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육아
초등학생의 몽유병?자면서 움직이는아이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몽유병은 보통 4~8세에 흔히 시작되며, 12세 때 가장 많이 발생하고, 여아보다는 남아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아이가 몽유병을 보이는 경우에는 다치거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위험한 물건을 치우거나 문을 잠그는 등의 사전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아이가 수면 상태로 보행할 때에는 억지로 깨우기보다 자연스럽게 다시 잠을 잘 수 있도록 침상으로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엇보다 스트레스나 불안으로부터 몽유병이 찾아올 수도 있으므로 충분한 휴식과 함께 환경을 안정적으로 조성하려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몽유병, 단순한 잠꼬대일까? : 네이버 포스트 (naver.com)
육아 /
양육·훈육
22.01.03
0
0
초등학교 입학관련해서 궁금한게 있어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도움이 되실지 모르겠지만 예비소집날 해당 학교를 가면 다른 학교는 지원이 안된다라고 들은 것 같아요정확한 건 해당 학교에 전화로 문의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육아 /
유아교육
22.01.03
0
0
아침마다 아이스크림 찾는 아이..ㅠㅠ 고쳐주세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혹시 아이 비염이나 축농증 있을까요?보통 코가 불편하면 시원한 음료나 아이스크림 찾는 아이들이 많아요어른도 찬거 마시면 장 트러블 등 이상 증세가 나타나는데 면역력 약한 아가들은 더 안좋겠지요냉동실에 아이스크림을 사다 놓지 마세요미리 아이와 냉동실을 보여주며 '아이스크림 이젠 없다 ' '찬거 많이 먹으면 배가 아야 해서 다 버렸어'라고 해주세요그래도 쉽지 않으면 과일로 직접 만든 아이스크림을 먹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육아 /
유아교육
22.01.03
0
0
아이가 밥을 잘 안먹으려하는데 어떻게 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와 함께 식단을 짜보는 것도 좋습니다'오늘은 우리 ㅇㅇ랑 저녁에 먹을 반찬을 만들어 볼꺼야 저녁밥 먹을 때 맛있게 먹자'이렇게 미리 아이에게 식사 시간을 알리는 거지요아이가 음식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실제 식재료를 손질한다던지 예를 들어 콩나물 다듬기, 과일 씻기, 등 안전하게 다룰 수 있는 재료들을 함께 손질해보세요그리고 반죽을 뭉치는 과정 등을 함께 해보는 것도 아이에겐 놀이로 인식이 되면서 음식에 대한 흥미를 느끼게 돼요밥을 싫어하면 '밥전'과 같이 간식처럼 보이는 식사로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육아 /
기타 육아상담
22.01.03
0
0
마트에서 떼를 쓰고 눕는 아이에 대해 대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이시기 아이들은 소유욕이 생기기 때문에 좋아하는 장난감을 보면 갖고 싶은 심리가 있는게 당연합니다욕구를 표현하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떼쓰기로 의사를 표현하지요떼를 써서 원하는 물건을 얻은 경험이 있는 아이는 떼쓰기를 이용하기도 하구요미리 마트에 가기 전에 규칙을 정해야 합니다오늘은 ㅇㅇㅇ을 사러가는 거야 오늘 우리가 필요한 건 ㅇㅇㅇ야우리 ㅇㅇ는 뭐가 필요하지등의 이야기를 아이와 사전에 나누면 떼쓰는 행동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육아 /
놀이
22.01.03
0
0
동생을 괴롭히는 아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동생을 시샘하는 아이에게 충분한 사랑을 받고 있다고 느끼게 해주세요막내보다 첫째를 먼저 안아준다던지 자연스럽게 동생 육아에 참여를 시켜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또한 엄마 아빠는 첫째 아이의 결핍감을 해소 시켜야 합니다하루에 적어도 30분 혹은 날짜를 정해놓고 첫째 아이와 함께 특별한 활동을 해보세요우리 아이는 어느 순간 엄마 아빠로부터 받은 사랑의 에너지를 동생에게 고스란히 전하는 의젓한 아이가 되어 있을 것입니다
육아 /
양육·훈육
22.01.03
0
0
눈물이 많은 아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울고 있을 때 '그만 울어! 뚝! 언제까지 울꺼야!' 는 절대 안됩니다아이의 마음을 공감해 주는게 첫번째 입니다너가 많이 힘들었구나왜 울음이 나오는지 이야기해 주렴지금 실컷 울고 이젠 울지 않기로 약속하자등등 아이의 감정이 가라앉은 후 차분히 대화를 이어 나가는게 중요합니다어른들도 억울한 일을 당할 때 차마 말로 표현 못할 때 실컷 울고 나면 해소가 되듯이요~
육아 /
유아교육
22.01.03
0
0
아기를 일찍재우는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를 일찍 재울 수 있는 방법에는 잠자리 들기 전에 아이를 흥분시키는 게임은 하지 않습니다목욕은 놀이가 끝날 즈음 마치고 잠옷으로 갈아입힌 후 잠잘 마음의 준비를 시킵니다따뜻한 물로 목욕을 시켜주세요. 혈액 순환이 원활해져 잠이 잘 온답니다규칙적으로 잠자는 시간을 정해주세요.그리고 집안의 모든 불을 다 끈 후 잠자는 시간이라고 알려주세요아이를 재우면서 엄마 아빠는 빛이 나는 것들은 주의하세요(tv 보기, 스마트폰 등)아이가 잠들 때까지 자리를 뜨지 말고 함께 있어줘야 합니다잠자리는 일정하게 항상 아이가 자는 방, 같은 이불, 같은 위치에서 재울 수 있도록 해주세요
육아 /
놀이
22.01.03
0
0
생후 몇 년도 안된 아기에게 꿀을 먹이면 안된다던데 왜그러죠?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12개월 이전의 영아들에겐 꿀은 금기 식품 입니다아래 링크를 확인하시면 도움이 될 듯 합니다아기 꿀 언제부터 먹여야할까? 보툴리누스균의 위험성 (tistory.com)
육아 /
기타 육아상담
22.01.03
0
0
300일 아기 콧물이 너무 납니다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콧물감기 때문에 걱정이 많으시군요콧물이 나는 건 주변 환경이 추워서 그럴 수 있으니 점검할 필요가 있겠구요옷을 따뜻하게 입히시고 집안 습도를 잘 맞춰줘야 합니다아이가 아직 돌전이라서 면역력이 약해 감기가 오래가면 열이 오를 수도 있으니깐 콧물감기 약은 의사선생님께 조언을 받으시면 될 것 같아요
육아 /
기타 육아상담
22.01.03
0
0
2602
2603
2604
2605
2606
2607
2608
2609
2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