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기업 실적에서 어닝 쇼크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어닝쇼크 (Earning Shock) 란 기업이 한 해 동안의 실적 발표에 있어서 예상치 보다 훨씬 미치치 못하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그렇기에 이런 결과는 주로 주가의 하락을 동반하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삼성전자가 최근 전녀도 대비 약 95% 실적 감소가 있었기에 이를 큰 틀에서 어닝쇼크라고 부를 수 있을 것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4.11
0
0
해외 브랜드가 한국에만 들어오면 원산지보다 많이 비싸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바로, 경쟁 상대가 별로 없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언급하신 코카콜* 만 보더라도 수입사 한 곳이 판매 전권을 확보해서 물건을 공급하기에 자기들 마음대로 가격 책정을 할 수 있는 지위에 올라서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른 외국의 유명 프렌차이즈, 브랜드 등도 비슷한 내용이기에 자기들 마음대로 가격 책정을 해서 일반적으로 비싸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4.10
0
0
레포와 역레포란 어떤 의미이고 언제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레포는 환매조건부채권의 약자입니다. 이는 돈이 필요한 금융 회사가 채권을 맡기고 자금을 빌리는 행위로, 유동성 (현금) 공급을 의미합니다.역레포는 역환매조건부채권의 약자입니다. 이는 레포의 반대 개념으로 돈을 시장에서 거둬드리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4.09
0
0
미국의 상업용 부동산 위기 가능성이 제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복합적인 이유인데 펜데믹을 거치면서 재택 근무의 수요가 늘어서 오피스 등의 상업용 부동산의 수요가 줄어든 것과역시 펜데믹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미국 연준이 금리를 높이 올렸기에 상업용 부동산 소유주들의 이자 부담이 높아지는 것 등으로 인해서 상업용 부동산의 위기의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경제 /
대출
23.04.09
0
0
B2B, B2C 등의 약어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B2B 란 Business to Business를 의미합니다. 이는 전자 상거래를 구분한 것으로 기업과 기업간의 거래를 의미합니다. 즉, 판매자도 구매자도 모두 기업인 경우에 해당됩니다.B2C 란 Business to Customer를 의미합니다. 이 역시 전자 상거래를 구분한 것으로 기업과 소비자 간의 거래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B2C는 인터넷 쇼핑몰입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4.08
0
0
Bull Market이라는 용어의 의미는 어떤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Bull Market은 Bear Market의 반대되는 의미로 강세장을 의미합니다. 강세장이란 향후 미래에 지속적인 주가, 경제, 부동산 등의 상승장을 의미합니다. Bear market과 마찬가지로 Bull market은 황소가 두 뿔로 힘차게 위로 올리는 공격을 하기 때문에 들어올리는 = 강세장 이 되어서 이렇게 부르게 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4.07
0
0
Bear Market은 어떤 상황을 의미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Bear market이란 주식 시장에서 약세장을 의미하게 됩니다. 즉, 장시간에 걸쳐 주가를 비롯한 자산 가격에 있어 지속적인 하락하고 있거나 앞으로 하락이 예상되는 상황을 약세장이라고 하며 영어 표현이 Bear Market인 것입니다. 이 표현에 곰이 들어가는 것은 곰은 자신의 앞발을 이용해서 위에서 아래로 내리치는 공격을 하기 때문에 오르지 못하고 내려가는 모습이 연상되기 때문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4.06
0
0
은행 대출시 가산 금리가 붙는데, 가산 금리는 어떤 것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예 ! 질문하신대로 은행에선 대출 이자를 기준 금리 + 가산 금리에 우대 금리를 제하는 방식으로 결정하는데가산 금리라는 것은 말 그대로 기준 금리에 추가되는 금리를 의미합니다. 즉, 가산 금리에는 은행이 영업을 위해 들어가는 비용, 법적 비용, 위험 프리미엄 등으 추가되어 결정됩니다.
경제 /
대출
23.04.05
0
0
GDP, GNI, GNP 등의 정확한 의미와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1. GDP (Gross Domestic Product - 국내총생산) 한 나라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의 경제 주체가 일정 기간 내에 생산된 모든 최종 재화와 서비스를 시장 가격으로 평가한 것을 의미합니다.2. GNP (Gross National Product - 국민총생산)한 나라의 모든 국민이 일정 기간에 생산한 모든 최종 재화 서비스를 시장 가격으로 평가한 것을 의미하는데, 여기서 모든 국민은 외국에 거주하는 국민도 포함된 것입니다. 다만, 더 이상 GNP가 사용되진 않습니다.3. GNI (Gross National Income - 국민총소득)앞선 GNP를 대체하는 수치입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4.04
0
0
리스크 헷지하다는 뜻은 무엇을 의미하는지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우선 헷지란 단어는 영어로는 Hedge로 문자적인 의미는 울타리를 치다라는 뜻입니다. 우리가 울타리를 치는 이유는 내 재산의 영역을 표시하고 내것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기에 리스크 헷지 (Risk Hedge) 를 하다라는 의미는 결국 위기로부터 내 자산을 보호하다 혹은 위기에 대한 대비책을 준비하다 혹은 위기 관리를 하다 정도의 의미입니다.그렇기에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와 리스크 헷지는 결국 같은 맥락의 뜻으로 볼 수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4.03
0
0
5842
5843
5844
5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