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야묘도추’ 작품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득신은 그만의 예리한 관찰력을 통해 영상을 보는 것 같은 생생함을 그림속에 표현했으며, 그림 속 어미닭의 화가 난 빨간 눈과 잔뜩 흥분한 날개를 보더라고 김득신의 관찰력이 얼마나 뛰어난지 알수 있습니다.김득신은 그 당시 잘 그리지 않던 배경을 섬세하게 그려내는 화가로 가장자리 나뭇가지, 떨어지는 탕건 하나 허투루 그리지 않았고 그림 속 하나하나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학문 /
미술
23.06.20
0
0
조선시대 백성들도 막걸리를 마셨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의 백성들은 거르지도 않고 짜지도 않고 그대로 마시는 술인 탁주를 즐겼는데 이것이 막걸리이며 탁주는 가장 대중적으로 유통되는 술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18
0
0
1796년 진산 사건은 어떤 사건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791년 전라도 진산에 사는 윤지충, 권상연 이라는 두 선비가 부모의 제사를 거부하고 위패를 불태운 사건으로 당시 조선은 주자학을 바탕으로 예학을 중시하여 이 사건을 매우 위중한 것으로 받아들였습니다.진산 군수 신사원이 윤지충과 권상연을 체포하여 공주감영으로 압송, 감사 정민시의 추궁에 위패를 불태웠다고 자백했습니다.윤지충과 권상연은 천주교 신자였으며 교리에 따라 조상의 제사를 거부하고 위패는 불태운 것인데 정조는 이들의 사형을 명령했습니다.윤지충과 권상연은 전주 풍남문 밖에서 참형에 처해졌는데 진산사건의 전모는 서울로 전해졌으며 정치적인 파장 또한 컸고 정조는 서인을 견제하기 위해 남인을 등용했는데 정치적으로 남인에 속했던 윤지충과 권상연으로 인해 서인이 남인을 공격하는 빌미를 제공했습니다.윤지충은 정약용과 외가 친척간이었으며 정약용은 진산사건으로 노론의 정치공세를 받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06.18
0
0
부메랑이라는 물건은 역사적으로 언제 처음 만들어졌고 그 동안 어떻게 사용되어왔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호주 원주민들의 전통 도구이며, 단어 또한 호주 원주민 언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원시인들이 사냥을 목적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하며 우연히 던진 나무 지팡이가 되돌아오는 현상을 발견하여 알게된 것으로 봅니다.
학문 /
역사
23.06.18
0
0
가톨릭 역사에서 교황은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요 최초의 교황은 누구였습니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초대 교황으로는 성 베드로인데, 개신교는 교황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진짜 초대 교황인지는 개신교와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18
0
0
세계최초 금속활자는 어느나라에서 사용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직지심체요절은 세계 최초로 고려에서 발명한 금속을 이용한 인쇄술로 만든 책입니다.
학문 /
미술
23.06.17
0
0
동양철약의 내용을 모아놓은 도서를 읽다가 '목불인견( 目不忍見)'이라는 사자성어를 보았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눈으로 차마 참고 볼수 없음을 이르는 말로 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비참하거나 안타까운 모습을 가리킬 때 쓰이는 표현입니다.
학문 /
철학
23.06.17
0
0
남이 장군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남이 장군은 남이의 옥 사건으로 처형당하게 됩니다.1468년 세조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은 예종의 나이는 19세로 아직 어린 나이였지만 그에게는 처리해야 할 정치 문제가 산적했고 세조가 일으킨 쿠데타를 보좌하며 중앙 정계에 등장한 훈구 대신들을 견제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였습니다.세조의 총애를 받으며 실력자로 등장한 구성군과 남이 등의 종친 세력 역시 어린 왕에게는 큰 부담이었고 이시애의 난을 진압하면서 성장한 무신들도 신경쓰이는 존재였습니다.세조는 재위기간 왕권 강화라는 명분에 따라 종친 세력을 중용, 본래 종친들은 정치에 간여해서는 안되는 것이 고려 이래로 지속된 관행이었고 특히 고려에서는 종친의 자질이 아무리 우수해도 과거에 응시할수 없었습니다.조선에서도 이러한 전통이 이어져 종친의 정치 참여는 제한적이었는데도 세조의 총애를 받은 종친 구성군은 27세의 나이로 영의정, 남이도 28세 병조판서를 역임합니다.이들의 성장은 정국 운영에 골몰하던 예종에게 큰 짐이었고 예종이 종친 세력제거에 고심하던 시점에 남이의 옥이 일어나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06.17
0
0
이시애의 난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시애는 길주 출신으로 함길도를 근거로 한 호족 토반이었고 1458년 경흥진병마절제사, 1461년 행지중추부사를 역임, 1463년 회령부사로 있다가 어머니의 상을 당해 관직에서 물러나 고향에 내려가 있었습니다.원래 함길도는 조선의 왕실 발상지였을 뿐만 아니라, 지리적으로 북방 이민족과 접해 있는 특수 사정을 고려해 지방관은 인망 있는 호족 중 임명해 대대로 다스리게 했고, 남방의 백성을 이주시켜 여진 세력을 꺾는데 힘을 기울였습니다.그러나 왕권을 장악한 세조는 중앙집권 체제 강화의 일환으로 북도 출신의 수령을 점차 줄이고 서울에서 직접 관리를 파견, 이러한 집권책은 북도인의 불만을 사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06.17
0
0
우리나라 화가인 이중섭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중섭은 어려서부터 소를 그리는 것을 좋아했고, 그림을 그릴 때 하루종일 소만 바라봤다고 합니다.또한 농경사회에서 소는 죽을때까지 자기가 맡은 일을 묵묵히 수행하는 동물로 그런 소의 이미지가 일제치하 한국인에게 무슨일이 있어도 독립을 이뤄내겠다는 의지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학문 /
미술
23.06.17
0
0
1081
1082
1083
1084
1085
1086
1087
1088
1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