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서방의 로마교회와 동방교회는 그림에 대해 다른 입장을 취했다는데 어떤 이유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로마는 라틴어사용권, 동로마는 헬라어권이었다가 유스티니아누스1세 이후 동로마제국의 공식 언어는 헬라어로 정해집니다.언어가 다르면 종교문화도 달라지는데 성상사용의 의견 불일치는 두 세계분리의 명분으로 헬라인과 로마인은 고대로부터 성상 사용에 익숙해 제우스나 아테나의 조각품을 제작해 신전에 안치하던 헬라문화의 연장선이었습니다.황제들이 그리스도인이 된 후 이런 관습은 없어지지 않고 관공서, 법정, 군 막사 등에 황제의 성상이 설치되는건 흔한일로 이는 필연적으로 우상숭배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레오3세 황제로부터 시작된 성상파괴운동이 일어났고 시간이 흘러 성상파괴운동은 멈추지만 동방정교회에서 성화는 사용하되 존경의 대상이지 결코 예배의 대상이 될수없다는 것으로 정리되었습니다.
학문 /
미술
23.05.13
0
0
고려시대 전시과에 대해 설명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시정전시과는 고려에서 976년 제정한 첫 전시과로 분급기준으로서 관품과 인품을 아울러 사용했고 분급대상은 광종 때 제정된 자삼, 단삼, 비삼, 녹삼의 사색공복에 따라 4계층으로 구분했고 다시 단삼은 문반, 잡업, 무반으로 , 비삼과 녹삼은 문반, 잡업으로 나눈 뒤 5,8,10,18품으로 세분해 토지를 나누어주었습니다.998년 개정전시과에서는 분급 기준이 관품으로 단일화했고 공복이나 관계뿐 아니라 인품이라는 막연한 요소를 배제하고 오직 관직의 고하에 따라 18과로 구분해 토지를 나누어 주었습니다.개정전시과는 이전의 전시과에 비해 몇가지 다른점이있는데 한회과의 소멸로 이전까지 18과에 속하지 못하고 토지를 받던 계층이 모두 과내로 흡수됨으로 전시과는 외형상 토지분급제도로서 완결된 모습을 갖추는데 이떄 산관이 완전히 분급대상에서 제외, 무관과의 차별대우고 사라졌고 군인에 대한 대우도 이전보다 나아졌습니다.또 향직이 분급대상에 포함되었는데 향직은 중국식의 당풍에 대한 고려식의 국풍, 향풍을 의미하는 고려식의 독자적인 질서체계로 이는 국왕 및 왕실에 대한 공로자나 70세이상의 관직이 없는 노인,여진의 추장등에게 주어졌던 것으로 명예적인 칭호였으나 대상, 좌승, 원보 등의 향직을 보유한 자들에게 12~14과 토지가 분급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13
0
0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5개국가는 어느나라들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제연합 헌장 제23조에 따라 미국, 중국, 프랑스, 러시아, 영국 등 5개국이 상임이사국입니다.10개국인 비상임이사국은 유엔의 목적에 공헌한 정도와 공평한 지리적 분포를 감안하여 총회에서 해마다 반수인 5개국을 새로 선출하며 비상임이사국은 투표에 참가한 유엔 회원국 3분의 2 이상의 지지를 얻어야 선출되며 임기는 2년 연임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학문 /
미술
23.05.13
0
0
작곡과 편곡은 어떤차이가 있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작곡은 새로운 곡을 만드는 창조적인 의미이고 편곡은 기존에 있던 곡을 리메이크한 것으로 보면 됩니다.
학문 /
음악
23.05.13
0
0
네잎클로버를 발견하면 행운이 온다는말의 유래는 어떻게 되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나폴레옹 설이 가장 유력합니다.나폴레옹은 전쟁터에서 말을 타고 가다 평소 보지 못한 잎이 4개인 클로버를 발견하여 몸을 숙여 신기한 풀을 꺾게 되는데 마침 적군이 쏜 총알이 나폴레옹의 구부린 등 위를 스치고 지나가 네잎클로버 덕분에 목숨을 건지게 되었다는 것이 유래입니다.
학문 /
역사
23.05.13
0
0
문학적 표현중에 '요단강을 건너다'라는 표현은 어디서 온 표현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경에 등장하는 요단강을 건넌다는 것은 약속된 축복의 땅으로 들어간다는 의미로 구체적인 지명은 가나안 지역으로 들어간다는 것으로 이 지역은 이스라엘인의 시조인 아브라함이 야훼의 명을 쫓아 정착한 곳이며 야훼로부터 그의 후손들에게 주겠다는 약속받은 땅입니다.이후 그의 후손들은 이집트로 이주해 노예가 되었다가 모세의 인도하에 다시 가나안으로 돌아오는 과정에서 요단강을 건너야했고 성경에 기록된 가나안은 젖과 꿀이 흐는 땅으로 표현되어 요단강을 건너다는 약속된 축복의 땅으로 들어간다는 의미가 됩니다.
학문 /
역사
23.05.13
0
0
미래문화유산이란 어떤것을 말하는것이며,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미래문화유산은 어떤것이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래문화유산은 현재의 문화와 기술, 지식 등을 향후 세대에게 유전하는 것으로 우리가 지금 사용하고있는 기술, 문화, 지식 등이 미래에도 계속해서 사용될수있도록 보존하고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학문 /
역사
23.05.13
0
0
다자녀출산을 하게 되면 어떤한 지원책, 우대책이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다자녀 (3명이상) 국가장학금 지원자동차 취득세 감면주거안정 지원전기요금 할인도시가스요금 할인국민연금 출산크레딧 지원상, 하수도 요금 할인공항주차장 50%할인KTX/SRT 다자녀 할인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13
0
0
톨스토이는 어떻게 작가가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어머니가 2살때 죽어 컴플렉스를 가진 톨스토이는 성장하면서 여자에 집착하게 되고 이후 거액의 도박 빚을 지는 등 계속 무분별하게 살았는데 그러한 삶에 만족하지 못하여 맏형 니콜라이가 복무하던 캅카스 전선으로 여행을 갑니다.여기서 톨스토이는 농노 제도 없이 사는 카자크들의 삶에 큰 관심을 가지고 그들의 언어와 문화 풍속에 깊은 감명을 받는데 여기서 쓴 글을 잡지에 발표하면서 작가 생활을 하기 시작합니다.
학문 /
역사
23.05.13
0
0
고흐의 작품이 노란색 계열인 이유가 있다던데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당시 파리를 점령한 녹색요정이라 불리는 압생트 라는 술이 있었는데 알콜 도수가 40~70%에 달하는 독주였습니다.고흐는 압생트에 포함된 산토닌 성분에 중독되어 부작용으로 황시증이 생겼다 합니다.
학문 /
미술
23.05.13
0
0
1243
1244
1245
1246
1247
1248
1249
1250
1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