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고려 후기 전민변정도감은 왜 설치하였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민변정도감은 고려 후기 권세가의 대토지 불법 소유 및 농민 문제 해결을 위해 설치한 관청 입니다.무신정권 시기를 거치면서 대토지의 소유 형태인 농장이 합법, 불법적 수단으로 발달하는 가운데 여기에 농민들이 모이면서 농장주는 권력을 이용해 조세 부담을 피하고 농민들 역시 농장주에 의지해 세금 부담을 회피, 이에 따라 국가 재정이 심각하게 파탄 날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이 같은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종종 임시기구가 설치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전민변정도감 입니다.이에 따라 권문세족이 부당하게 빼앗은 토지와 노비를 본래의 소유주에게 돌려주거나 양민으로 해방, 이를 통해 권문세족의 경제 기반을 약화시키고 재정 수입의 기반을 확대하려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3
0
0
중국에서 행해졌던 형벌중 코를자르는 의형을 한 배경과 어떤 범죄를 저지르면 행해진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코를 자르는 형벌은 주로 간음한 자에게 주로 쓰였으며, 이는 코를 베는 것은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상징하는의미였으므로 당하는 입장에서는 엄청난 굴욕이었고 외모도 흉한 모습이 되므로 심리적으로 큰 충격을 받았던 형벌입니다.
학문 /
역사
23.11.13
0
0
최초의 성형수술은 언제로 기록되고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원전 인도에서 성형 수술이 집도되었는데 주로 형벌로 인해 잘린 코를 복원하는 목적에서 시행되었습니다.최초의 현대적인 수술은 1차대전 당시 얼굴에 심각한 화상 및 자상, 턱 등 일부 부위 절단 등의 부상을 입은 병사들을 위해 시행되었습니다.당시 기술력이 전혀 없어 수술 후 끔찍한 상태로, 당시 부상 전의 외형을 최대한 본뜬 가면을 쓰고 다니기도 했습니다.최초의 성형수술을 받은 월터 여라는 인물로 1차 대전 참전 용사였던 그는 미사일 공격에 의해 눈꺼풀과 눈 주위 피부를 모두 잃었고 전쟁에서 돌아온 후 사회로부터 자발적 격리를 선택, 그는 성형수술의 아버지 해럴드 길리스를 만나 피부 이식수술을 받고 무너진 자존감을 일부 회복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3
0
0
중세 유럽에서 절단 외과수술후에 후속치료는 어떻게 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세 외과 수술은 주로 이단 적출이나 화상 처치 등을 포함, 대부분의 수술은 비현상학적인 방법으로 수행되며,외과 도구의 불완전한 개발로 인해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았습니다.환자를 묶어 신체부위를 절단 후 인두로 지지는 것이 수술이었고, 원초적인 방식들이 전부였고, 야만적이고 종교적인 교리로 사람들이 많이 죽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3
0
0
중국에서는 고대부터 유명한 신선의산이 있는데 대표적인 신선의산 3개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의 대표적 신선의 산은 노산, 태항산, 삼청산이 있습니다.노산은 산동성 칭다오에 위치, 산칭산은 장시성에 위치, 태항산은 산서성과 하남성 경계에 위치 합니다.
학문 /
역사
23.11.13
0
0
기원전 인도에서 의형을 당한 코를 성형수술을 어떻게 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원전 6세기 인도의 한 의시가 집필한 수슈루타 상히타에 코 성형을 비롯한 수술과정이 설명되어있습니다.-먼저 덮어야 하는 코 부분의 크기를 이파리로 측정, 필요한 크기의 피부 조각을 뺨의 건강한 피부에서 떼어 내서 코에 덮어두고 뺨에 작은 혈관 뿌리를 부착, 피부가 이식 될 코 부위는 남은 부분을 칼로 벗겨 내며 의사는 코에 이식할 피부를 올려두고 두 부분을 재빨리 꿰메야 합니다.그리고 피부도 제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피마자유 튜브 두 개를 콧구멍 안으로 밀어 넣으면 새로운 코가 모양을 잡아 간다고 기록되어있습니다.마지막 상처 부위에 면을 덮고 깨끗한 참기름을 바르기 전 감초나 매자나무 열매 같은 것을 바르라고 처방합니다.
학문 /
역사
23.11.13
0
0
제주도의 정방폭포에 중국식건물이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설에 의하면 중국 진시황이 서복이라는 신하에게 불로불사의 약을 찾아오라는 명을 내리자 이를 찾아 영주산에 산다는 신선을 찾아 제주도로 왔고 여기서 정방폭포를 보고 절벽에 서불이 이곳을 지나갔다 라는 뜻의 서불과지를 새기고 돌아갔고 이로 인해 서북이 도착했던 곳의 지명인 서귀포가 생겼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현재 정방폭포로 들어가는 길에 서복공원이 꾸며여있고, 서복기념관이 설치,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한 자료들을 수입해 전시한 곳입니다.
학문 /
역사
23.11.13
0
0
강시는 청나라때 처음 등장하게 되었다고 하던데 청나라때 어떻게 등장하게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강시는 청나라 시절 전쟁으로 죽은 시체들을 효율적으로 운반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라는 견해로 , 정복 전쟁이 많았던 청제국 시절 청나라 기병대가 공격으로 학살당해 죽은 적군의 시체는 계급이 높다면 그냥 땅에 묻거나 계급이 낮으면 그냥 불태웠으나 전투 중 전사한 아군의 시체가 발생할 경우 고국으로 옮겨 정중히 장사를 지내기 위해 고안한 방법이 긴 대나무 2개를 시체의 양 겨드랑이 부분에 끼우고 줄로 엮어 양 끝을 두 사람이 어깨로 짊어지고 운반하는 방법 이었고, 이 모습이 멀리서 보면 팔을 들고 뛰는 것처럼 보였는데 이것이 강시의 유래가 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3
0
0
청도는 섬도 아닌데 왜 섬처럼 이름이 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청도의 지명은 산과 시내가 맑고 아름다우며 큰 길이 사방으로 통한다는 산천청여, 대도사통에서 나왔다고 오산지에 기록되어있습니다.청도에서 도는 島가 아닌 道로 표시합니다.
학문 /
역사
23.11.13
0
0
옛날 조선시대 때도 자식에게(주로 장남) 재산을 상속할 때 조정에 세금을 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상속세는 조선총독부가 1934년 조선상속세령을 통해 처음 도입한 것으로 조선시대에 상속세는 없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3
0
0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