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중국역사에서 동의족은 정확히 무엇을 말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이는 중화 중심 사상에서 나온 말로 중국 역사에서 동쪽에 사는 이민족을 일컬어 부르는 말입니다.한나라 이전까지 동이족은 산둥-강소쪽 중국 동해안 일대의 부족만을 뜻했고, 한나라 무렵부터 중국 동쪽의 모든 이민족 예맥족, 삼한족, 여진족, 거란족, 왜 등을 가리켰습니다.
학문 /
역사
23.11.05
0
0
쇼군이라고 불리우는 정이대장군의 정이는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이대장군은 오랑캐를 정벌한다는 의미의 정이(征夷)로, 동쪽의 이민족, 에미시를 토벌하는 직책이었습니다.즉 정이는 오랑캐를 정발한다는 의미 입니다.
학문 /
역사
23.11.05
0
0
고려시대의 나전칠기의 특징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의 나전칠기는 촘촘히 배열하는 기법으로 여백을 거의 두지 않아 세밀하고 화려하며, 장식의 재료는 자개, 바다거북 껍질, 금속선을 사용했으며 몇 mm밖에 안되는 패턴을 반복해서 넣고 그 테두리에 두줄로 된 금속선을 꼬아 박아 넣었습니다.송나라 사신 서긍이 고려로 출장 후 작성한 보고서인 고려도경을 보면 고려의 나전은 가피 세밀히하여 귀하다 라는 내용이 있는데 서긍이 고려를 깔보는 시선으로 작성했던 것으로 보면 고려 나전 기술의 우수성을 알수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05
0
0
일본에서는 토착신앙 신토가 발달한 문화가 생긴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은 처음엔 주로 자연과 자연현상을 신으로 모시다가 점차 조상신이 추가되는데, 이는 지진, 화산폭발, 태풍 등의 자연재해가 많았기 때문입니다.여기에 혹독한 무신정권과 잦은 내전으로 일본인들의 삶은 늘 불안했기때문에, 신에 대한 의존도가 클수밖에 없었고 신은 많을수록 안심이 되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다져진 종교로 현실을 넘어 종교의 보편성이나 내세관이 발달할수 없었습니다.당장 위험을 모면할수있는 신의 가호가 늘 다급했고, 이는 개인이 감당할수있는 일이 아니었으므로 일본인들은 늘 부족과 마을 단위로 뭉쳐 어려운 일을 극복하고자 합니다.공동체의 이익과 안녕을 지키기 위해 우지가미라는 부족 수호신에게 빌어야 했고, 이게 발전되어 신도가 됩니다.
학문 /
역사
23.11.05
0
0
중세 마녀재판 당시 마녀의 기준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마녀를 감별하는 방법으로 마녀의 망치라는 책이 사용되었는데, 이 책은 그 이전까지 마녀에 대해 떠돌던 온갖 전설과 민간신앙을 정리하고 집대성한 책입니다.- 마녀 혐의로 기소된 희생자는 우선 몸에서 악마의 흔적을 찾기 위해 전신의 체모를 깎이고, 음부 등 남의 눈에 띄지 않는 곳을 많은 사람이 모인곳에서 검사받거나, 그 악마의 흔적에 바늘을 찔러 아프지 않고 피가 나지 않으면 마녀라 하기도 했습니다.마녀사냥꾼들이 가지고 다니는 바늘은 찌르면 속이 빈 통 안에 바늘 끝이 들어가 사실상 교모하게 찌르는 척만 하는 물건이었습니다.-체포 후 자백을 하지 않은 사람은 손발을 묶어 물속에 던져 가라앉으면 무죄, 떠오르면 유죄라는 감별법이 있었는데, 돌에 묶어 빠뜨는 경우도 있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 사람은 기본적으로 물에 살짝 뜨기때문에 대부분 이런식으로 물고문 당하고 끌려와 화형에 처해지게 됩니다.- 또 불의 길 경우 달궈놓은 쇠판을 걷게 해 사망하면 무죄, 살아나면 마녀로 보아 화형 이라는 재판도 있었습니다.- 이외에도 희생자에게 자백을 받아내기 위해 각종 고문을 가했는데 신체 위에 몇백 kg에 달하는 무게추를 올려놓거나, 목구멍에 깔때기를 꽂고 계속 물을 퍼붓거나, 사지를 죄거나, 가시투성이 의자에 앉히는 등, 결국 스스로 자백할때까지 고문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11.05
0
0
관우는 실제로 청룡언월도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하는데 실제 관우가 쓴 무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관우가 실제 어떤 무기를 사용했는지 기록에 남아있지 않으나, 당시 해당 시대의 무기들로 유추해보면 관우의 무기는 모(矛)였을 가능성이있습니다.그사 사용한 무기에 대한 묘사가 거의 없지만 정사 삼국지 열전에 안량을 찌르고 목을 베어 돌아왔다 라는 문구로 보아 마상에서 찌르고 벨수있는 무기로는 모가 가장 유력할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05
0
0
삼족오, 세발의 의미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족오는 다리가 세개인 까마귀로, 동아시아 전설에서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입니다.태양이 양이고, 3이 양수이므로 자연스레 태양에 사는 까마귀의 발도 3개라 여겼다는 설, 삼신일체사상 즉 천, 지, 인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하며, 고조선 시대의 제기로 사용된 삼족정과 연관시켜 세 발이 천계의 사자, 군주, 천제를 상징하는 것으로 분석하기도 합니다.
학문 /
역사
23.11.05
0
0
임진왜란 이후 언월도쓰이면서 대표적인 최고의 근접무기라고 들었는데 어떠한 위력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식 월도는 중국식 월도에서 유래되었으나, 날의 형상은 한국 고유 장검에 가까우며, 중국식 월도가 날의 폭이 넓고 하사키와 후쿠라이의 휘임각이 칼등의 위림각과 거의 같아 전체적으로 초승달 내지 둔각삼각형 모양을 한것에 반해 한국식 월도는 날의 폭이 좁고 칼등은 거의 직선에 가까우며, 하사키와 후쿠라의 각도가 거의 수직에 가까워 긴 이등변 삼각형 모양에 가깝습니다.이러한 날 형태는 무게 중심이 극단적으로 날 끝에 있는 형태이므로 원심력을 실어 베기 좋은 형태이나 날끝이 넓어 찌르기엔 적합하지 않아 찌르는 동작보다 휘둘러 찍어 넘기는 것에 특화된 도끼에 가까운 구조 입니다.
학문 /
역사
23.11.05
0
0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칼을 등한시한이유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당시에는 기마전과 수성전을 위주로 하는 전쟁방식이 주를 이루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11.05
0
0
톨스토이의 생애와 대표작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28년 9월 9일 남러시아의 야스나야 폴라나에서 부유한 지주귀족인 니콜라이 일리치 톨스토이 백작의 넷째 아들로 출생, 9살 때 양친을 여의면서 친척에 의해 양육되었으며 프랑스, 독일 가정교사로부터 교육을 받았습니다.16세때 카잔대학교 법학과에 진학하나 대학의 교수법에 회의를 느끼고 1847년 자퇴, 이후 1851년 카프카스로 가서 입대해 1855년 제대합니다.그는 1852년 자서전인 <유년시대>를 익명으로 발표, 이어 <소년시대>,<청년시대> 등을 완성해 많은 찬사를 받았으며 1856년 페테르부르크로 돌아와 농민들의 교육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 1857~61년 프랑스와 독일의 국민학교를 방문 후 야스나야 폴랴나에 동네학교를 설립, 1862년 소피아 안드레예브나 베르스와 결혼했으며 이후 그의 대표작이라 할수있는 <전쟁과 평화>와 <안나 카레니나> 등 러시아 문학 사상 불후의 대작들을 집필했습니다.그러나 정신적 고뇌와 방황 끝에 결국 종교에 귀의하고 <참회록>, <교회와 국가> , <나의 신앙>등을 발표하여 독특한 톨스토이주의를 구축했습니다. 톨스토이주의는 현대의 기독교 대신 원시 그리스도교로 회귀하며 단순하고 간소한 생활을 유지하고 사랑으로 다른 사람들을 대해야 한다는 것으로 그는 복음서의 가르침을 따라 하느님을 공경하고 가난한 사람들을 사랑하며, 폭력에 무저항으로 대처해야 한다고 주장, 아울러 그는 종교와 인생관, 육체와 정신, 죽음의 문제 등을 작품 속에서 논하면서 나름대로 해답을 독자에게 제공하려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05
0
0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