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시대 장수했던 왕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가장 장수한 왕은 영조로 소식과 채식 위주의 식사를 했으며, 의학적 지식으로 자신의 몸을 꾸준히 살폈다고 합니다.재위기간은 51년 7개월 입니다.
학문 /
역사
23.07.18
0
0
고려시대 공민왕이 소나무를 많이 심게했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공민왕이 소나무를 많이 심으라고 한것은 푸른색이 원나라의 침략을 막아준다 믿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7.18
0
0
조선시대의 상속제도가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초기 고려시대의 상속풍습이 그대로 이어지며 균등상속제도가 일반적이었습니다. 남자와 여자 모두 부모로부터 공평히 재산을 상속받았습니다.재산에는 토지, 현물, 노비였고 고려와 다르게 첩의 자식은 서자는 상속받지 못하거나 제외되었습니다.17세기 중엽부터는 장자상속을 원칙으로하여 장남에게 모든 재산을 물려주는 것으로 장자에게 재산을 물려주는 이유로 적장자가 집안의 제사를 하기 때문에 본처가 낳은 장자에게 상속하는 종법제가 자리잡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8
0
0
조선 태조 이성계와 아들 태종 이방원이 사이가 나쁜 배경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건국 전 정몽주를 죽이고 부터 이성계와 이방원의 사이가 크게 틀어졌습니다.왕자의 난 이후 이방원이 태종으로 즉위하고도 이성계와 숙적처럼 지내가, 말년에 겨우 화해했습니다.
학문 /
철학
23.07.18
0
0
태조 왕건은 아내가 수십 명이었다고 하는데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왕건은 쿠데타를 통해 집권한 즉위 초 불안한 왕권과 낮은 정통성을 보완하기 위해 유력 귀족들과 혼인을 통해 혈맹을 맺는 혼인정책을 시행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8
0
0
임진왜란당시 의병장은 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경명, 곽재우, 권응수, 김덕령, 김득기, 김면, 김성립, 김천일, 류식, 류종개, 송빈, 영규, 오유, 유정, 이대형, 이산겸, 이정암, 이정란, 이종문, 조경남, 정문부, 정인홍, 조헌, 최담령, 허균, 홍계남, 휴정, 황대중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8
0
0
고려의 정중부의 난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의 귀족정치는 숭문천무의 정책에 따라 무를 천하게 여겨 문반과 무반을 차별대우했고 문신들은 무신들을 멸시하고 무시했습니다.군인들은 전투와 노역에 시달리고 봉급도 제대로 받지 못해 생활이 어려워 불만이 많았습니다.결국 1170년 의종의 보현원 놀이를 틈타 정중부, 이고 , 이의방을 중심으로 한 무신들이 정변을 일으키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07.18
0
0
통행 금지 제도는 도둑이나 치안을 위해서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제에 의해 탄생하여 답습되어 36년 이상 시행한 야간통행금지제도는 식민지, 미군정, 전쟁 이후 분단 상황, 군부독재 등의 상황으로 계속되었고 냉전체제 안에서 국가안보와 치안유지라는 명분 아래 불가피하게 도입 된 후 점차 국가가 제도적으로 개개인의 신체와 시간을 통제, 관리함으로써 196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지배 권력에 대한 저항이나 이데올로기 통제기제로 변형하여 사용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8
0
0
거북선은 누가 만들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거북선을 처음 만든 사람은 나대용으로 10여년간 거북선에 대한 설계와 제작과정을 연구했습니다.거북선을 직접 만들고 마을 앞 방죽골에서 시험까지 끝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8
0
0
고려 충선왕이 원나라에 거주하며 왕의 일을 했다고 하던데 정말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충선왕은 폐위되고 원나라로 온 이후 원 성종 테무르 칸의 형으로 요절하나 다르마발라의 두 아들인 카이산과 아유르바르와다에게 접근, 당시 카이산과 아유르바르와다는 둘 다 소년이었고 부친인 다르마발라가 일찍 죽은 탓에 제위 계승이 불확실했지만 당시 원나라의 중진들은 대부분 카이두의 난을 진압하기 위해 원정을 나간 상태라 본국에 남아있던 이들 외에 딱히 접근 대상이 없어 충선왕은 이들에게 접근한 것으로 보입니다.충선왕은 학식이 뛰어난 종친이었고, 쿠빌라이 칸의 외손자라 항렬도 높았으며 이들 또안 아비 잃은 어린 종친으로서 불안정한 처지였던 만큼 공감대가 형성되어 금방 가까워지게 되었고 몇년 안되어 먼저 장성한 카이산이 원정으로 오래 본국을 떠났기 때문에 충선왕은 아유르바르와다와 더 가까워졌습니다.충선왕은 학문적 소양만은 원나라 황실의 종친들 중에서도 수준급이었기 때문에 아유르바르와다의 스승 역을 하며 한 집에 머물며 보살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8
0
0
919
920
921
922
923
924
925
926
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