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황산벌전투는 어떠한 이유 때문에 일어난 것 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의자왕 초 , 왕권 중심의 지배 체제를 확립한 백제는 중국과 신라에 대해 강경 노선을 취하고 있던 고구려와 연결해 신라에 압박을 가했는데 특히 642년에 대야성을 비롯한 신라 남부의 40여성을 함락한 사건은 신라에게 큰 충격을 주게 됩니다.이에 신라는 김춘추를 당나라에 파견해 적극적인 외교 간섭을 벌인 결과 당나라와 군사 동맹을 맺는데 성공, 660년 이 나당연합군이 백제 공격을 단행합니다.
학문 /
역사
23.10.24
0
0
어학을 배우는데 있어서 정체감?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저의 경우 휴식기를 가지되 감을 잃지 않기 위해서 많은 매체를 활용했습니다.뭔가를 외우고 습득해야 한다기 보다, 취미생활 정도로만 휴식기를 활용해 드라마, 영화 등을 보았는데 자막이 있고 없고를 떠나서 그저 작품만 보다보니 어느새 다시 시작할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0.24
0
0
일본에 재일 조총련계 조선학교가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학교는 일본에서 민족교육을 하는 학교로 일본은 고교무상화 정책에서 조선학교를 배제하며 차별하는데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사람들 몽당연필'은 일본의 조선학교를 지키기위해 결성된 시민단체로 해마다 조선학교 방문단을 결성하고 일본에서 공연도 펼칩니다.
학문 /
역사
23.10.24
0
0
일본에 보낸 조선통신사는 어떠한 일을 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일 국교가 수립된 뒤 1636년부터 1811년까지 9회의 통신사는 에도 막부의 새 쇼군이 취임할 때마다 그 권위를 국제적으로 보장받기를 원하는 막부의 요청으로 취임을 축하하는 것을 형식적인 임무로 삼아 파견되나 그 외에 당시 정치, 외교적인 현안에 관련된 협상을 진행, 조선 후기의 통신사는 전기와 달리 조선과 일본이 함께 청나나라는 신흥 대륙 세력을 견제하는 한편, 서로를 독립국으로 인정하고 우호 관계를 유지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습니다.통신사는 귀국 후 사행에 대한 기록이자 견문록인 사행록을 남겼는데 현존하는 통신사의 사행록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초대 통신사 방문때 부사였던 경섬이 쓴 해사록입니다. 다만 통신사 이전에도 일본을 다녀온 사절단은 많았으므로 이들의 사행록도 남았으나 현존하는 것 중 가장 오래된 사행옥은 정몽주의 정포은봉사시작이며, 정몽주의 경우 1377년 9월부터 1378년 7월까지의 사행 기록을 남겼는데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협조를 얻으려 다녔습니다.
학문 /
역사
23.10.24
0
0
결혼예정에 있거나 출산한지 얼마안된 집안에서는 상가집을 꺼리게 되는데 무슨 이유 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상가집을 방문하면 죽은 영혼을 포함한 잡귀신이 옮겨 붙어 불행한 일이 생긴다고 여겼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10.23
0
0
이슬람 문화권에서 술을 마시는 나라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랍 국가들에서는 포도주와 맥주를 계속 금하는 대신 오래전부터 마셔오던 대추야자술인 아락 같은 토속주라든지 양젖이나 염소와 낙타 젖을 발효시킨 술은 예외로 쳐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10.23
0
0
막걸리는 언제부터 만들어 먹기 시작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막걸리는 삼국 시대 이전 농경이 이루어진 시기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 삼국시대부터 양조되어왔으며 13세기 고려시대 서적인 제왕운기에 유화가 해모수가 준 술에 취해 결국 주몽을 잉태했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 술이 막걸리로 여겨집니다.고려시대 때 문헌에 탁주라는 단어가 많이 나오고 송나라 서긍의 고려도경에 서민들은 맛이 떨어지고 빛깔이 짙은 술을 마신다 기록된 술 역시 탁주로 봅니다.조선시대 이르러 수많은 양반 종가 가문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가양주가 있었는데 각각의 세부적인 재료와 비율은 제각각이나 이들의 공통점은 쌀이나 보리와 같은 곡식으로 밑밥을 지어 증류 후 맑은 물을 걸러내는 식입니다.힘든 농사를 짓고 새참과 농주를 먹는다는 기록도 많은데 그 농주도 막걸리로 추정됩니다.
학문 /
역사
23.10.23
0
0
이괄의 난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괄의 난은 인조반정 때 공을 세운 이괄이 1624년 일으킨 반란으로, 한때 한양을 점령하나 반란군의 내부의 분열과 관군의 반격으로 실패했습니다.이괄은 조선의 15대 임금인 광해군 때부터 인조 때까지 무신으로 활동, 그는 서인 세력이 1623년 광해군을 임금의 자리에서 쫓아내고 인조를 새로운 임금으로 세우는 데 큰 공을 세우나 그는 인조반정 후 권력을 잡은 사람들과 사이가 나빠 공을 세우도고 좋은 대접을 받지는 못합니다.그러던 중 이괄은 후금이 북쪽의 국경을 위협해 국방 문제가 심각해지자 평안북도 병마절도사로 가게 되는데 1624년 문회와 허통 등이 이괄과 그의 아들이 역모를 꾸몄다고 고발, 이에 이괄과 관련된 사람들이 잡혀가 고문을 당하며 조사를 받으나 역모의 증거는 나오지 않았고, 후 이괄의 아들까지 한양으로 불러들여 조사하려 하자 이괄은 반란을 일으킵니다.이괄은 군사들을 이끌고 내려와 한양을 점령, 선조의 아들인 흥안군을 새 임금으로 내세우나 이괄은 그를 배신한 부하 장수들에게 죽임을 당했고, 장만이 이끄는 토벌군에 의해 반군도 진압 당하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10.23
0
0
모나리자의 실제 모델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림의 모델로는 피렌체의 유력자 프란체스코 델 조콘도의 아내인 리자를 지목하나 이 주장을 1550년 최초로 내세운 조르조 바사리는 우너본을 본일도 없고 , 조콘도 부인이나 다 빈치와 면담한 일도 없어 20세기 들어 다른 인물이 실제 모델로 지목되기도 했습니다. 2008년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의 도서관에서 1500년대 초 피렌체 관리가 다빈치가 조콘도 부인의 초상화를 제작중이라는 발언을 남긴 문서를 발견, 대부분 이를 사실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10.23
0
0
정방폭포 석벽에 있었다는 서불과차라는 글자의 뜻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설에 의하면 중국 진시황이 서불이라는 신하에게 불로불사의 약을 찾아오라 명을 내리자 이를 찾아 영주산에 산다는 신선을 찾아 제주도로 왔고 여기서 정방폭포를 보고 절벽에 서불이 이곳을 지나갔다 라는 뜻의 서불과지(서불과차)라는 글자를 새겼다고 합니다.
학문 /
미술
23.10.23
0
0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