이 내몸에 온통 붙어서 조금씩 떼어다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고 싶습니다.검색하여 찾아보시면 아름답고 좋은시라고 생각이 드실겁니다.
학문 /
미술
22.11.02
0
0
"덜어서"의 유의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 님의 질문에 답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저는 시인인데 나누어가 어떤지 모르겠습니다.어감도 이쁘고요나누어 가질게요~~정답고 정겨운 말 같습니다.
학문 /
역사
22.11.01
0
0
595
596
597
598
599
600
601
602
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