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횡령배임 처벌이라는 말을 자주 쓰던데 횡령과 배임 같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엄현히 다릅니다. 횡령은 타인의 재산을 임의로 안돌려주거나 차지하는 것을 얘기하는 것고 배임은 예를 들어 회사 대표가 본인의 직위를 이용하여 회사에 피해를 입히고 별도로 돈을 버는 행위를 말하는 것입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12.28
0
0
경제학 책을 읽으려고합니다. 경제학 유명분 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그레고리 맨큐의 맨큐의 경제학을 추천드립니다. 그것만 몇번 독파하면 웬만한 경제내용은 이해가 가능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12.28
0
0
금리가 오르면 경제전반적으로 어떤 영향이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오르면 대출을 많이 가지고 있는 주체들이 타격을 입습니다. 예를 들어 대출을 많이 끼고 있는 기업 및 가계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금리를 기업이 벌어들이는 수익, 혹은 가계가 벌어들이는 소득보다 높을 경우 파산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대출을 시행한 은행도 손해를 보고요.
경제 /
경제동향
22.12.28
0
0
남북 전쟁이 일어나면, 현금과 금중 가치가 더 높아지는 것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의 가치가 올라간다고 볼수 있습니다. 금은 아무래도 전세계적인 화폐저장가치로 쓰이기 때문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28
0
0
물가상승을 왜 금리인상으로 대응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 맞습니다. 금리가 인플레이션을 잡는 일반적인 방법이긴 하지만 만병통치약이 되지는 않습니다. 지금 아르헨티나는 여러가지 사회문제가 같이 맞물리면 생기는 문제입니다.
경제 /
대출
22.12.28
0
0
기업의 기본적 기업의 분석 데이터 (PBR,PER,PCR, PSR, DY )가 주식을 매입해도 될 정도로 매력적인지 어떻게 알 수 있죠?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실 쉽지는 않습니다. 질문자가 질의한 모든 것을 고려해도 그것은 시장, 산업상황에 따라서 다르죠. 다만 같은 산업군끼리 비교할때는 위 내용에 대해서 파악하는 것은 나쁘지 않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27
0
0
미국 금리가 올라가면 왜 우리도 올려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 우리도 올려야 합니다. 세계에서 제일 안전한 채권이 미국 채권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가 미국보다 이자율이 낮으면 당연히 외국인 자본에서 봤을 때 우리나라에 투자할 이유는 없죠.
경제 /
예금·적금
22.12.27
0
0
연말에 대주주요건때문에 떨어진다고 하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극소수 사람일지라도 주식보유량으로만 따졌을 때는 적은 금액은 아닙니다. 이를 이용한 공매도 세력도 있고요.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27
0
0
미국 금리 관련 기사를 유심히 읽어보니..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매파는 아무래도 인플레이션을 잡겠다가는 그룹이고 비둘기파는 증시나 경제 성장률에 촛점을 맞추신 분들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27
0
0
대출 금리는 어떻게 정해지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 대출금리는 기준금리 더하기 가산금리로 보면 됩니다. 가산금리는 대략 위험프리미엄, 은행수수료, 인건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면 됩니다.
경제 /
대출
22.12.26
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