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정말로 무리한 운동이 암 발병에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무리한 운동이 암을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를 보셔서 걱정이 되셨군요결론은 먼저 말씀드리면 운동을 하신다고 해서 암을 유발한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아직까지는 없습니다.일단 연구결과를 둘째치고 과도한 운동이 건강에 좋지않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이야기이니 넘어가겠습니다.운동을 과도하게 하면 안 된다는 것 역시 잘 알고 계실 것이구요과도한 운동이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이야기는 아직까지는 실험실 결과에 머물러 있습니다.과도한 운동으로 lactic acid가 축정이 되는데 이들이 암세포의 성장이나 진행을 촉진시키기 때문인데요하지만 이는 실험실 이야기일 뿐이며 아직까지 인체에서 증명이 된 것은 아닙니다. 그나마 비슷한 것이 있다면 운동선수들의 암발생률을 연구한 것인데 이 경우 피부암에 대한 이야기는 나오지만나머지 암좋에 있어서는 예상하시는 바와 같이 위험성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어 왔습니다. 그러다가 최근 하나의 연구결과가 논란을 주고 있는데요. 아직까지 논문이 나온 것은 아니지만 학회에서 발표한 내용으로 달리기를 과하게 하는 사람들 100명을 조사하였을 때(평균연령 42세, 남성 45명, 여성 55명) 참가자의 절반 정도에서 선종이 발견되었고 15%정도에서는 진행성 선종이 발견되었다고 합니다(J Clin Oncol 43, 3619(2025); Risk of pre-cancerous advanced adenomas of the colon in long distance runners) 그렇다고 해서 이게 달리기와 암종의 직접적인 관련을 시사한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다른 여러 원인, 허혈성 대장염이라던가 에너지 보충을 위해 섭취하는 음식물등 여러가지 가설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과는 별도로 운동에 있어서의 심현관질환과의 관계, 호흡기질환, 만성질환등등 수많은 질환에서의보호효과는 이미 증명이 된지 오래이기 때문에 단순히 이러한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는 것이 불안함을 느끼셔서운동을 피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원하시는대로 운동을 하시되 무리하지 마시고 증상의 경과를 확인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3일 전
5.0
1명 평가
0
0
혈액검사를 진행했는데 빈혈수치가 정상치보다 낮음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빈혈수치가 정상범위를 벗어나 있어서 걱정이 되시는 것 같습니다.우선 걱정이 많으시니 결론부터 먼저 말씀드릴께요.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이유는 단순합니다. 진료를 받으시는 병원에서 "괜찮다 신경쓰지않아도된다"고 이야기했기 때문입니다.우선 환자분에게 검사항목의 정상범위에 대해서 말씀을 드릴께요.정상 범위라는 것은 이 범위를 벗어나면 이상하다! 병이다! 이런 뜻이 아닙니다. 해당병원에서 건강한 성인으로 확인된 사람들 중 일부의 평균값을 이야기합니다. 따라서 건강한 성인중일부는 정상범위를 약간 벗어날 수 있고 그중 더 일부는 조금 더 벗어날 수 있습니다.또한 검사하는데 사용하는 기계도 오차범위가 있습니다. 그리고 검사를 받는 환자 개인도 변동성이 있습니다.결국 정상범위라고 하는 range 여기서는 업로드해주신 자료를 보니 13-17.5가 되겠네요 여기서 어느 정도 변동성을가질 수 있습니다. 만약 질환이라고 한다면 예를 들어 환자분이 말씀하신 혈액감이라면 빈혈수치만 이상이 생기거나 하지 않습니다.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림프구등등 검사지에 나온 많은 항목에서 이상소견이 보일 것입니다. 그리고 다른 원인으로 인하여 발생한 빈혈이라고 하면 그 역시 간기능검사를 비롯한 여러 가지 항목에서 같은 이상이 보일 것입니다. 그리고 어딘가에서 피가 새고 있는 것이라면 지속적으로 악화될 것이구요. 4개월에 한번 검사를 하신다고 하셨죠? 그 정도면 상당히 빈번하게 하시는 것입니다. 아마도 환자분이 진료받으시는 병원에서 이 모든 것을 검사하고 확인하고 이상이 없다고 결론을 내렸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를 환자분에게 말씀들 드렸을 것입니다. 어찌되었던 "괜찮다 신경쓰지않아도된다"라는 이야기에는 이 모든 이야기가 함축되어 있다고 고려하시면 됩니다.따라서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현재 병원에서 꾸준하게 추적검사를 받으시면 되겠습니다.그리고 증상이 지속 혹은 악화되면 잊지말고 진료를 받으시구요
의료상담 /
내과
3일 전
5.0
1명 평가
1
0
마음에 쏙!
100
목이 아침부터 너무 아파서 병원을 갔다 왔습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현재 인후통이 있으신 것이네요 아직 병원은 가지 않으신 것이구요사실 방법은 간단하며 환자분도 알고 있지요 병원 진료를 받으시면 됩니다.근래 독감이 참 많아요. 아직 증가추세인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독감, 그러니까 인플루엔자의 경우 인후통만 있고 고열, 몸살이 없는 경우는 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는 없지는 않다는 뜻도 됩니다. 실제 인후통만 있는 경우도 있고 약간 불편한 경우도 있고 무증상도 있습니다.또한 일반 감기일 수도 있지만 가끔씩 나타나는 코로나인 경우도 있구요또한 인후통을 유발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편도염등도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분은 일단 병원진료를 받으시고 검사를 해보셔야 합니다. 그래서 진단명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이유는 그렇게 하셔야 특정약제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항진균제등을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증상만 호전시키면저절호 회복이 되는 것인지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부 상기도 감염에서 합병증으로 폐렴등이 생길 수 있다는 이야기는 알고 계시지요?문제는 이런 질환이 왔을 때 증상이 애매할 수가 있어서 확인할 방법이 없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병원 진료를 받으시고 검사를 해보세요. 그래서 감기면 그러면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좋아질터이니걱정하실 필요가 없는 것이지요
의료상담 /
이비인후과
3일 전
0
0
대장암은 아닐까 걱정이 됩니다 제발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여러 가지 불편하시겠네요. 식사를 원래대로 하지 못하셨으니 체중은 당연히 빠졌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이제 서서히 원래대로 올라오겠죠. 하지만 여러모로 걱정이 되시는군요암인지 아닌지 확인을 하는 방법은 암이 진행이 되어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를 제외한다면 검사를 통하여 확인을 하는 방법 이외에는 없습니다. 따라서 큰 질병이 아닐까 걱정이 되시는 것을 해결하는 방법은 종합검진을 받아보시는 것 이외에는 방법이 없습니다. "누가 그걸 모르나요? 시간도 없고 비용도 많이 드니까 그렇지요" 라고 하실 수도 있지만 진행된 상태가 아닌 암의 경우 무증상이거나 증상이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의심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체중감소가 물론 중요한 소견이기는 하지만 환자분처럼 일정기간 자의/타의로 식단을 하시는 경우 그 또한 증상이 헷갈릴 수 밖에는 없습니다. 단지 확인을 할 때 아래 발생률을 참고하신다면 조금더 전략적으로 검사를 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대장암의 경우도 혈변이 중요한 증상이기는 하지만 다른 증상 역시 나타납니다.Predictive values of colorectal cancer alarm symptoms in the general population: a nationwide cohort study(British Journal of Cancer (2019) 120:595–600)복통 배변빈도 배변양상 설사 변비 복부팽만감 등등 대장암의 증상은 다양합니다. 혈변이 특이적인 증상일 뿐 혈변이 없다고 해서 대장암이 아니라 단언할 수는 없습니다.따라서 대장암에 국한하여 말씀을 드리면 많이 걱정이 되시면 대장내시경을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 최소한 대장암에 한해서는 걱정을 덜으실 수 있겠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3일 전
0
0
당뇨판정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당뇨를 진단하는 기준이 궁금하셨군요. 혈액검사로 확인을 합니다. 공복혈당은 식사를 끝내고나서 8시간뒤 측정한 혈당을 말합니다. 9시간 10시간 더 굶는다고 결과가 유의미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시간을 가능한 맞춰주셔야 합니다. 공복혈당이 126mg/dL를 넘어가게 되면당뇨병으로 진단이 됩니다.식후혈당은 식사를 시작하고나서 2시간이 지나서 측정한 혈당을 말합니다. 이 경우 그러면 식사를 2시간 이상 하는 경우는 어떻게 하냐고 가끔 물어보시는 분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2시간 이상 하는 경우 이외에 측정을 하시면 됩니다. 매끼마다 2시간 이상 식사하지는 않을테니까요. 식후혈당이 200mg/dL를 넘어가는 경우 당뇨병으로 진단이 됩니다.당화혈색소는 2-3개월동안 평균혈당을 반영합니다. 당화혈색소가 6.5%를 넘어가는 경우 당뇨병으로 진단이 됩니다.이렇게 3가지를 측정합니다. 3가지 중 하나라도 해당이 되는 경우 당뇨로 진단이 됩니다.이보다 수치가 낮다고 해서 정상인 것은 아니며 당뇨전단계라는 것이 있습니다.공복혈당의 경우 100mg/dL~125mg/dL, 식후혈단의 경우 140mg/dL~199mg/dL, 당화혈색소 5.8%~6.4%여기에 해당이 되는 경우 당뇨전단계라는 표현을 씁니다. 공복혈당이 해당이 되면 공복혈당장애, 식수혈당이 해당이되면 내당능장애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따라서 당뇨관련하여 정상이라면 공복혈당의 경우 100mg/dL미만, 식후혈단의 경우 140mg/dL미만, 당화혈색소 5.8%미만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물론 너무 낮으면 안 되겠지요.
의료상담 /
내과
3일 전
0
0
내일 전신 마취로 수술하기로 했는데 감기에 걸렸습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내일 전신마취를 하여 수술을 할 예정인데 감기에 걸려서 고민이신 것이로군요일단 담당의료진과 상의를 해보시고 수술여부를 정하시면 됩니다. 행여나 3주전부터 예약을 했다던가, 병가를 신청했다던가등의 이유로 '혹시나 수술이 취소되면 어쩌나.." 하는 마음에담당의료진에게 감기에 걸렸다는 이야기를 하지 않거나 하는 행동은 피하시기 바랍니다.전신마취는 마취과의사가 진행을 하는 경우 크게 위험하거나 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드물게도 부작용이 발생을 합니다. 전신마취의 경우 부작용이라고 하면 대부분 생가를 다투는 문제일 수 있기 때문에 "절대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을 상황"을 미리 조성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해야 합니다. 환자분이 현재 몸 컨디션을 담당의료진에게 바로바로 이야기하는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 또한 무사히 수술을 마쳤다고 하더라도 전신마취후에는 우선적으로 호흡기감염에 취약하게 됩니다. 만약 수술전부터 호흡기감염에 걸려있다면 이 문제는 더 말할 필요도 없겠지요. 따라서 수술을 할 수 있을지 없을지 그런것을 너무 신경쓰지 마시고 일단 담당의료진에게 감기에 걸린 사실을 이야기를 하시고 상담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이후 전신마취로 수술하기가 어렵다고 결론이 나게되면 수술을 연기하시구요. 수술을 할 때는 안전이 최고로 중요합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3일 전
0
0
식후혈당과 공복혈당의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당뇨를 검사할 때는 공복혈당, 식후혈당, 당화혈색소를 확인을 합니다.공복혈당은 식사를 끝내고나서 8시간뒤 혈당을 확인하는 것이며식후혈당은 식사를 시작하고나서 2시간뒤 혈당을 확인하는 것입니다.당화혈색소는 2-3개월동안의 평균적인 혈당수치를 확인하는 것이구요이 수치는 모두 독립적으로 확인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 쪽을 우선으로 본다거나 하시는 것은 없습니다.둘다 같이 확인을 합니다. 정확하게 이야기한다면 둘 중 정확하게 측정을 한 쪽을 확인하게 됩니다. 8시간 공복이나 2시간 이후 검사 같은 경우 잘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기 때문입니다. 췌장의 기능만을 특이적으로 확인하고 싶으시면 인슐린 수치 혹은 C-peptide 와 같은 췌장분비기능에특이적인 혈액검사를 확인하게 됩니다.따라서 식후혈당 공복혈당 둘다 당뇨를 확인하는데 중요하며 굳이 중요도를 매긴다면 정확하게 측정된 쪽이라고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췌장기능을 특이적으로 평가하는데는 식후혈당/공복혈당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다고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3일 전
0
0
감기나 독감 걸리면 몸 면역력이 약해지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그렇지는 않습니다. 독감이나 감기에 걸린다고 해서 면역력이 초기화 되거나 하지 않습니다. 단지 완전히 회복이 될 때까지 약간의 영향은 있습니다.둘 다 호흡기 감염이기 때문에 defense mechanism을 일부 약화시키니까요
의료상담 /
내과
3일 전
0
0
매일 유방자가진단을 하는데 고민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우선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30대면 발생률이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아주 조심해야할 연령대는 아닙니다.단지 조금 더 도움이 되는 말씀을 드리자면자가검진 루틴을 정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저희가 보통 병원에서 엑스레이를 찍거나 초음파검사를 하거나 혹은 판독을 할 때도 루틴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저 같은 경우는 12시 방향에서 시작하고 반시계방향으로 합니다. center는 맨 마지막이구요이는 좌우 상관이 없습니다. 좌측을 하든 우측을 하든 12에서 시작해서 반시계방향 그리고 center 죠환자분은 매일 자가검진을 하신다고 하였죠. 그리고 걱정하시는 것은 유방암이구요그렇다면 어제 만져지지 않은 것이 설사 오늘 만져진다고 하더라도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암이라면 하루 아침에 만져지지 않았던 것이 만져진다던가 작았던 것이 커지던가 할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doubling time이 있으니까요..그 대신 병변을 꼼꼼하게 다 확인을 했다는 확신은있어야하겠지요. "내가 여태까지 이 부분을 확인했던가?" 이런 의문을 가지기 시작하면 힘들어지십니다. 검사 잘 받으시고 좋은 결과가 있기를 빌겠습니다.
의료상담 /
산부인과
3일 전
1
0
마음에 쏙!
100
귀 주름.. 한번 봐주세요 ..... 귀 주름인가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김수용씨 일이 언론에 나온 이후로 프랭크징후를 걱정하시는 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결론만 말씀드리면 프랭크징후가 맞습니다. 하지만 크게 의미를 두지 않으셔도 됩니다.프랭크 징후의 경우는 귓볼에 대각선으로 주름이 나있는 경우를 말하는데요아직까지 정확한 기전은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혈관의 노화와 순환장애일 것이라는 보고가 있습니다."이거 프랭크 징후 맞나요?' "이것 대각선 맞나요?" 등등 고민하실 필요 없습니다.한 눈에 봐서 주름이 있다. 그러면 프랭크징후입니다.그러면 궁금하신 것은 프랭크 징후가 있으면 심혈관질환이 있다고 하던데...라는 걱정이실텐데요...프랭크 징후는 일반적으로 드물지 않게 관찰이 됩니다. Prevalence of Frank’s sign in healthy young individual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ts association with family history of chronic disease (Forensic Science, Medicine and Pathology (2024) 20:1187–1192)위자료는 853명의 건강한 젊은 성인(평균연령 20세 전후)에서 조사를 하여서 프랭크 징후가 있었던 사람을 확인한 것인데요. 적지않은 수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결국 프랭크 징후라는 것은 심혈관계 질환 위험군에서 의미가 있습니다.그러니까 술 담배 하고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이 있고 체중이 과다하고 등등등...이러한 대상군에서 프랭크징후가 관찰이 된다. 그러면 주의를 하셔야 합니다. 여기서 함정은 이것입니다. 프랭크 징후가 없더라고 주의를 하셔야 한다는 것이죠. 따라서 크게 의미를 두지 않으셔도 됩니다. 따라서 이거 프랭크 징후 맞나요? 어떻해~~~. 이런 식으로 생각하지 않으셔도 됩니다.심혈관질환의 가능성이 ZERO라고 말씀드릴 수는 없겠지만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앞서 말씀드린대로 위험요인, 술/담배, 과체중, 고혈압/당뇨/고지혈증등을 철저하게 관리하시면 됩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3일 전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