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한국에 역사 기록상 김장은 언제부터 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부터 품앗이 라 하여 마을 사람들이 서로의 일을 다함께 돕는 문화가 있었고 그 과정 도중 김치를 함께 담그던 것이 오늘날의 김장 문화로 이어진 것으로 추측합니다.문헌상으로 고려시대의 이규보가 쓴 시에 무를 장에 담그거나 소금에 절인다는 내용으로 김장에 언급이 있었고, 지금과 같이 김치를 초겨울에 김장한 기록은 19세기 문헌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합니다.
학문 /
역사
23.11.27
0
0
중국의 강시라는 것은 언제부터 전해진 귀신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강시의 유래는 청나라 시절 전쟁으로 죽은 시체들을 효율적으로 운반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라는 견해입니다.정복전쟁이 많았던 청제국 시절, 청나라 기병대의 공격으로 학살당해 죽은 적군의 시체는 계급이 높다면 그냥 땅에 묻어버리거나 계급이 낮으면 그냥 태웠으나 전투 중 전사한 아군의 시체가 발생할 경우 고국으로 옮겨 정중히 장사지내기 위해 고안한 방법이 긴 대나무 2개를 시체의 양 겨드랑이 부분에 끼우로 줄로 엮어 양 끝을 두 사람이 어깨로 짋어지고 운반하는 방법이었고 , 이 모습이 멀리서 보면 팔을 들고 뛰는 것처럼 보여 이것이 강시의 유래가 되었다는 설 입니다.
학문 /
역사
23.11.27
0
0
오바마는 왜 위안부합의에 한국이 손해보는 결정을 강요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의 오바마 행정부는 대한민국과 일본의 과거사 문제를 매듭짓고 한미일 공조를 강화하려는 목적으로 위안부 합의를 지지했습니다.이는 오바마가 전략적인 인내를 위해 일본을 아시아의 맹주로 키워주기 위한 행보 중 하나로 이로 인해 오바마의 대한민국에서의 인식은 악화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7
0
0
임오화변은 왜 일어난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조는 자신의 서자인 사도세자를 엄하게 키우는 한편 의심도했습니다. 사도세자는 어렸을때부터 아버지 영조를 크게 두려워했고 15세때인 1749년 13년동안 대리청정을 수행하며 영조와 갈등을 겪었습니다.심한 압박속에 병을 얻은 사도세자는 비행을 저질렀는데 서로 대립하는 당파였던 노론과 소론의 싸움에 그의 비행이 이용되었습니다.경종 대 이후 당쟁은 군주 혹은 예비 군주를 선택하는 상황과 결부되어 한층 파급력도 크고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 영조는 이러한 국면을 타개하기 위해 탕평책을 실시하나 그 과정에서 세자와 갈등을 일으켜 임오화변이 발생합니다.임오화변은 사도세자의 성격적 갈등, 신임의지를 둘러싼 노, 소론 당론의 대결 구도, 세자를 둘러싸고 궁중 세력과 연계된 당파 간 갈등 등 다양한 원인을 배경으로 합니다.
학문 /
역사
23.11.27
0
0
2000년대에 진입이후 서울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추세를 보이는 원인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가통계포털에 의하면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인구가 2023년 기준 940만 7,540명이라 합니다.최근 5년동안 서울에 25개 구 중 23개 구 인구가 감소, 그러나 강동구와 영등포구는 인구가 증가했습니다.2005년 조성된 첨단업무단지를 비롯해 고덕비즈밸리, 강동 일반산업단지 등 여러 대규모 산업단지가 조성되며 천호와 성내 등 재정비촉진지구사업 같이 규모가 있는 재개발 사업이 추진중으로 으로 인구가 이동하게 되었습니다.서울의 전체적인 인구가 감소하는 추세이나 풍부한 일자리와 살기 편한 곳으로 젊은 층이 모여 인구 유입이 오히려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학문 /
역사
23.11.27
0
0
인류는 최초 어느시기부터 지금과 같은 면도를 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대에서는 날카로운 조개껍데기, 석영 따위를 깨뜨려 생기는 날로 수염과 머리를 깎았다고 하며, 고대 잉카인들은 청동 족집게로 수염을 하나하나 뽑았다고 합니다.고대 시절부터 있었으나 지역과 문화에 따라 상이하며 아직까지 자료는 많이 부족한 편인데 서양에서는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면도 문화가 있었고 왁싱을 하기도 했습니다.당시에 위생의 목적에 따라 면도나 왁싱을 했으며, 이를 통해 신분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으로도 작용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7
0
0
광복이후 한강에 다리는 몇개가 있었으며 지금은 몇개의 대교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울시 현황자료를 모면 잠수교 제외 모두 31개이며 세종~포천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다리가 건설중이므로 곧 32개가 됩니다.한강의 네번째 다리인 제2한강교(양화대교)부터 광복 후 우리 기술진에의해 만들어졌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7
0
0
울주 대곡리에 있는 반구대 암각화 같은 작품은 어떻게 보존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침식을 막아 훼손은 지연할수있도록 이동식 댐을 설치하는 계획을 내놓았는데 물막이 댐의 최종 모형 실험 결과 투명 물막이판 모형의 연결 부분에 누수가 발생해 실패합니다.이 실패로 울산시 또한 암각화의 보전에 큰 의지가 없다는 사실이 드러나는데 2017년 울산시가 국토부에 보낸 요구사항을 보면 울산시가 사연댐 내진 능력 보강에 맞춰 반구대암각화 보존을 위한 수위조절을 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명문화하는 방안을 추진, 사연댐을 식수전용으로 명문화할 것을 요구하는 등 울산시가 사연댐을 영구히 식수원으로 사용하면서 대체 식수원 확보 의지 또한 없음을 드러냈습니다.큰 비판을 받은 울산시는 결국 수자원공사와 협의 끝에 사연댐의 수위조절 방침을 내세우나 효과가 없고 장기적으로 훼손의 정도를 늦출수 있을 뿐입니다.2022년 기준으로 사연댐의 수위를 낮게 유지하기 위해 사연댐에 수문을 설치하는 방안이 확정되었습니다.또 현재 생활, 공업용수로 사용되고 있는 대암댐의 용수를 생활용수로 전용해 5만톤의 물을 추가 확보하는 방안 또한 고려되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7
0
0
1970년대 한국에서 충청도로 수도를 옮기려고 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71년 제 7대 대통령 선거 당시 대선 후보였던 김대중은 대전으로 행정수도를 옮기겠다 공약, 당시 대통령 박정희도 1977년 백지계획이란 이름으로 공주시~ 연기군 일대로의 행정수도 이전을 추진하다 1979년 10.26사건으로 김재규에게 암살당하면서 무산됩니다.이 시기 정부가 수도 이전을 추진한 이유는 국토의 균형발전과 함께 국가 안보 문제였습니다.서울은 장사정포 문제에 더해 그게 아니라도 북한과 너무 가까워 전시 수도로 문제가 많았고 대한민국은 건국한지 2년만에 북한의 기습공격을 받아 단 사흘만에 수도를 내주고 반격에 성공하는 듯 하다 한번 더 수도를 잃은 적이 있어 이런 우려는 현실적인 문제였습니다. 이 시기 북한과 전쟁이 벌어지면 서울은 일단 포기하고 후방에 지휘 본부가 형성될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고, 지금의 한남대교가 건설된 계기도 강남 개발 촉진보다 강북 주민들의 전시 피난용이었습니다. 이렇게 남북 분단 상황과 전쟁 위협 속에 서울이 행정수도로서 적합하지 못하다는 인식은 모두 가지고 있었고, 이 때 논의된 수도 이전은 어디까지나 분단 상황에서 어쩔수 없는 선택이었고 통일이 되면 다시 서울로 환도한다는 것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7
0
0
정약용이 거중기를 만든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세기 조선 후기 정조는 수원 지역에 새로운 성을 쌓으라 지시(수원화성), 엄청난 규모의 성을 쌓기 위해 많은 인력이 필요했으나 정약용은 적은 인원으로 성을 쌓을 수 있도록 거중기를 개발합니다.당시 거중기는 석재를 수레에 싣는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7
0
0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