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힌두에서 이마에 왜 점을 찍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힌두어로 빈디는 방물, 작은 조각, 점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빈두에 어원을 둡니다.빈디로 장식하는 지점은 양쪽 눈썹 중간부분인데, 힌두 전통에서 차크라를 생명의 에너지, 기가 모이는 곳으로 여기며 신체에는 7개의중요한 차크라가 있다고 하여 명상과 신체수련에서 중요시 되는데, 빈디를 찍는 부분은 여섯번째 차크라 란 뜻의 아즈나 입니다.아즈나는 빈디를 장식하는 부위의 뒤쪽 뇌안에 자리잡은 곳을 말하며 명령의 뜻을 가진 아즈나는 직관의 눈이란 의미입니다무엇인가 마음의 눈으로 보이거나 꿈속에서 보인다면 그것은 아즈나에 의해 보인다는 것으로 제3의 눈으로 부릅니다.
학문 /
미술
23.01.20
0
0
소현세자는 실제로 독살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현세자의 사인은 아직도 밝혀진바가 없습니다.승정원일기가 전산화되기 이전 실록에 의존해야 했을 때 이덕일이 제시한 수많은 독살설 중 실록에서 근거를 찾을수 있다고 생각하고 인조의 행동때문에 연구자들도 독살, 타살 가능성에 동의 하였습니다.청나라에서 돌아온 소현세자는 온지 얼마 되지않아 아팠는데 내의원에서는 말라리아라고 했으며, 침을 놓았는데 소현세자는 사흘만에 창경궁 환경전에서 사망합니다.말라리아는 모기를 통해 감염되는 것인데, 세자는 늦겨울 2월에 돌아왔으며, 약 처방이 아닌 침술을 시행한것 또한 그 근거입니다.소현세자가 사망시 온 몸은 검은색으로 변했고, 눈,코,입, 귀 등 일곱구멍에서 피가 흘렀다고 하며, 인조는 소현세자의 장례는 왕실의 법도에 따라 3년상을 치뤄야 하는데 7일장으로 간소화, 세자의 관에 왕의 관을 의미하는 글자도 쓰지 못하고, 무덤 이름도 묘 를 쓰게 했습니다.또, 세자가 왜 죽게 되었는지 알아봐야 한다는 신하들의 의견을 무시하고, 이형익을 감싸는 등 이상행동을 한것도 근거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0
0
0
제사를 지낼때 향을 피우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사때 향을 피우는 이유는 분향은 향의 연기가 하늘로 올라가면서 저승과 이승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고 여겼으며, 향내는 부정을 제거하고 심신을 맑게 함으로 천지신명과 통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음악
23.01.20
0
0
최초로 노벨상을 받은 사람이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는 독일제국의 물리학자인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0
0
0
뻐꾸기를 시계에 채택한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뻐꾸기 시계를 처음 만든 사람, 어느 나라인지는 정확히 전해진 바는 없으나 여러 기록들을 통해 1600년대 초기부터 독일에서 뻐꾸기 시계가 만들어졌다고 합니다.유럽은 뻐꾸기의 서식지 중 하나로 유럽에서 뻐꾸기는 봄을 상징합니다.따뜻한 곳에서 지내는 뻐꾸기는 겨울이 다가오면 유럽에서 남아프리카로 날아가 시간을 보낸 후 다시 봄이 되면 유럽으로 돌아옵니다. 이에 유럽에서 뻐꾸기는 긴 기다림 후에 돌아온 봄을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미술
23.01.20
0
0
한국 역사에서 환관이 최초로 등장한 것은 언제입니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시대에 이미 환수라는 기록이 있으므로 우리나라에서도 환관이 있던것으로 추정합니다.고려 초기 임금의 곁에서 수위와 근시를 하던 내시직에 재주와 용모가 뛰어난 세족 자제나 문신등을 임명하였으나 의종 이후 환관으로 대체하였습니다.몽고간섭기에 원나라에 조공으로 바쳐진 환관들이 원나라의 위세를 등에 엎고 정치에 관여하기 시작하여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하였습니다.고려말 이후 내시로 통칭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0
0
0
구름속을 날아다니는 꿈을 꾸었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구름을 타고 하늘을 마음대로 날아다니거나 걸어다니는 꿈이면 원만한 성취와 발전을 거두어 부귀명예와 안정을 누리게 되며 입신, 출세하는 영화를 얻게됩니다.구름을 타고 하늘을 날아다니는 꿈은 길몽이지만, 중도에 위험이나 난관이 도사리고 있다는 점을 경계해야 합니다.구름위에 서는 꿈은 자신의 능력이 충분히 발휘되며, 목적달성을 하게 됩니다.
학문 /
미술
23.01.20
0
0
고인돌이 다른 나라에도 존재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인돌은 거석문화를 대표하는 유적이며, 동아시아에서는 기원전 4천년~기원전 3천년, 아프리카와 유럽에서도 거의 비슷한 시기에 건설되었으며 영국과 아일랜드에도 스톤헨지라는 비슷한 것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0
0
0
고대에 화장실 문화는 어땠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화장실은 인도의 모헨조다로 유적에서 발견된 것으로 물이 흘러가도록 설치한 뒤 그 위에 배설할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메소포타미아 지방 바빌로니아의 유적지인 우르에서도 기원전 2200년것으로 추정되는 수세 의자식 변기가 발굴되었는데 분뇨를 물과 함께 건조한 모래땅으로 스며들게하는 방식으로 강이나 바다를 오염시키지 않고 분뇨를 처리할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고대 로마제국의 경우 하수도와 상수도 시설을 분리, 발전시켜 오물을 씻어내는 수세식 화장실을 사용하였으며 대리석 소변기들이 설치된 최초의 공중화장실을 만들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0
0
0
'아미시'는 일종의 종교단체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미시는 메노나이트교회에 속하는 보수적인 프로테스탄드교회의 교파입니다.주로 미국의 펜실베니아주, 오하이오주, 인디애나주 등에 집단적으로 살고 새로운 문명을 거부합니다.예배당은 없고 신자 개인의 집에서 예배를 드립니다.
학문 /
음악
23.01.20
0
0
1909
1910
1911
1912
1913
1914
1915
1916
1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