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콜라보라는 뜻이 무엇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콜라보는 둘 이상의 힘을 합쳐 일하는 것으로 합작해서 서로의 이미지를 합친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내는것을 의미합니다.콜라보레이션은 라틴어collaborare에서 파생된 서양어의 단어를 어원으로 하며, 발음은 콩글리시로col(콜)la(라)bo(보)ration(레이션)으로 읽은 것입니다.
학문 /
미술
23.01.28
0
0
윤동주 시인이 쓴 시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윤동주의 작품으로는 새 명동, 서시, 또 다른 고향, 별 헤는 밤,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별을 사랑하는 아이들아, 쉽게 씌어진 시 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인더스 문명은 어떠한 문명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더스 문명은 BC 3000년기 중엽부터 약 1000년동안 인더스강 유역을 중심으로 번영한 고대 문명입니다.4대 문명의 발상지 중 하나로 인더스강은 티그리스, 유프라테스강 유역 및 나일강 유역과 함께 인류가 최초로 문명의 단계에 도달했던 지방입니다.인더스 상은 북부에서 발원하여 파키스탄을 거쳐 인도양으로 흘러가는 강으로 이 강을 따라 발생한 문명의 유적들이 발견되었고, 파키스탄 하라파에서 최초로 유적지가 발견되어 하파라 문명이라고도 부릅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예로부터 내시들은 어떠한 이유로 거세를 하여야지만 내시가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내시는 왕가의 허드렛일을 맡은 자로 왕래가 잦기 때문에 불미스러운 일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거세를 했으며 종일 왕을 보필해야 하는 내시의 특성상 혼인을 하고 가정이 생기면 일을 제대로 할수 없어 거세를 시켰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스튜어디스는 언제부터 채용을 하기 시작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최초의 스튜어디스는 1930년대 미국의 한 항공사에서 몸이 불편한 승객이나 비행 도중 다칠 경우를 대비하여 간호사를 탑승시킨것으로 유래됩니다.우리나라는 1953년 10월 정부공영기업이었던 대한국 민항공사가 우리나라 최초의 스튜어디스 조민자씨를 공개채용한것이 효시 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보험을 처음 만든 사람이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최초의 근대적 의미의 보험은 해상보험이라고 하는 선박의 사고에 관한 보험으로 12세기 제노바 등지의 상인들이 시작했다고 알려져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조선시대 양반들의 주 수입원은 무었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양반들은 국가로부터 월급을 받았으며, 다른 수입으로는 수증 이있었습니다.선물을 받는 것을 뜻하며 관료로서 중앙관직에 있으면 지방관들에게 선물을 받고, 반대로 지방직에 있을때는 중앙관료에게 선물을 보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최초로 색맹을 연구한 사람이 색맹이었다는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색맹을 최초로 연구한 사람은 영국인 과학자 돌턴으로 붉은색과 녹색을 구분하지 못하는 적녹색맹이었다고 합니다.
학문 /
미술
23.01.28
0
0
조선시대에 가장 보편적으로 쓰던 무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무기로는 궁시, 장병기, 단병기, 도검으로는 예도, 쌍수도, 왜검, 제독검, 월도, 쌈검, 환도 가있었으며창에는 죽장창, 기창, 장창, 기창, 당파, 낭선이있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조선에도 기상청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에는 해와달, 바람, 구름의 상태를 살피거나 동물의 특이한 행동을 보고 날씨변화를 예측했다고 합니다.고려 때 서운관 이라는 관청이 기상청과 같은 역할을 했으며 조선시대에도 명맥을 유지하다 관상감으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관상감 관리들은 세종 때 장영실이 만든 측우기로 비가 내린양을 기록하여 장마철이 언제 시작되고, 비는 얼마나 내릴지 예측하여 농사에 도움이 되게했으며, 제대로 예측하지 못하면 큰 벌이 내려지기도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1864
1865
1866
1867
1868
1869
1870
1871
18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