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P2e 기반게임이 한국에서만 불법인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성형익 보험/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제32조(불법게임물 등의 유통금지 등)"누구든지 게임물의 이용을 통하여 획득한 유 무형의 결과물(점수, 경품, 게임 내에서 사용되는 가상의 화폐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게임머니 및 대통령령이 정하는 이와 유사한 것을 말한다)을 환전 또는 환전 알성하거나 재매입을 업으로 하는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게임 속에서 토큰을 발행하는 것 까지야 별 문제가 없겠지만, 토큰을 가상화폐를 거쳐서 현금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문제가 되는 셈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1.12.30
0
0
미국금리가 우리나라 금리에 왜 영향을 끼치나요??
안녕하세요. 성형익 보험/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에는 많은 변수가 존재하지만, 간단한 예로 설명드려보겠습니다. 미국의 한 투자자가 예금을 한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이때 미국의 1년 금리는 3%인데, 우리나라 금리는 6% 라면 미국의 투자자는 한국의 은행에 예금을 할 겁니다. 그런데 한국의 금리가 높다면 많은 외국인들이 한국을 찾아오게 됩니다. 즉, 투자자를 유치하기 위해서 미국이 올리면 한국도 올려야겠죠? 달러 보유량이 넘쳐나게 되면, 환율은 원화 강세로 1달러 = 1,200원, 1달러 = 1,000원, 1달러 = 900원 이렇게 내려가게 됩니다. 그런데 한국의 금리가 2%로 내렸다면 외국인들은 한국에 투자를 하지 않고, 예금한 돈을 환전한 후 달러를 회수한 후 미국으로 가게 됩니다. 이때 한국에서 달러는 줄어들게 되고 그렇게 달러가 없어지면 환율은 1달러 = 900원, 1달러 = 1,200원으로 높아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한국의 금리가 미국보다 높다면 항상 투자자들이 몰려서 원화 강세가 이어질까요? 반대로 금리가 낮다면 외국 투자자들이 달러를 회수하면 원화 약세가 이어지고 환율이 상승하게 될까요? 하지만, 이는 절대적이지 않습니다. 한국의 금리가 높더라도 오히려 폭등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외국 투자자들이 보기에는 한국은 수많은 투자하기 위한 나라 중 하나입니다. 1997년에 외환위기를 겪었고, IMF에 돈을 빌린 적도 있죠. 외국 투자자들의 입장에서는 한국도 다시 외환위기를 겪을 가능성도 있기에 불안감을 가질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금리가 높다 해서 반드시 넘치는 달러로 원화 강세가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1.12.29
0
0
테이퍼링(Tapering)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성형익 보험/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테이퍼링(Tapering),이라는 단어는 원래 "가늘게 하다"라는 뜻으로 지금까지 지속해오던 양적 완화의 규모를 축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양적완화의 목적 달성 여부를 떠나서 돈을 억지로 풀면 물가도 오르고 인플레이션도 발생하고 금융기관에 부담을 앉길 것 같으니 그만하겠다는 뜻입니다. 테이퍼링을 실시하면 양적완화의 효과와는 정반대인 현상이 일어납니다.그 동안 적극적이었던 투자와 대출의 규모는 줄어들게 되고, 세계 각국, 특히 신흥국이나 개발도상국에 풀린 달러도 줄어들게 되고 이미 양적완화의 효과를 누린 미국 경제에는 큰 영향이 없지만, 달러에 의존해서 외국 투자를 받던 신흥국의 경제는 큰 타격을 입고 흔들리게 됩니다.결국엔 이런 신흥국들의 요동치는 경제가 전염병처럼 다른 나라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1.12.29
0
0
NFT가 무엇인지 알고 싶네요?
안녕하세요. 성형익 보험/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Non-Fungible Token 의 약자로,블록체인의 토큰을 다른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한 가산자산을 일컫습니다.NFT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소유권과 판매 이력 등의 관련 정보가 모두 블록체인에 저장되고,위조 등이 불가능합니다.NFT는 가상자산에 희소성과 유일성이라는 가치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디지털 예술품,온라인 스포츠, 게임 아이템 거래 분야 등을 중심으로 그 영향력이 급격히 높아 지고 있습니다.
경제 /
경제용어
21.12.29
0
0
테이퍼링은 어떻게 진행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성형익 보험/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테이퍼링(Tapering),이라는 단어는 원래 "가늘게 하다"라는 뜻으로 지금까지 지속해오던 양적 완화의 규모를 축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양적완화의 목적 달성 여부를 떠나서 돈을 억지로 풀면 물가도 오르고 인플레이션도 발생하고 금융기관에 부담을 앉길 것 같으니 그만하겠다는 뜻입니다. 테이퍼링을 실시하면 양적완화의 효과와는 정반대인 현상이 일어납니다.그 동안 적극적이었던 투자와 대출의 규모는 줄어들게 되고, 세계 각국, 특히 신흥국이나 개발도상국에 풀린 달러도 줄어들게 되고 이미 양적완화의 효과를 누린 미국 경제에는 큰 영향이 없지만, 달러에 의존해서 외국 투자를 받던 신흥국의 경제는 큰 타격을 입고 흔들리게 됩니다.결국엔 이런 신흥국들의 요동치는 경제가 전염병처럼 다른 나라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1.12.29
0
0
2022년도 대한민국 경제성장율 전망치는..?
안녕하세요. 성형익 보험/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국내경제 성장률은 올해 3.9%, 내년 2.8%에 달할 전망입니다.노동집약도가 높은 전통 서비스 수요의 완만한 회복으로 취업자 증가 수는 내년 28만명 내외에 이르는 등 고용상황 호전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소비자물가 상승세는 올해 4분기를 정점으로 점차 둔화될 것이나 내년 상반기까지 2%를 상회하는 높은 수준을 보일 전망입니다.출처: LG경제연구원http://www.lgeri.com/index.do
경제 /
경제동향
21.12.29
0
1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