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똑같은 음악을 들어도 좋은 사람과 싫은 사람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음악도 무용과 마찬 가지로 사람마다 다릅니다.그것은 실력과 개성이라고 합니다.실력이 좋고 타고난 음악성이 뛰어나면 같은 노래를 불러도 사람마다 개성에 따라 달라서 그렇습니다.
학문 /
음악
23.09.08
0
0
뉴스를 보다보면, 아싸리판 이 나오는데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전투구가 벌어지는 판이 '개판'이다. 라고합니다.그리고 몹시 난잡하고 무질서하게 엉망인 상태를 '아사리판'이라고도 합니다.
학문 /
역사
23.09.08
0
0
스님들이 사용하는 염주는 어떤 의미를 가지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손목이나 목에 거는 염주는 수주라고도 하며, 염주알의 수가 적은 것은 단주라고 합니다. 염주알의 수는 보통 108개로 되어 있으며 이는 백팔번뇌를 의미하고 염주를 돌리며 108가지 번뇌를 소멸시킨다는 뜻입니다. 염주알이 54개로 된 것은 보살의 수행 단계를, 27개로 된 것은 27명의 성자를 뜻합니다.
학문 /
역사
23.09.08
0
0
북한은 한국에 수해지원을 왜 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마디로 북한체제의 우월성을 자랑하고 싶었던 것입니다.물론 경제역시 자신 있다는것을 북한 인민들에게 자부심을 느끼게 하겠다는 , 한마디로 정치 공작이었습니다.그러나 사실 북한이 싣고 온 배에다 우리대한민국은 더 값진물자를 보냈습니다.
학문 /
역사
23.09.08
0
0
실천궁행은 무슨 뜻 인가요? 가수의 실천궁행은 말이나 재롱이 아니고 노래다 여기서 실천궁행은 무슨 뜻 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실제로 밟고 몸소 행한다는 뜻으로, 말로 약속을 맺거나 계획을 세우는 데에만 그치지 않고 직접 행동하고 참여한다는 사자 성어 입니다.본문實 : 열매 실踐 : 밟을 천躬 : 몸 궁行 : 행할 행궁행실천 이라고도 합니다.
학문 /
음악
23.09.08
0
0
조선이 불교를 수용하지 못했던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이 건국 후 완벽히 성리학의 나라로 이끌기 위해서 신진사대부들은 명을 상국으로 받들고, 성리학을 기반으로 한 유교사상을 들여오면서 과거 고려시대의 국교였던 불교를 억압하여야 했습니다.하나의 통치수단 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9.08
0
0
역사적으로 전쟁에서 '백기를 든다'는 행위는 언제부터 통용되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백기를든다는 공식적으로 백기가 항복의 위미로 통용된것은 1907년 네덜란드에서 열린 국제 평화 회의에서 결의 되었습니다.말이 통하지 않는 나라들과의 전쟁에서도 백기를 들면 싸울 의지가 없으며 항복한다는 신호가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9.08
0
0
신출귀몰은 무슨 뜻인가요? 그는 여자를 주시하고 있었다 무슨일있을때면 어김없이 나타나는 그가 신출귀몰 여겼다 여기서 신출귀몰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출귀몰'은 일반적으로 빠른 움직임이나 예측할 수 없는 동작을 표현할 때 사용되는 고사성어입니다. 이 표현은 귀신(鬼神)이 자유자재로 나타났다가 숨는 모습을 묘사하는데서 유래되었습니다. 신출귀몰하다 라는 표현을 일상에서 많이 쓰여집니다.
학문 /
역사
23.09.08
0
0
신라시대 여왕은 결혼을 했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선덕여왕은 3명의 남편이 있었습니다김용춘(화랑세기에 의하면), 을제, 음갈문왕(백반과 동일설 있음) 진성여왕 남편김위홍(숙부이기도 함)진덕여왕은 없었습니다.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구글링이 필요합니다
학문 /
역사
23.09.08
0
0
종이 이전에 남겨진 기록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양의 경우 고대 이집트의 파피루스라는 큰 갈대같은 식물로 가로세로 체스판 같이 겹쳐 이 위에 고대 파라오의 중대사를 기록하여습니다. 파피루스가 식물이기에 오랜기간 보전의 문제로 오래 보존을 하기 위해 파피루스에서 양의 껍질을 이용하였습니다.동양의 경우 벽화 이후에 죽간이라는 대나무를 잘라 엮은 형태의 것을 사용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9.08
0
0
82
83
84
85
86
87
88
89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