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암행어사는 어느정도의 권한을 가지고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암행어사는 민심 시찰을 위해 민간으로 위장하여 여러 지방을 순행하며 부패하거나 횡포를 부리는 고을 수령이나 탐관오리들을 잡아내는 임무를 맡았으며 정규 관직이 아닌 임시 관직이며, 길 중간에 있는 역에서 말을 빌려 탈수 있었으며, 마패에 새겨진 숫자에 따라 역에서 빌려 탈수 있는 말의 수가 달랐습니다.암행어사는 지방관리가 부패해서 백성들이 도탄을 겪고 있다고 판단되면 출두를 통해 정체를 밝히고 관리를 왕명으로 처벌할수 있었습니다.암행어사는 비리만 잡는 관직은 아니였으며, 완벽한 결정권을 가진것도 아니며, 수령의 잘못이 밝혀지면 죄질에 따라 관인을 빼앗고 봉고한 후 임시로 지역의 형벌을 심리하고 백성들의 민심을 들어주었으며, 임무가 끝나면 보고서를 올리고, 봉고 당한 수령은 보통 관할 감영에 끌려가 수감 뒤 왕명을 기다립니다.
학문 /
역사
23.01.04
0
0
청일 전쟁이 발발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청일 전쟁은 1894년 7월 25일~1895년 4월 17일 사이 조선과 중국 내에서 벌어진 청나라와 일본과의 전쟁입니다.조선에 대한 내외정에 대입하던 청나라와 조선을 노리던 일본은 동학농민혁명과 이를 진압하기 위해 요청한 고종의 청군 차병을 계기로 군대를 파병하여 조선에서 전쟁을 벌였으며, 청나라는 아편전쟁 등 서양 열강에 패전을 거듭하여 영토를 상실하였고, 조공국이었던 베트남은 프랑스, 미얀마는 영국, 류큐는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 주변국에 위력을 행사하지 못하게 되었으며 이후 청나라는 재기를 위하여 양무운동을 통해 힘을 모아 동아시아 패권국의 위치를 되찾기 위해 기존의 주변국, 조선에 대한 내정간섭과 상업 등 영향력을 강화하였습니다.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후 급격한 발전을 하며 조선 침약에 회의적인 인물들도 대부분 의견을 접게되며 식민지에 대한 욕심을 부리며, 이때 중요한 땅이 조선과 대만이었으며 조선을 얻게 되면 육로를 통해 러시아, 청나라를 넘어 유럽으로 길이 닿기 때문에 조선을 탐냈습니다.이 상황에서 제정 러시아가 1891년 모스크바와 블라디보스토크를 잇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에 착수, 영국 또한 캐나다 횡단 철도 건설에 착수하자 일본은 동아시아에서 자주권을 잃게 된다는 인식으로 서구 열강들의 심기를 거스르지 않는 선에서 조선을 비롯한 동아시아권에 대한 이권을 유지, 확대할 기회를 보고있었습니다.이 당시 조선은 1882년 임오군란과 1884년 갑신정변을 통해 갑신정변 이후 약 10년 정도 청나라가 힘을 떨치고있던 상황이였으며 일본의 영향력은 감소되던 상황이었기 때문에 아무 이유없이 침략하기엔 명분이 없던 상황에서 일본에게는 1894년 동학농민운동이라는 명문이 생기며, 농민 운동의 기세가 세지자 조선의 자체적인 군대로는 막지 못하게되자 조선은 청나라에게 지원을 요청, 청나라는 아산만을 통해 2800명의 병사를 파병, 텐진조약에 따라 일본에게 파병사실을 알리며 일본은 일본 거류민과 공사관을 보호하기 위해 일정 정도의병력을 주둔시킬수 있다는 제물포조약 조항에 의거하여 8000명의 병력을 인천으로 파병합니다.양국의 파병명분으로 쓰인 동학농민운동은 외국 군대가 들어온다는 소식을 듣자 외세에 빌미를 주게 될 것과 궐기 목적의 변질을 두려워하여 1894년 6월6일 전주화약을 맺고 해산하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01.04
0
0
구려라는 나라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대 중국에서 최초로 문명다운 문명을 이룬 약 5000년 전 용산 문명의 구려와 후대 한반도 북부, 만주에 들어서는 2000년 전 고구려 초기 국호인 구려가 같은 음과 뜻을 가지고 있었씁니다.구려(九黎)와 구려(句黎) 두 나라의 앞 글자 九,句는 모두 고대세계에 고리를 의미하며 뒤 글자 黎,黎는 검다를 의미하므로 두 나라 국호는 발음과 뜻이 일치합니다.실제 고구려의 건국 세력은 발굴되는 유물이나 문화적 풍습 등 여러면에서 동이문화요소가 강하며, 고대 중원의 구려와도 깊은 관계가 있었음을 알수 있습니다.구려의 시기는 BC 200~BC3세기이며 중국 중부, 동부에 건국하였으며 고구려는 BC 37~668로 만주 한반도 북부에 건국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4
0
0
고대 이집트인들이 피라미드를 만든이유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대 이집트인들은 사람이 죽으면 사후세계에서 되살아 난다고 믿었으며 죽은 파라오가 살 사후세계 왕궁을 짓는 다는 개념으로 만들었습니다.피라미드 건설 당시 근처에는 신전과 제사를 지내는 공간, 피라미드를 둘러싼 긴 벽 등의 부대시설이 함께 있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4
0
0
고맙다와 감사하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맙습니다와 감사합니다는 형태의 차이가 있습니다.고맙습니다는 고맙다의 활용형으로 고맙다의 어근은 고마 입니다.고마는 공경의 옛말로 순수 우리 고유어입니다.감사합니다는 한자어인 감사와 동사 ~하다의 결합형입니다.과거 봉건시대에 한자를 우월하게 여겼던 인식으로 인하여 감사하다의 표현이 조금 더 격식있는 표현으로 여겨지지만, 고맙습니다 를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합니다.
학문 /
역사
23.01.04
0
0
'자유의 여신상'의 역사적 배경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자유의 여신상은 미국 독립전쟁 승리 100주년 기념으로 자국의 미국진출을 위해 미국의 독립을 지원했던 프랑스가 만들어 선물했습니다.최초 착안자는 프랑스의 법학자이자 노예폐지론자였던 에두아르 르네 드 라부라이에였으며 제작은 조각가 프레데리 오귀스트 바르톨디이며, 내부의 뼈대는 에펠탑을 만든 귀스타브 에펠이 설계했습니다.여신의 얼굴은 바르톨디가 자신의 어머니가 만 18세이던 시절의 모습을 모티브로하였으며 제작비용은 프랑스국민의 성금 40만달러로 만들어졌습니다.미국 독립 100주년 기념 선물이지만 실제 미국 땅까지 간건 1885년 1월이며, 여신상의 겉면을 구성하는 300개의구리판을 프랑스에서 제작 후 배로 미국으로 운반하여 4개월동안 재조립하였으나 배송을 완료한 후 조립과정을 충당할 예산이 없어 상자에 담긴 채 항구 하역장에서 있다가 이 사연을 들은 퓰리처에 의해 신문 모금 캠페인으로 충당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4
0
0
이슬람인들은 왜 돼지를 안먹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슬람교는 올바르게 행동하는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이슬람교도들이 지키는 법을 샤리아 라고 하는데, 이 샤리아에 따르면 무슬림이 먹어서는 안되는 것으로 동물의 사체, 피, 하나님의 이름으로 도살하지 않은 동물의 고기, 돼지고기, 술 등이 있습니다이 중 돼지는 이슬람교에서 멀리하는 동물로 돼지는 먹어서도 안되며, 만지고 난 후 꼭 손을 씻어야 하며, 돼지가죽으로 만든 제품도 사용하면 안됩니다.
학문 /
역사
23.01.04
0
0
최초의 영화는 어디에서 만들어졌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최초의 영화는 중국인세탁소에서 생긴일, 또는 열차의 도착이라는 두 작품을 말하며 1895년12월28일 프랑스에서 뤼미레스 형제가 시네마토그래프를 공개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3
0
0
해리포터가 전세계적으로 인기가 있었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해리포터는 현대적이기보다 아날로그적이며, 지팡이를 들고 벌이는 전투는 총격전보다 중세 기사의 전투에 가까우며 이동수단은 기차, 지팡이, 벽난로를 활용하여 아날로그적인 부분이 부각됩니다.해리포터가 그리는건 마법 세계이지만, 세부적인 내용들은 아날로그적이기 때문에 시대를 초월하는 힘을 가지며, 새로운 고전이 될수 있다고 생각되는 이유입니다.
학문 /
역사
23.01.03
0
0
터키를 튀르키예라고 부르는데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본래 터키인들은 터키라는 명칭을 좋아하지 않았습니다.터키는 영어로 turkey로 칠면조를 뜻하며 , 겁쟁이의 뜻을 가지고있습니다.터키의 유래인 튀르크의 뜻과는 상반되는 겁쟁이라고 불리우는 이유에서입니다.대통령 레제프타이이프 에르도안은 2022년 초부터 자국의 영문 명칭을 튀르키예로 변경하였으며,국호를 바꾼것이 아니라, 국호는 그대로두고 공식영어표기 수정을 한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1.03
0
2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