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요들송은 왜 부르게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요들송은 중세때부터 내려오는 스위스 알프스 지방의 노래입니다. 스위스는 곳곳에 높은 산봉우리나 깊은 골짜기가 많아 알프스에 사는 목동들은 서로 떨어져 만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그래서 멀리있는 사람에게 소리를 외쳐 자기 생각을 전달하기 시작했는데, 서로 약속한 소리를 크게 외쳐 사실을 알렸으니, 목동들이 서로 생각을 주고 받는 신호에서 생기게 되었습니다.
학문 /
음악
23.02.03
0
0
트로트는 어떻게 해서 생기게 됐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트로트는 대한민궁의 음악장으로 기존의 국악을 비롯한 전통음악과 당시 서양 블루스 계통의 음악문화, 일본의 근대 대중가요인 엔카의 영향으로 만들어졌다고 봅니다.트로트 라는 이름은 미국 래그타임과 재즈의 친척뻘인 춤곡 장르 중 하나라고 할수 있는 폭스트롯에서 유래했으며 1930~1940년대쯤 백년설, 고복수, 남인수, 이난영 등 중심으로 여러 곡들이 유행하였고, 당시는 티로트를 유행가 라고 불렀습니다.
학문 /
음악
23.02.03
0
0
한국의 대표적인 철학자분들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의 철학자로는 퇴계, 율곡이 있습니다.퇴계 이황은 우주를 이와 기의 나타남이라 보고 이와 기는 이원이 아니요, 1물의 이성분이라 하여 주자의 이기2원론을 이기이면으로 발전시켰습니다.율곡 이이는 퇴계의 이기호발의 이원론적 경향을 극복하고 나타나는 기에는 반드시 이가 탄다는 기발이승론, 이통기국설을 주장하였습니다.
학문 /
철학
23.02.03
0
0
입시나 중요한 시험을 앞두고 미역국을 먹지 않는 관습은 어떻게 생겼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역국 먹다, 미역국을 먹으면 부정적인 결과를 얻는다는 뜻으로 이 말은 구한말에 일제 침략자들에 의해 조선 군대가 강제로 해산되었을 때 그 해산이라는 말이 아이를 낳는다는 해산과 말소리가 같다는 데서 비롯한겁니다.아이를 낳으면 미역국을 먹는 풍속에 빗대어 군대가 해산되는 바람에 군인들이 일자리를 잃어버렸음을 빗대어 나타낸 말이라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2.03
0
0
최초의 거울은 어떻게 만들어 졌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최초의 거울은 석경으로 제작되었을것으로 추측합니다.석경은 유리로 만든 거울을 뜻합니다.
학문 /
미술
23.02.03
0
0
to부정사 형용사적용법/부사적용법?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 문장은 주어인 WE 가 to protect them의 의미상의 주어 역할을 하니, to protect them은 동사created를 수식하는 부사적용법에 해당합니다.우리는 그들을 보호하기 위해 비영리단체를 만들었습니다. 로 해석됩니다.
학문 /
역사
23.02.03
0
0
소설 죄와 벌에서 나오는 내용 중에서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람이 사람을 심판하는건 옳다고도 할수 없고 그렇다고 틀렸다고 할수도 없는것 같습니다.사람의 상황이나 속사정을 직접 겪어보지 않으면 누구도 그들의 마음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기때문입니다.그러나, 현대사회에서 사람이 살아감에 법이라는 제도는 분명 존재해야 하고 이 법테두리 안에서는 심판은 적용되야 한다고 봅니다.
학문 /
역사
23.02.03
0
0
우리나라 영화중 최다 관객수의 영화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명량 입니다.개봉일 2014.07.30관객수 17,615,039 입니다.
학문 /
역사
23.02.03
0
0
과거에 머리나 손톱은 어떻게 잘랐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머리카락은 상투를 틀어 올리면 되지만 손톱, 발톱의 경우 일상생활에 불편함과 청결하지 못한 비위생적이 때문에 가위로 잘랐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2.03
0
0
우리나라에서 언제부터 안경을 만들기 시작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중기 인조때인 1636년 ~1637년 경주부윤을 지낸 민기가 경주에서 남석안경을 구하였다는 기록이 있는것으로 보아, 우리 고유의 이 안경은 그 이전부터 만들어진것같으며 당시에는 동경수정안경이라고도 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3
0
0
1837
1838
1839
1840
1841
1842
1843
1844
1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