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산타클로스의 유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산타클로스는 예부터 선행을 베풀기로 유명한 성니콜라오 주교로 부터 지어진 이름이며, 12세기 프랑스의 수녀들이 성니콜라오 축일 전날인 12월 5일 가난한 아이들에게 선물을 주기 시작한 것에서부터 유래되었습니다유럽의 가톨릭국가들은 성인의 축일인 12월 6일 성니콜라오 분장을 하고 착한 어린이를 칭찬하고 나쁜어린이를 혼내주는 전통이 있었습니다17세기 아메리카 신대륙으로 이주한 네덜란드 사람들이 자선을 베푸는 사람을 성니콜라오라 칭하며 네덜란드 발음대로 영어가 되었으며 19세기경 성탄절이 전 세계적으로 알려지며 산타클로스로 불리게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2.12.14
0
0
이승복 이야기는 조작이 되었다고 하던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승복 어린이의 사건은 북한군에 의해 죽임을 당한것은 사실이나, '공산당이 싫어요' 라고 발언하여 죽임을 당했다는 것은 아직도 의문이며, 여러가지 의견이 분분합니다공산당이 아니라 콩사탕이었다는 등의 의견입니다
학문 /
역사
22.12.14
0
0
기미상궁 대비상궁 등등 상궁들의 수가 얼마나 많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궁녀는 크게 상궁과 나인으로 나뉘며 정5품의 제조상궁부터 종9품의 나인까지 궁녀라 하였습니다6품이상을 상궁이라 부르며 약 600명정도 있었다 전해집니다인조때 약 230명, 영조때 약 600명, 연산군 때 약 1000명이라 합니다종류에는 제조상궁(내전의 어명을 받들고 대소치산을 관장)부제조상궁(내전별고를 관리), 대령상궁(대전 좌우에 시위하며 떠나지않고 모시는 상궁), 보모상궁(왕자,왕녀의 양육을 밭은 책임자), 시녀상궁(주로 지밀에서 봉사하며 글낭독, 서적관리) 입니다
학문 /
역사
22.12.14
0
0
스님의 삭발은 불교의 역사와 어떤관계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스님이 삭발을 하는 이유는 자신의 수행일상을 점검하고 스스로 경책하는 것이며, 마음에 자리잡고 있는 욕망과 교민의 싹을 자르고 깨달음을 얻어 다른 사람을 구제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며 머리카락은 번뇌를 상징하며 세속과의 인연을 자른다는 의미입니다
학문 /
철학
22.12.14
0
0
생활 속에서 국악이 쓰이는 사례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요즘은 국악이 잘 들어보면 많이 나와요광고 속에서도 나오고 핸드폰 벨소리, 가요, 힙합에서도 많이 쓰입니다 또 일기예보, USB 연결음이 있습니다
학문 /
문학
22.12.14
0
0
바로크 미술에 대해서 공부할 수 있느 책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책 종류 알려드립니다합스부르크600년 매혹의 걸작들위대한 서양미술사1바로크시대의 시민 미술 이상입니다
학문 /
미술
22.12.14
0
0
국악을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악을 처음들으면 다소 생소하고 가사도 어렵고 해석하기 힘들어 거부감이 들기도 하죠이럴때에는 먼저 듣고싶은 국악을 선택 후 그 곡의 유래나 이야기, 설화 등을 찾아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그리고 그 가사의 의미와 속뜻을 이해하고 듣다보면 가사속에 나오는 인물과 설화속 나오는 인물이 겹치면서 한편의 이야기를 듣는 듯한 기분으로 국악을 감상하실수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2.12.14
0
0
'밥을 빌어먹는다'라는 표현은 왜 쓰게 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는 문법상 다른표현으로 구분됩니다밥을 빌어먹다 처럼 축복 등을 의미하는 것은 빌다 로 쓰고재물 등은 빌리다 로 사용됩니다빌리다: 도로 받기로 하고 한동안 쓰게하다요약하면남의 물건을 거저 달라고 사정하는것은 빌다남의 물건을 돌려주기로 하고 쓰는것은 빌리다이상입니다
학문 /
역사
22.12.14
0
0
정말 미운사람 대처방법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안보는것 가장 좋겠지만 그럴수 없는 상황이라면 저같은 경우는 두가지 생각을 합니다무시해버리거나 그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것이죠그렇다고 불쌍히 여겨 돕거나 하지 않고 어떤 삶을 살았길래 저러고 살까, 나중에 가여워 힘든 삶을 살겠다 등딱하게 여기되 그저 지켜보고 무시해버리는 생각을 합니다사람이 사람을 싫어하는 것만큼 마음이 괴로운 것이 또 있을까 생각됩니다그것도 계속 봐야하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하루하루 힘들겠어요그저 가엽게 여겨 넉넉하고 넓은 마음으로 흘려보내세요
학문 /
역사
22.12.14
0
0
'망부석' 단어의 유래가 따로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망부석의 유래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가장 대표적인것이 신라시대 박제상의 아내가 치술령에서 죽어 망부석이 되었다는 설화절개굳은 아내가 외지에 나간 남편을 기다리다 만나지 못하고 죽어 돌이 되었다는 설화아내가 죽어서 돌이 된 것이 아니라 자연석인 돌에서 기다려 그 돌에 망부석이라눈 이름이 붙여졌다는 설화가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2.12.14
0
0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