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인 오토 폰 합스부르크의 생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 왕자 아버지인 카를이 오스트리아의 황제,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왕이 되면서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보헤미아의 황태자란 직함을 얻으나 이중제국이 해체되며 그 직함은 사라졌고 대다수의 사람들이 그를 오스트리아의 오토 대공이라 칭했습니다.유럽의 다른 왕가에서도 그에게 오스트리아의 황제 대우를 해주기도 했고 독일과 오스트리아, 헝가리, 크로아티아의 시민권을 가지고 있었으며 유럽 의회의 의원이었으며 국제범유럽연맹의 명예회장이었습니다. 작센마이닝겐의 레기나와 결혼해 7명의 자식을 두었고 독일에서 오토 폰 합스부르크 라고 불렸으며, 오스트리아에서 오토 합스부르크로트링겐, 헝가리에서 합스부르그 오토로 불렸습니다.열렬한 반공주의자이며 가톨릭 신자였던 그는 유럽 의회 의원으로 20년간 활동하는 등 정치인으로서도 활발히 활동했고, 2011년 7월 4일 독일 바이에른의 푀킹의 자택에서 잠을 자던 중 별세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5
0
0
현악기중 첼로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첼로의 음질은 힘차고 영상적이며 음량이 풍부해 합주에서 저역을 담당하며 실내악이나 오케스트라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있습니다.모양이나 구조는 기본적으로 바이올린과 같으나 길이는 약 2배 가량 되며 연주자는 의자에 앉아 악기를 바닥에 세우고 연주하기 때문에 통으로부터 나무나 금속으로 만든 각봉을 끌어내 악기의 높이를 조절하며, 연주법의 특징으로 왼손 엄지손가락의 조작으로 프라조레트를 연주하기도 하고, 엄지손가락을 지판 위에 얹어 왼손을 고정시키고, 다른 네 손가락으로 브리지에 가까운 고역 포지션까지의 연주가 가능해 이것이 첼로에 독특한 음악적 효과를 이룹니다.
학문 /
음악
23.07.25
0
0
'허수아비 때리기'라는 표현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상대방의 논점을 왜곡 후 공격하는 수법을 말합니다.논증의 한 종류이며 동시에 상대방의 입장을 곡해함으로 발생하는 비형식적오류입니다. 상대방의 입장과 피상적으로 유사하지만 사실 비동등한 명제로 상대방의 입장을 대체해 환상을 만들어내고 그 환상을 반박하는 것이 허수아비 때리기 입니다.
학문 /
문학
23.07.25
0
0
우리나라 미술그림 중 최고가로 판매된 그림은 어떤게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환기 화백의 우주 라는 작품이 가장 고가로 판매되었습니다.2019년 11월 우주는 크리스티 홍콩 경매에서 한국미술작품으로는 최고가인 131억 8천만원에 낙찰되었습니다.
학문 /
미술
23.07.25
0
0
이 한자어 음과 뜻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하신 한자어는 저압으로 '著(나타날 저) 壓(누를 압 )' 으로 쓰여지는 한자 입니다.
학문 /
역사
23.07.24
0
0
불교에서는 살생을 금한다고 해서 육류나 생선은 먹지 않습니다. 그런데 생명이 있기는 식물도 마찬가지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불교의 윤회에서 사람은 죽어 동물로 태어날수는 있으나, 사람이 죽어 식물로는 태어날수 없으니 식물은 윤회하는 존재가 아니므로 살생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학문 /
미술
23.07.24
0
0
경성제국대학은 어떤 목적으로 설립된 학교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20년 6월 100여명의 독립운동가들이 재단법인 조선교육회를 발기하고 조선민립대학설립운동을 전개하여 종합대학의 설립을 추진하자, 이에 일제가 한국인의 고등교육기관을 봉쇄할 목적으로 설립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4
0
0
삼국지에 나오는 계륵이라는 표현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계륵은 큰 쓸모나 이익은 없으나 버리기는 아까운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입니다.이와 관련된 고사는 진수가 편찬한 삼국지 위지 무제기의 배송지 주에서 인용한 구주춘추에서 나왔습니다.
학문 /
미술
23.07.24
0
0
설날에 떡국을 먹는 풍습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설날에 떡꾹을 끓여먹는 것은 고대 태양 숭배 신앙에서 유래했으며 신년제사 시 먹던 음복 음식이었습니다.즉, 고조선 이전부터 떡국을 먹었다고 알려져있습니다.설날은 새해의 첫날로 밝음의 표시로 흰색 떡을 사용하고, 둥근 태양을 의미하는 둥근 떡을 사용하는데 떡국에 사용되는 긴 가래떡처럼 오래 장수하라는 의미에서 떡국을 먹었다고하며, 가래떡을 썰어 놓은 모양이 엽전의 모양과 같아 재산이 늘어나길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7.24
0
0
일정한 시간까지 보도를 금지하는 엠바고는 왜 생겼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엠바고의 목적은 취재 시간을 확보해 언론 보도를 심층적으로 유도하고 정확성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언론 수용자의 권익을 보호하는데 있습니다엠바고는 사안이 복잡해 보충 취재가 필요하거나 보도 시점이 독자들을 혼란으로 빠지게 할 가능성이 있거나, 공익에 큰 영향을 미치거나 정부의 인사이동, 자료의 발표 시점 조절 등이 필요한 경우 보도 시기를 조절하는 행위입니다.
학문 /
역사
23.07.24
0
0
883
884
885
886
887
888
889
890
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