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오래된 창고에서 알하면 유행성출혈열걸리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철원 한탄강 근처에 있는 보일어 창고에서 일을 하셨는데 유행성출혈열이 걱정이 되셨군요결론은 말씀드리면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알고 계시는 것처럼 유행선 출혈열의 경우 한탄 바이러스에 감염된 쥐 배설물에 있던 바이러스가 먼지와 함께 공기 중에 퍼지면서 호흡을 하거나 눈, 코, 입, 또는 상처가 난 피부를 통하여 감염이 되는 것인데요주로 쥐가 서식 할 것 같은 숲, 논, 산등 야외, 쥐의 배설물이 있는 곳, 농장이나 농가, 실험실(쥐를 사용하는)등에서감염이 됩니다.환자분의 의심되는 환경이 낡고 오래되기는 하였지만 주변에 쥐의 흔적은 없다고 하셨기 때문에 감염에 대해서는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유행성 출혈열의 경우 초기 증상은 감기나 독감 같은 질환과 뚜렷하게 구별이 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환자분은 조금이지만 애매한 정황이 있으니 감기 증상 혹은 독감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진료를 받으셔서확인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11.11
0
0
소변에 갈색인가 빨간색 같이 쎡여 나와서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소변에서 빨간색인지 갈색인지 섞여나와서 병원에 갔다가 별 문제가 없다고 들으셨는데지속이 되서 걱정이 되신다는 말씀이시죠?결론을 말씀드리면 병원을 가셔야 합니다. 일단 진료를 직접 보신 선생님께서 특별한 문제가 없다고 하셨으니 크게 걱정할 것은 없을 것 같습니다.혈뇨가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는 있습니다.하지만 지속이 되거나 반복적으로 혈뇨가 나타난다면 일시적인 혈뇨가 아니라 원인이 있는 혈뇨로 생각을 합니다.혈뇨의 원인으로는 결석 감염등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많은 경우 일정 증상을 동반합니다. 결석의 경우는 심한 통증 감염의 경우는 고열 그 이외 전신질환의 증상의 하나로 혈뇨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단지 증상을 동반하지 않고 혈뇨가 나오는 경우는 암과 같은 악성병변의 가능성도 고려해야 할 것 같습니다.따라서 너무 걱정을 하실 필요는 없지만 병원에서 검사는 받아보셔야 합니다. 그리고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을 해보셔야 합니다.
의료상담 /
비뇨의학과
25.11.11
0
0
혈변인가요..? 걱정됩니다ㅜㅜㅜ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대변색이 이전과 달라서 걱정이 되시는 모양이군요결론은 먼저 말씀드리면 경과를 두고 보셔야 합니다. 환자분이 말씀하시는 검은변 그러니까 흑색변은 위장관출혈인 경우 생깁니다. 이 경우 확인은 위내시경을 통하여 할 수 있으며 일부이기는 하지만 혈액검사를 통하여 빈혈이 있다면남자분이 빈혈이 생기는 경우가 많지가 않으니 의심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보다 흔한 것은 변색이 어둡거나 까맣게 나올 수 있는 무엇인가를 드셔서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감초, 초콜릿 쿠키, 블루베리, 비트, 선지국등 여러 가지 먹거리로 인하여 대변색이 어두워지거나 검게 나올 수 있습니다.걱정하시는 대장암의 경우 혈변이 나온다고 하면 혈액이 나오는 경우가 많으며 흑색변이 나오는 경우는 흔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암으로 인한 병변은 일시적이지 않고 지속이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장암에 대한 걱정을 지울 수 없다면 이는 검사를 통하여 확인하는 수 밖에는 없습니다. 복부CT와 대장내시경을 통하여 확인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환자분의 경우는 우선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경과를 확인을 해보세요 일단 변에 혈액이 보이는지 혹은 변이 검은지(검으스름한 것이 아니라 춘장처럼, 석탄처럼 까만거)를 확인을 해보세요이후 경과를 확인을 해보세요 지속이 되는지 일시적인지를 확인을 해보세요.이 정도면 될 것으로 생각이 되며 하지만 너무 걱정이 심하면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1.11
0
0
자고 일어날때마다 팔 통증이 생겨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자고 일어날 때마다 통증이 생긴다는 말씀이죠? 시간은 몇 시간 정도면 다시 좋아지구요제 생각에는 밤에 통증이 느끼는 부분을 압박하고 주무시는 것이 아닌가 싶네요그래서 자고일어날 때마다 통증이 생기는 것이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하지만 이전에는 그런 적이 없다가 토요일부터 해당증상이 생긴 것으로 보아서토요일에 주무실 때 조금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후에는 조금씩 압박을 가할 때마다 통증이 발생하는 것 같구요환자분과는 약간 다르지만 비슷한 것으노 '토요일밤 증후군(Saturday night palsy)'라는 것이 있습니다. 술을 과하게 드신다음 소파등에 팔을 걸고 잠들었을 때 장시간 압박을 하면서 신경에 장애가 생기는 것인지요토요일 밤에 술을 많이 드신다고 이름도 토요일밤 증후군입니다.일단은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증상이 반복된다는 점에서 정황이 의심되더라도 진료는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혹시라도 모를 불상사를 방지할 수 있겠습다.병원을 방문하셔서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겠으며 진료과는 정형외과를 고려해주세요
의료상담 /
정형외과
25.11.10
5.0
1명 평가
0
0
대장내시경 검사는 언제 받아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어머니분께 대장내시경 검사를 권하고 싶으신 것이로군요결론은 말씀드리면 증상이 있을때(증상이 걱정될 때)는 바로 받으시고 그렇지 않다면 40세 이상에서는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우선 소화기 증상은 있는데 일시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일단 받으셔야 합니다.Predictive values of colorectal cancer alarm symptoms in the general population: a nationwide cohort study(British Journal of Cancer (2019) 120:595–600;)위의 표는 대장암에서 보여질 수 있는 증상에 대한 통계지수를 나타낸 것인데요혈변의 경우에 가장 유의하기는 하지만 그 이외 증상 설사, 변비, 복통, 빈도, 양상등 거의 모든 증상이 대장암과 관련이 있습니다. 사실 당연한 이야기이기도 하구요. 따라서 이전에는 없었는데 언제부터인다소화기 증상이 있고 그것이 일시적이지 않다면 일단은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과거에는 50세부터라고 이야기했지만 근래는 45세 정도부터라고 합니다. 위의 자료를 보시면 40대에서 50대로 가면서 급증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하게 생각한다면 대량 40세 이후부터는 검사를 받으시는 것을 고려하시는 편이 좋습니다.여성에서 대장암의 발생률은 높은 편입니다. 특이 유방암 갑상선암이 여성에서 특별하게 많이 발생한다는 것을고려하면 이 두개를 제외하였을 때 대장암 발생률이 얼마나 높은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분이 충분하게 사신다고 하였을 때 평생 암에 걸릴 가능성이 36% 정도라고 합니다. 그리고 암에 걸린다면 이후의 확률은 위의 표와 비슷하게 진행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으시는 이유로는 충분할 것입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1.10
0
0
대변검사로 위험성을 판단할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대변검사에서 이상은 없었는데 이런 경우 정말로 이상이 없는지가 궁금하셨군요결론을 말씀드리면 분변잠혈검사 단독으로는 충분하다고 할 수 없습니다. 대변검사는 잠혈을 검출하는 것이지요 따라서 진행된 대장암의 경우 많은 경우 출혈도 동반이 되니 검출이 가능할 것입니다. 하지만 대장암이 있다고 하더라도 출혈이 없거나 출혈이 있더라도 양이 적은 경우 대변검사에서 확인할 수가 없을 것입니다. 당연히 용종은 더욱 확인이 어려울 것이구요..일반적으로 분변잠혈검사의 경우 음성예측도는 상당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검사자체의 민감도가 낮기 때문에 이를 선별검사로 사용하는 것으 권장할만하다고 할 수 없겠습니다. 물론 환자분의 연령대에 대장암의 발생률은 낮은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분변잠혈검사만으로 확인을 하시는 것은 부족함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근래 들어 젊은 층에서 대장암의 발생률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또한 한국은 대장암의 발생률이 높은 나라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분변잠혈검사만에 의존하지 마시고 중간중간 다른 검사(대장내시경 포함)도 추가적으로 확인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1.10
0
0
건강검진에는 엄청 건강한 것으로 나오는데 왜 자주 아플까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건강검진에서는 이상소견이 나오지 않는데 환자분은 불편한 부분, 특히 두통이 있으셔서 이해도 되지 않고 궁금하셨군요 충분히 이해합니다. 환자분처럼 불편하신 분이 건강검진을 받고 나셔서 물어보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디어디가 아픈데 왜 건강검진을 받으면 이상이없느냐고...나는 이렇게 아픈데 말이야...하시면서 말입니다.결론을 먼저 말씀드릴께요. 건강검진은 현재 불편한 증상이 없는 사람을 대상으로 합니다.건강검진을 가시게 되면 일부 병원에서는 "환자분..."이라고 말하시는 하지만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수검자분..."이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왜냐하면 건강검진을 하시는 분은 아파서 오시는 분이 아니기 때문에 환자가 아닌 것이죠.또한 "내가 평소에 잘 체하니까 건강검진을 할 때 소화에 관련된 것을 해야겠다...위내시경 복부초음파 그리고..."라든가"제가 가끔 체하는데 이중에서 어떤 검사를 하면 될까요...여기 몇 가지에서 골라야 되요..."라든가 하는 것이 전형적인 패착입니다. 이유는 말씀드린대로 건강검진은 무증상 성인을 대상으로 발생률에 따라 해당질환(주로 심혈관계질환과 암)을 발견하기 위한 검사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내가 평소에 잘 체하니까 건강검진을 할 때 소화에 관련된 것을 해야겠다"이러한 예정으로 건강건진을 하게되면 얻을 수 있는 결과는 "검사한 장기에는 암이 없습니다. 체하시는 이유는 모르겠네요" 이런 답이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우선적으로는 내과, 여기서는 소화기내과가 되겠네요. 내과 선생님한테 진료를 받으시고 검사라 "필요하다면" 그 때 검사를 해보시면 됩니다. 환자분 두통이 있으시다구요? 그렇다면 건강검진을 할 것이 아니라, 머리 MRI를 찍을 것이 아니라 먼저 신경과 진료를 받아보셔야 합니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검사를 받아보시면 됩니다. "머리가 아픈데 MRI를 찍어봤는데 아무 이상이 없어요..그런데 왜 아픈 걸까요?" MRI는 검사비가 비쌀뿐 수많은 검사 중 하나일 뿐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밝힐 수 있는 질환역시 한정되 있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1.10
5.0
1명 평가
0
0
심전도패치(빠른답변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1.그렇지는 않습니다. 심전도만 모니터를 합니다2.그러시지 않아도 됩니다. 자연스럽게 측정을 하시면 됩니다.부정맥으로 검사를 하시는데 심전도 패치를 일주일 붙이셔야 하는군요홀터검사를 하시는 것 같습니다. 결론은 말씀드리면 아무 신경쓰지 마시고 측정하시면 됩니다.흥분하면 흥분하시는 대로 화나거가 싸우면 그런대로 측정하시면 됩니다.이런 경우에는 부정맥을 더 유발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관찰하려고 하는 목적도 있습니다. 단지 심전도패치가 떨어지지않게 조심을 해주세요홀터검사는 일상생활 속에서 환자분한테 부정맥이 발생하는지 확인하려는 것입니다. 부정맥이 심하신 분이 아니라면 병원에서 잠깐 심전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부정맥이 확인이 되거나하지는 않으니까요. 홀터검사를 통하여 여러 가지 상황속에서 연속적인 심전도의 변화를 확보함으로써 환자분한테 부정맥이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려는 것이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검사를 받으세요. 술은 만약 하신다면 검사하시는 동안에는 피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1.10
0
0
요번토요일에 건강검진을 할려고 하고있는데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이번 토요일에 건강검진 예정이신에 현재 약을 드시고 있어서 걱정히 되시는군요결론을 먼저 말씀드리면 크게 문제가 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약물의 복용으로 인하여 생길 수 있는 문제는 보통 혈액검사입니다. 특히 간기능 검사의 경우 약물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환자분이 드시는 약은 진통제 근이완제 소화제 관절염약인데요이중 문제가 될 수 있다면 진통제일 것 같은데 장기간 복용하는 것이 아니라면 혈액검사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만약 당일 약을 드시게 된다면 위내시경 복부초음파에도 영향이 있을 것 같습니다. 위내시경은 왜 그런지 직관적으로 아실 수 있을 것 같고 복부초음파의 경우는 약을 복용하면서같이 마시게 되는 공기로 인하여 관찰에 제한이 오게 됩니다.담당선생님께 확인을 해보셔야 하겠지만 통증만 없다면 현재 드시는 약이 장기간 꾸준하게 드셔야 할 약물로는 보이지 않습니다. 한번 담당선생님과 상의를 해보셔서 토요일에 건강검진인데 약을 중단해도되는지 아니면 일시적으로 중단해도 되는지 확인을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1.10
5.0
1명 평가
0
0
혈뇨 신경쓰이는일 있으면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혈뇨가 나와서 걱정이 되시는 것이군요결론을 말씀드리면 그럴 수 있습니다. 일시적으로 혈뇨가 나올 수 있으며 원인으로 스트레스, 피로누적 , 심한 운동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혈뇨가 나오거나 아니면 반복적으로 혈뇨가 나오거나 할 때는 기저질환 여부를확인하기 위하여 진료를 받으시고 검사를 해보셔야 합니다.혈뇨의 원인으로는 원인미상 결석 감염(방광염등) 등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가장 걱정하는 것은 비뇨기계 종양이구요초반에 드물지만 혈뇨로만 관찰이 되는 경우가 있거든요따라서 환자분 일단은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경과를 확인을 해보세요그럼에도 지속되거나 혹은 반복이 된다면 정밀검사를 위하여 비뇨기과 진료를 받아보시구요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11.10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