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시대에도 힙합이란 장르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힙합은 조선시대 판소리와 비슷합니다.판소리는 17세기에 등장한 한국의 전통음악과 연극입니다.판소리는 양반층이 아닌 일반 대중들을 대상으로 시작된 예술 문화로 사회의 부조리함을 비판하는 랩과 비슷합니다.
학문 /
역사
23.02.07
0
0
우리나라 배이름은 어떻게 짓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부분 군함의 종류에 사람의 이름을 붙이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사람의 이름을 붙일때 나름의 작명법을 통해 일정한 기준과 규칙에 따라 작명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잠수함: 해양 수호와 독립운동에 큰 공을 세운 역사적 이름을 붙이며 톤수에 따라 인물들의 활동시기가 달라집니다.-209급 잠수함 KSS-I:통일신라~조선시대 말까지 활약한 인물-214급 잠수함 KSS-II:독립운동 및 광복 후 국가 발전에 이바지한 인물구축함: 국민들로부터 영웅으로 추앙받는 왕, 장수 등의 이름-KDX-III: 세종대왕 , 율곡이이, 서애 류성룡 등-KDX-II: 이순신, 문무대왕, 대조영 등-KDX-I: 광개토대왕, 을지문덕, 양만춘 등호위함: 도와 광역시, 도청소재지의 이름을 기준으로 제정-1980년 현대중공업의 울산함을 시작으로 서울함, 충남함, 마산함, 전남함 등상륙함: 적지에 진입해 고지를 점령한다는 의미로 산봉우리 이름을 붙입니다.-고종준함, 비로봉함, 향로봉함 등고속정: 조류명을 함명으로 사용하며 원래 제비, 기러기, 백구로 통칭 후 선체 번호로 함정을 구분하였는데 이후 이미지상의 문제로 참수리, 독수리로 함명이 바뀌게 되었으나 현재는 모두 퇴역하고 참수리급 고속정만 운영되고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7
0
0
24절기의 유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계절의 구분은 태양의 위치에 따라 구분하고 봄, 여름, 가을, 겨울 각 계절을 구분하는 것이 24절기 입니다.24절기는 중국에서 태음력의 단점을 보완해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하는 태양력을 기준으로 고안했습니다.1월 입춘은 1월의 절기이고 우수는 1월의 중기입니다. 동풍이 불어서 언땅이 녹고 땅속에서 잠자던 벌레들이 움직이기 시작하면서 물고기가 얼음밑에 돌아다니며 수달이 물고기를 잡아다 늘어놓고 기러기가 북으로 날아가며 초목에서 싹이틉니다.2월 경칩은 2월의 절기로 춘분은 2월의 중기이며 복숭아가 꽃이 피기 시작하고 꾀꼬리가 울며 매가 화하여 비둘기가 되고 제비가 날아오며 우뢰가 울고 번개가 칩니다.3월 청명은 3월의 절기, 곡우는 3월의 중기이며 오동이 꽃피기 시작하고, 들쥐가 화하여 종달새가 되며 무지개가 나타나고 마름이 생기며 산비둘기가 깃털을 털고, 뻐꾸기가 뽕나무에 내려 앉는다.4월 입하는 4월의 절기이고, 소만은 4월의 중기이며 청개구리가 울고 지렁이가 나오며, 왕과가 나고 씀바귀가 뻗어 오르며, 냉이가 죽고 보리가 익습니다.5월 망종은 5월의 절기이고 하지는 5월의 중기로 버마재비가 생기고, 왜가리가 울기 시작하며 지빠귀가 울음을 멈추고 사슴의 뿔이 떨어지며 매미가 울기 시작하고 반하의 알이 앉는다6월 소서는 6월의 절기이고 대서는 6월의 중기이며 더운 바람이 불고 귀뚜라미가 벽에 다니며, 매가 사나워지고, 썩은 풀이 화하여 반딧불이 된다. 흙이 습하고 더워지며, 큰 비가 때로 내린다.7월 입추는 7월의 절기이며 처서는 7월의 중기로 서늘한 바람이 불고 이슬이 내리며 쓰르라미가 울고 매가 새를 많이 잡는다. 천지가 쓸쓸하여지기 시작하고 벼가 익는다.8월 백로는 8월의 절기이고 추분은 8월의 중기로 기러기가 날아오고 제비가 돌아가며 뭇새들이 먹이를 저장하고 우뢰가 소리를 거둔다. 겨울철 땅속에서 잠을 자는 벌레들이 흙으로 창을 막고, 물이 마르기 시작한다.9월 한로는 9월의 절기이고 상강은 9월의 중기로 기러기가 날아오고 참새가 큰 물에 들어서 조개가 되며 국화가 노랗게 꽃피고 승냥이가 짐승을 잡는다. 초목이 누렇게 낙엽지고, 땅속에서 잠을 자는 벌레들이 모두 땅 속으로 들어간다.10월 입동은 10월의 절기이며 소설은 10월의 중기로 물이 얼기 시작하고 땅이 얼기 시작하며, 꿩이 큰물로 들어가서 조개가되고, 무지개가 걷혀서 나타나지 않는다. 천기는 상승하고 지기는 하강하여 폐색되어 겨울이 된다.11월 대설은 11월의 절기이고, 동지는 11월의 중기이며 할단새가 울지 않고 범이교미를 시작하며 여지가 돋아나고 지렁이가 교결한다. 고라니의 뿔이 떨어지고 샘물이 언다.12월 소한은 12월이 절기이고, 대한은 12월의 중기이며 기러기가 북으로 돌아가고, 까치가 깃을 치기 시작하며, 닭이 알을 품는다. 나는 새가 높고 빠르며, 물과 못이 두껍고 단단하게 언다.
학문 /
역사
23.02.07
0
0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인체비례도가 왜 대단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다빈치는 사람의 모양을 단순화한 형태로 그리지 않고 섬세한 선과 정교한 음영을 활용하여 필요 이상으로 아름다운 신체의 모습을 창조해냈습니다.평가로는 자신의 모든것을 벗어던지고 자신의 신체를 직접 측정했고, 그렇게 함으로 시간을 초월하는 인간의 소망을 구현해냈고, 우리 스스로가 만불의 거대한 원리와 부합한다는 사실을 알아낼수있는 정신력을 갖게 해주기때문입니다
학문 /
미술
23.02.07
0
0
왜 교도소에 가고싶냐는 걸 콩밥 먹고싶냐고 표현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80년대 중반까지만해도 실제로 교도소에 콩밥이 나왔습니다.영양이 골고루 된 음식을 먹어야 하는데 고기는 비싸니 콩으로 대체하여 주기 시작하였습니다.1986년 콩 값이 올라 쌀과 보리를 섞어 주기도 했습니다.법무부에서 식단에 고기 반찬 등이 추가되면서 콩밥 외에 쌀밥으로도 식사가 가능해졌습니다.이에 콩밥 먹고싶냐 라는 말이 나왔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7
0
0
자아, 초자아, 이드에 관한 질문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신분석 이론의 아버지인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이 이드, 자아, 초자아로 구성된다고 봅니다.이드: 성격의 기본이 되는 바탕으로 성욕, 식욕, 공격적 충동과 같은 본능적인 일 욕망과 욕구의 저장소를 의미하며 성격의 가장 원시적인 부분으로 인간 성격의 생물학적인 구성요소라고 할수 있습니다.자아: 현실적인 적응을 담당하는 기능으로 생후 6개월~8개월 사이에 발달하기 시작해 2~3세 정도 되어야 자아는 제대로 된 기능을 하기 시작합니다.초자아: 성장과정에서 부모와 사회이 영향을 받아 형성된 도덕, 양심, 사회적 규칙과 규범이 자리잡은 것입니다.
학문 /
철학
23.02.07
0
0
도교에서 나오는 정, 기, 신의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이란 생물이 생명 보전하는 능력, 자기복제 능력에 필요한 모든 것을 말합니다.음식, 공기, 물 등 개체를 만들고 유지하는 모든 것 또 다음세대를 위한 정액과 씨앗까지 모두 정입니다.기는 정의 결과물이자 동반자로 ,정의 흐름에서 기가 나오고, 기는 다시 신을 만들어냅니다.기는 정을 인도하고 정은 기를 만들어내며 정이 없으면 기는 고갈되고 기가 끊어지면 정 또한 무용지물이 되고 마는 것입니다.신은 혼으로 대뇌 활동의 결과로 나온 의식으로 다른 어떤 것도 아닙니다.
학문 /
철학
23.02.07
0
0
은나라 갑골문자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갑골은 그 자체가 아주 딱딱하기 때문에 그 표면에 글자를 새기기 위해 청동같은 금속이나 경옥 같은 단단한 칼날을 이용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따라서 갑고문은 서체가 가늘고 긴 특징을 가지며 소수의 갑골문은 먹이나 붉은 먹을 이용해 붓으로 쓰여진 것들도 발견되고 있습니다.갑골문은 원시 문자의 성격을 지니고 있어 회화적 요소가 강한 특징이있으며, 사물의 모양을 그대로 묘사해 문자화했기 때문에 상형문자의 특징을 드러내고 있습니다.주로 단독적인 독체자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7
0
0
실증주의와 실존주의 철학의 차이점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실존주의는 세계 내의 인간 실존에 대한 해석에 힘쓰며 인간 실존의 구체성과 문제적 성격을 강조하는 철학사조입니다.실존주의는 합리주의적 관념론이나 실증주의에 반대하여 개인적인 인간의 주체적 존재성을 강조하는 철학으로 실존이란 말은 어떤 것의 본질이 그것의 구체적인 조건을 배제한 일반적 본성을 의미하는 데 대하여 그것이 개별자로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실존주의라 함은 본질에 앞선 본질 존재가 아니라 개별적인 현실 존재라는 뜻입니다.실존주의는 개인이 처해있는 현실적 세계의 상황 속에 단독으로 존재하는 현실 존재의 파악에서 출발하며 주체적 관점에서 인간의 완전한 자유와 책임을 강조합니다.실증주의는 19세기 후반 서유럽에서 나타난 철학적 경향으로 형이상학적 사변을 배격하고 사실 그 자체에 대한 과학적 참구를 강조하였습니다.실증주의는 어떤 사실이나 현상의 배후에 초월적인 존재나 형이상학적인 원인을 상정하는 것에 반대하고 경험적으로 주어진 사실에 인식의 대상을 제한하며 사실들 간에 성립하는 관계들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여 그 자체로 해명하려고 합니다.실증주의는 근대 자연과학의 방법과 성과에 기초해 물리적 세계만이 아니라 사회적 정신적 현상들까지 통일적으로 설명하려는 지적 태도로 나타납니다.
학문 /
철학
23.02.07
0
0
이데아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데아는 플라톤 철학의 중심 개념으로 모든 존재와 인식의 근거가 되는 항구적이며 초월적인 실재를 뜻하는 말로 근대에는 인간의 주관적인 의식, 관념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었습니다.
학문 /
철학
23.02.07
0
0
1819
1820
1821
1822
1823
1824
1825
1826
1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