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중국 영화에 등장하는 강시의 유래는 어떻게 됩니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강시의 이름뜻은 죽어서 굳은 시체를 의미하며 사후강직 혹 미이라처럼 썩거나 부패하지 않고 굳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또는 얼어죽은 시체도 강시, 동시라 부릅니다정복전쟁이 많았던 청제국 시절, 청나라 기병대의 공격으로 학살당해 죽운 적군의 시체는 계급이 높다면 땅에 묻고 계급이 낮으면 불에 태웠으나 전투중 전사한 아군의 시체가 발생한 경우에는 고국으로 옮겨 장사를 치뤘는데 이따 고안한 방법이 긴 대나무 두개를 시체의 양 겨드랑이 부분에 끼워 줄고 엮어 양 끝을 두사람이 어깨로 짊어지고 운반하는 방법이었습니다이 모습이 멀리서보면 두팔을 들고 뛰는 것처럼 보인것이 강시의 유래 입니다
학문 /
역사
22.12.22
0
0
설날에 떡국을 먹게된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설날에 떡국을 먹는 이유는 새해의 첫날 음력으로 1월1일에 하얀색 떡과 맑은 국물을 먹음으로 지난해 안좋았던 일들을 잊고 새로운 시작의 계기로 삼았습니다떡국은 길게 뽑은 가래떡으로 만들어 먹는데 긴 가래떡은 장수와 재물운이 늘어나길 바라는 마음이며 떡국 떡의 모양은 마치 엽전과 비슷하여 재물이 불어나길 바라는 뜻입니다
학문 /
역사
22.12.22
0
0
여기다 물어봐도 될지는 모르겠는데 집에 운이 들어오는 그림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보통은 해바리기 그림을 많이 들여놓습니다해바라기 그림은 큰잎과 무수히 많은 씨앗, 노란색으로 재물을 상징하며 태양을 향해 크고 높게 자라 좋은 기운을 부르는 그림으로 알려져있습니다보통 풍수지리적으로 가운이 잘 통할수 있는 가실이나 현관에 두어 나쁜기운을 막는 역할을 하게 하며 거실은 잠들기 전까지 많은 시간을 보내는 장소 이므로 해바라기의 좋은 기운을 얻기 위해 놓습니다
학문 /
미술
22.12.22
0
0
우리나라 전통중 향도라는것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향도란 전통시대에 여러가지 공동목적 달성을 위한 조직으로삼국시대에 고대사회의 발전과정 속에서 우리나라에 불교가 수용된 후 널리 결성되어 활동하였으며 본래는 불교 신앙 활동을 목적으로 조직된 신도의 결사입니다향도는 구성원간의 길흉경조, 재난구제 등의 기능도 있었으며 지역민들이 자발적으로 경성한 신앙단체로 지역사회의 공동체 형성에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2.12.22
0
0
교회에 안 가면 안되나요? 비대면 인터넷 예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저는 찬성입니다요즘 시국도 그렇고, 본인이 시간이 되지 않거나 다른 이유가 있다면 비대면도 나쁘지 않은것 같습니다현대의 문화에 따라 예배도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비대면이라고 해서 믿음이 덜하다는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고 믿음이 충만하여 비대면으로라도 예배를 드린다는것 자체가 대단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학문 /
음악
22.12.22
0
0
우리나라 가장 오래된 기업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기업은 두산 입니다1896년 설립하여 포목점으로 시작했으며 단골 고객에게 화장품을 지급하였는데 반응이 좋아 화장품공장을 차리게 되며 박가분 이라는 화장품으로 유명해졌습니다
학문 /
역사
22.12.20
0
0
중국 만리장성은 왜 쌓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만리장성은 기원전 221년 진시황제의 명에 따라 흉노족 등 유목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쌓았습니다만리장성은 인류의 최대 성곽 구조물로써 길이를 펼치면 한반도를 감싸고도 남는 길이와 비행기로 5시간 넘는 거리이기때문에 당시의 기술로는 광장히 위대한 구조물로 남아있습니다
학문 /
역사
22.12.20
0
0
궁궐에도 청소를 담당하는 보직이 따로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전연사 라고 하여 궁궐청소를 담당하는 공조소속의 종4품 아문이 있었으며 청소 뿐만아니라 궁궐의 수리도 담당하였습니다그러나 조선 후기 자문감과 선공감소속의 구영선에서 이 업무를 담당하면서 폐지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2.12.20
0
0
과거시대의 화장은 무엇으로 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에는 지금처럼 화장품의 종류나 기술이 발달하지 않아 주로 천연재료를 사용했습니다조개껍질이나 곡물을 갈아 사용하기도 했으며 우유, 알로에 등으로 피부를 가꾸기도 했습니다예를들면 지금의 봉숭아 물들이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또 대리석을 갈아 눈썹을 그리거나 붉은 안료에 기름을 섞어 립스틱으로 사용하거나 꽃잎을 이용해 볼터치를 하기도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2.12.20
0
0
눈으로 관상을 본다고 하던데 눈매로 어떻게 관상을보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관상에서 눈매는 여러가지로 나뉩니다토끼눈: 겁이 많고 호기심이 많다개방적이며 활기차고 사람을 좋아한다밖에서 에너지를 받으며 활동적이지만 상처입기를 두려워하며 부지런하다제비눈: 눈꼬리가 처지고 눈시울이 깊은 눈으로 성격이 급하며 추진력이 강하고 신용을 중시한다생활력과 대처능력이 탁월하여 부유하게 산다뱀눈: 가느다란 눈으로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지 않으며 냉정한 성격이다정보를 취합하고 판단하는 능력이 좋으며 이기주의적 성격을 가진다돼지눈: 눈 주변이 주름이 많고 동공이 작은편성욕이 강하여 바람둥이일 가능성이 있고 쾌락을 즐긴다봉황눈: 눈이 가로로 길며, 눈꼬리가 칼로 자른듯 기다란 눈이며 관상에서 볼때 가장 좋은 눈매입니다
학문 /
미술
22.12.20
0
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