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시대때 왜 천주교를 박해하고 탄압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 천주교 박해는 1801년 약 1만여명에 달할 만큼 조선의 천주교 신도들이 박해를 받는 사건이 있었습니다.천주교 박해의 이유는 유교 예법에 어긋난 학문이라는 이유입니다.천주교는 부모, 임금을 인정하지 않으며 오직 천주님을 최고로 모시고 조상에 대한 제사도 지내지 않기때문입니다.또, 집권세력인 노론학파가 반대 세력인 남인들을 견제하기 위해서였는데, 남인들이 천주교에 많이 과련되어 있어 천주교도들을 벌하면 노론의 세력을 유지할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1.16
0
0
리드악기에는 어떤것들이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리드악기 종류에는 클라리넷, 오보 등의 목관악기와, 오르간, 리드 오르간, 하모니카, 아코디언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01.16
0
0
우리나라에 버스 안내양은 언제까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버스안내양은 1961년 6월17일 김광옥 교통부장관이 여차장 제도를 도입하면서 시작되었으며, 1982년 시민자율버스 운행제의 실시와 더불어 정류장 자동안내방송과 하차벨, 자동문 등의 자동화 시스템이 도입되며 하락하였고, 1989년 12월 30일자로 자동차운수사업법 제33조 6항 대통령령리 정하는 여객자동차운송사업자는 교통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안내원을 승무하게 하여야 한다는 법조문이 삭제되면서 1990년부터 모든지역에서 폐지되었습니다.버스에서 한 일은 승객 태우기, 문열어주기, 요금받기, 정류장 안내 등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15
0
0
쇠고기와 소고기. 어떤게 맞는 표현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쇠고기에서 쇠는 소의를 줄인 것으로 소의 몸이나 소가 가지고 있는 것처럼 소에 포함된 것을 뜻합니다.쇠고기, 소고기 둘 다 표준어에 속합니다.
학문 /
미술
23.01.15
0
0
옛날에는 버스 안내양이 있었다는데 언제까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버스안내양은 1961년 6월 17일 김광옥 교통부장관이 여차장 제도를 도입하면서 시작되었으며 1982년 시민자율버스 운행제의 실시와 정류장 자동 안내방송, 하차벨 , 자동문 등의 자동화 시스템이 도입되며 1983년 버스 안내양은 점점 하락하고 1989년 12월 30일 자 자동차운수사업법 제33조 6항의 대통령령이 정하는여객자동차운송사업자는 교통부 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안내원을 승무하게 하여야 한다는 법조문이 삭제되며 1990년대 모든 지역에서 폐지되었습니다. 과거 버스기사나 승객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하는 직업으로 그때 당시 문이 하나거나 두개였어도 자동문 시스템이 아니었고, 정류장 안내방송이나, 돈을 받는 등의 업무를 기계화하지 못하여서 필요했던 직업입니다.
학문 /
역사
23.01.15
1.0
1명 평가
0
1
문경새재' 에서 '새재'의 뜻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새재는 새도 알아서 넘기 힘든 고개라는 것과 하늘재와 이우리재 사이에 있는 고개라는 뜻이 있다고 합니다.또 풀이 우거진 고개라는 뜻도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15
0
0
조선시대에도 소방관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세종8년 한성부 대화재를 계기로 설치된 우리나라 최초의 소방기관인 금화도감이 있었으며, 조선시대 활동하던 우리나라 최초의 소방관 멸회군, 구화군이있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15
0
0
태극기를 처음 만들었던 사람은 어느시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태극기는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의 조인식에서 역관 이응준이 최초로 사용하였습니다.1882년 5월14일 미국 공사 로버트 슈펠트는 5월22일 있을 조미수호통상조약 조인을 앞두고 조인식에 사용할 국기를 지정해 달라 요청하고 이에 통리기무아문의 김홍집이 역관 이응준에게 국기를 그리게 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1.15
0
0
동화와 우화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화는 이야기의 결말로 마무리되고, 우화는 저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의 완성으로 마무리되며, 동화는 이야기 흐름이 마지막 결론으로 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우화는 이야기 흐름이 결국 숨어있는 비판적 의미와 교훈을 전달합니다.
학문 /
역사
23.01.15
0
0
안경은 누가 만든건가요? 안경의 역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안경은 볼록렌즈 돋보기 형태로는 고대부터 존재하였으며 한국에도 1915년 분황사 모전석탑을 수리하면서 발견된 사리함안에서 신라 선덕여왕 때 만들어 넣은 분황사 모전석탑 출토 수정화주 유물이 발견되었는데 돋보기 , 불씨를 얻는것으로 쓰였을것으로 추정합니다.지금의 안경은 1286년 이탈리아의 피사의 살비노 다르마트와 피렌페의 수도가 알레산드로 다 스피나가 발명하였다고 알려져있습니다.알베르트 망구엘은 자신이 지은 독서의 역사라는 책에서 안경을 최초로 발명한 것으로 추정하는 세사람을 언급하는데 조르다노 다 리발토, 스피나, 로저 베이컨이며 13~14세기 인물들로 로저 베이컨은 1268년 누구든지 수정이나 유리를 통해 글자나 작은 물체를 관찰하면 그리고 그 수정이나 유리가 둥근 것을 자른 단면이고 그 볼록면이 눈 쪽으로 향하고 있을때 글자는 훨씬 더 잘보이고 더 크게 보일것이라며 안경알을 구체적으로 언급하는 모양이었습니다.
학문 /
미술
23.01.15
0
0
1927
1928
1929
1930
1931
1932
1933
1934
1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