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도깨비'는 유래가 무엇입니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도깨비의 옛 형태는 돗가비로 1447년 발간된 석보상절에 처음 등장합니다. 이때는 망량의 번역어로 쓰였는데 중국에서는 락샤나, 야크샤를 번역할때 기존 중국에서 전재되던 이매망량으로 번역하였습니다.도깨비의 기원은 신라시대의 비형량 설화, 두두리 같은 풍요신 숭배, 흥부전의 원형으로 추정되는 방이 설화로 보며, 도깨비를 연구한 민속학자들은 목장신, 야장신, 자연현상 숭배같은 기원들이 있다고 주장합니다.원시적인 정령 숭배에 의해 만들어졌지만, 이후 풍요의 신, 잡신 의 존재가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0
0
0
스포츠 다큐멘터리 볼만한거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스포츠 다큐멘터리 안내합니다.F1본능의 질주, 펠레, 죽어도 선덜랜드, 캡틴스, 킬러샐리, 피파언커버드, 라스트찬스 대학: 바스켓볼, 호날두, 슈마허 등이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01.20
0
0
호박고구마와 밤고구마를 영어하면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호박고구마는 pumpkin sweet potatoes밤고구마는 sweet potatoes with chestnuts입니다.
학문 /
미술
23.01.20
0
0
우리나라는 신정보다 구정을 왜 선호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정은 근대사회로 접어들면서 태양력 중심의 시간체계로 생활질서를 통제하고, 일제 강점기때 음력폐지론으로 1980년대까지 우세하기 자리를 잡았습니다.그러나, 음력설을 선호한 서민들은 과거를 잊지 않기 위한 의미로 음력을 더 선호하였고, 이에 정부는 신정과 구정으로 나누어 설을 지내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01.20
0
0
제사지낼때 술잔을 두번 돌려서 올리는 이유는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사를 지낼때 술잔을 돌리는 것은 삼사상 때문입니다.하늘에 고하고 땅에 고하고 세상 모든 만물에 고하는 의식으로 대대로 내려오는 사상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0
0
0
철학자인 스피노자의 사상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스피노자는 네덜란드의 합리주의 철학자로, 실체 개념을 분석함으로 데카르트의 이원론을 반대하고 일원론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인물입니다.신 이라는 실체에서 산출되는 양태들은 모두 하나의 인과관계로 귀속되므로 세상은 필연적이며, 그 세상 속에서 만물은 자신을 자신을 유지하려고 하는 코나투스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데 코나투스는 운동과 정지의 비율을 일치시키려는 일종의 관성을 의미합니다. 인간에게 있어 그것은 자신을 보존하려는 욕망이며, 욕망을 가진 사람들 사이에서의 관계도 이성을 통해 각자의 욕망추구가 내적인 공통점에서 일치 되는 그 지점에서 서로 협력할수가 있고, 이 협력을 통해 행복한 사회를 이룰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학문 /
철학
23.01.20
0
0
만화라는 장르의 시작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만화의 만 은 마음대로 라는 뜻으로 특정형식에 구애되지 않고 자유롭게 그린 그림을 의미합니다.만화는 에도시대의 풍속화가가쓰시카 호쿠사이의 작품집인 호쿠사이만가에서 처음 등장하고 메이지시대 당시 일본에서 문명개화로 많은 서양문물이 쏟아져오고 서양문물을 번역하기 위한 한자어들이 생길때 화가이자 만화가인 기타자와 라쿠텐과 이마이즈미 잇표를 서구의 카툰, 코믹스의 번역어로 사용했습니다.현대회화의 시발점을 19세기 후반으로 보면 현대만화의 시발점도 이와 거의 같은 때로 보며, 당시 만화를 화가의 여기로 인식하기도 했습니다.한국의 경우 1930년대 동양화의 대가 청전 이상범이 잡지에 단편만화를 그렸고, 노수현은 1924년 조선일보에 멍텅구리를 연재함으로 신문만화의 새 기원이 이루어졌습니다.
학문 /
미술
23.01.20
0
0
불교 염불에는 어떤 의미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미타불은 서방정토에 계시는 부처님이며, 나무아미타불은 서방정토에 살고있는 무량수불, 무량광불인 아미타불에 귀의하여 원하는 바를 이루거나 왕생을 구하고자 외는 염불입니다.불교에서는 부처님의 신령스러운 힘으로 악도를 면하고 서방정토 극락에 나기를 발원하며 이 문구를 외웠다고 합니다.
학문 /
미술
23.01.20
0
0
우리나라의 문화재인 직지심체요절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직지심체요절은 고려 승려 경한이 선의 요체를 깨닫는데 필요한 내용을 뽑아 엮은 책으로 상하2권입니다.이 책은 그가 입적한 3년 뒤 1377년 7월 청주목의 교외에 있던 흥덕사에서 금속활자인 주자로 찍어냈으며, 이때 간행된 상하 2권 가운데 지금 전해지는 것은 하권 1책입니다.활자의 주조술과 조판술이 미숙한 고려시대에 관서가 아닌 지방의 한 사찰이 전통적인 밀랍주조법으로 주조하여 찍어내어 활자의 크기와 모양이 고르지 않으며, 부족한 글자를 나무활자로 보충했기 때문에 인쇄상태가 좋은 편은 아닙니다.그러나 문헌에만 전해지고있던 여러 종의 고려 주자본 중 유일하게 전래되고 있는 금속활자본으로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가장 오래된 귀중한 문화 유산입니다.
학문 /
미술
23.01.20
0
0
생일을 왜 '귀 빠졌다' 라고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생일을 귀빠진날로 부르는 것에는 두가지의 유래가 있습니다.하나는 귀모양 때문으로 태아의 모습이 마치 사람의 귀 모양처럼 생겼다는 것으로 열달을 채우고 나온 태아가 귀의 모습을 닮은 아기가 나온다고 하여 귀빠진 날이라 불렀습니다.또 다른 것은 출산과 관련된 것으로 자연분만 시 가장 고통스러운 시기는 아기가 출산하기 직전 머리가 나오면서 귀가 나오는 순간으로, 귀가 빠지지 않으면 아기와 산모가 위험한 고비입니다.머리가 나오는 과정에서 귀가 빠지고 나면 그 다음은 순탄하게 나옵니다.이때 출산하는 과정에서 귀가 빠진 순간을 아기의 탄생을 의미하며 귀빠진날이라 부릅니다.
학문 /
역사
23.01.20
0
0
1909
1910
1911
1912
1913
1914
1915
1916
1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