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시대 때에 4군 6진이 정확하게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세종 때 여진족을 물리치고 개척한 지역으로 조선의 대외 정책은 사대교린 정책입니다. 명나라에 대해 사대교린을 실시, 일본과 여진족에 대해 교린 정책을 실시했는데 교린 정책은 회유책과 강경책을 병행해 실시하는 정책으로 4군 6진 개척은 여진족에 대한 강경책이고 사신파견, 북평관 설치 등은 회유책으로 4군은 압록강 상류지역으로 최윤덕이 확보한 지역, 6진은 두만강 유역으로 김종서가 개척한 지역입니다.
학문 /
역사
23.06.24
0
0
벽화를 그릴 때 썼던 프레스코 기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프레스코 기법은 벽화의 대표적인 기법으로, 바탕인 회반죽벽이 아직 마르지 않은 축축할때 물로 녹인 안료로 그리는 부온 프레스코 기법, 그 기법으로 그려진 벽화를 말합니다.
학문 /
미술
23.06.24
0
0
하이힐은 처음에는 남자가 신었다고 하던데 맞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하이힐은 중세에는 남성 귀족들의 패션용품이었습니다.기원은 3,500년경 이집트로, 고위층일수록 자신을 돋보이게 꾸미고자하여 고위층의 욕망이 만들어낸 사치품의 일종이었습니다.하이힐을 신음으로써 키를 높여 하위 계급인 사람들보다 더 커보이려는 것이 그 목적이었습니다.또 말을 탈 때 발걸이에 발을 잘 걸칠수 있게 하기 위한 용도였기 때문에 당연히 남자들이 주로 신는 신발이었고 여성은 이보다 늦게 착용하기 시작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4
0
0
영화 파리넬리에 나오는 거세한 남성이 실제 존재 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카스트라토는 변성기 이후 음역이 내려가는 것을 막고 여성의 음역을 내기 위해 거세한 가수를 말합니다.이는 20세기 초반까지 있었고, 최후의 카스트라토는 알레산드로 모레스키 입니다.
학문 /
역사
23.06.24
0
0
MBTI를 처음 발명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MBTI는 마이어스-브릭스 유형지표로, 작가 캐서린 쿡 브릭스와 그녀의 딸 이자벨 브릭스 마이어스가 카를 융의 초기 분석심리학 모델을 바탕으로 1944년 개발한 자기보고형 성격유형 검사 입니다.이 지표는 본래 2차 세계대전의 발발 이후 징병제로 인해 발생한 인력 부족 및 총력전으로 인한 군수 공업의 수요 증가로 남성 노동자가 지배적이던 산업계에 여성이 진출하게 되자 이들이 자신의 성격 유형을 구별하여 각자 적합한 직무를 찾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4
0
0
노예제도는 언제 처음 생겨났으며 언제 없어졌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의 노예 제도는 주로 아프리카인들을 노예화하는 법적 제도로 독립하기 이전부터 남북 전쟁이 끝날때까지 미국에 존재했습니다.노예제도는 초기 식민지시절부터 실행되었으며 1776년 독립 선언이 발표될 당시 모든 13개의 식민지에서 합법적이었습니다.1860년 11월 노예제를 반대하는 에이브러햄 링컨이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자 이에 반발한 남부의 주들이 연방에서 탈퇴, 다음해 4월 남북 전쟁이 일어났고, 링컨 대통령은 전쟁 중에 노예 해방 선언을 발표, 1863년 1월1일부로 남부연합 내 노예들을 해방시킵니다.북부의 승리로 종전된 후 1865년 미국 수정헌법 제 13조에서 전국의 노예 제도를 금지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4
0
0
바이킹은 어떤 사람들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스칸디나비아 반도에 살던 노르만인들 중 모험과 싸움을 좋아하던 젊은이들이 사방으로 흩어져 러시아, 영국, 프랑스를 점령, 더 나아가 에스파냐와 북아프리카까지 손에 넣었는데 이들을 바이킹이라 합니다.배 타는 재주가 뛰어났으며, 동방과 많은 교역을 이루었고 , 세계적으로도 위생을 무척 중시하는 문화를 가지고있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4
0
0
도마 안중근 의사의 호인 도마는 무슨 뜻인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안중근의 가톨릭 세례명은 토마스인데, 이것에서 도마 안중근이라는 호칭이 나왔으며 과거 한국 가톨릭에서 사도 성 토마스를 종도 성 도마로 음차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철학
23.06.24
0
0
조선시대 화가 김홍도와 김득신은 ‘대장간’이라는 같은 주제의 그림을 그렸는데, 두 그림은 어떤 차이를 보여주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장 큰 차이는 김홍도가 서민의 일상생활 정경을 배경 없이 집중적으로 묘사해 주제를 두드러지게 표현했고, 김득신은 이에 배경을 추가하여 보다 자연스러움을 강조했습니다.
학문 /
미술
23.06.24
0
0
쿠데타는 어디서 나온 단어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프랑스어의 쿠데타에서 유래된 말로 직역하면 나라의 타격이라는 뜻입니다.보통 프랑스어인 쿠데타를 사용하는 것은 그 전형적인 예가 프랑스이기 때문인데 , 1799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서 시작되었다고 봅니다.
학문 /
역사
23.06.24
0
0
1054
1055
1056
1057
1058
1059
1060
1061
1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