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안동의 병산서원은 누가 세웠나요?
안녕하세요. 병산서원은 고려 시대의 사림의 교육 기관인 풍산현의 풍악서원을 1572년(선조 5년)에 류성룡이 병상북도 안동으로 옮겨왔다고 합니다.그 후 1614년에 병산서당으로 개칭되었습니다.도산서원과 함께 안동을 대표하는 서원으로 근래에는 만대루를 비롯한 건축물과 주변 풍경의 아름다움으로 유명합니다.'병산'이라는 이름처럼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있어 비 온 뒤의 안개와 고즈넉한 분위기가 근사하다고 합니다.1978년 사적 제260호로 지정되었고, 2010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16
0
0
우리나라 저수지 의림지에 대해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충청북도 제천의 의림지는 김제 벽골제, 밀양 수산제와 함께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저수지 중 하나입니다. 의림지는 대한민국의 명승 제20호로 지정되어 있다고 합니다.의림지는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현재도 여전히 관개농업에 이용되고 있다. 삼한시대(원삼국시대)에 축조되었다는 말도 있고, 더 나중의 삼국시대에 축조되었다는 말도 있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16
0
2
재두루미 즉 학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수명이 어느정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재두루미의 수명은 30년 정도 됩니다.장수의 비결로 전해지는 이유는 다른 새보다 오래 살아서인 것 같습니다.재두리미는 몸길이 127cm의 대형 두루미로 머리와 목은 흰색이고, 앞목 아랫부분은 청회색을 띱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16
0
0
몽땅이란 말이 무슨 뜻인지요?
안녕하세요. 몽땅은 두가지 뜻이 있습니다.있는대로 모두, 다, 모조리, 빠짐없이 라는 뜻을 의미하기도 하고 한 부분이 대번에 작게 잘리거나 끊어지는 모양을 뜻하기도 합니다.예를 들면 첫번째의 경우는 '있는 돈을 몽땅 어머니꺼 드렸다' 처럼 쓰이고두번째의 경우는 연필을 계속 쓰다보니 '몽땅연필이 되었다'와 같이 쓰입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16
0
0
프랑스 역사와 관련된 책 좀 추천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알렉상드르 뒤마의 '프랑스사 산책'을 추천합니다. 이 책은 19세기 프랑스를 대표하는 작가 '알렉상드르 뒤마'가 쓴 정통 역사서입니다. 풍부한 역사 지식을 바탕으로 소설, 희곡 등 뛰어난 작품을 남긴 뒤마는, 이 책에서도 생생한 인물 묘사와 역사를 보는 독창적인 시각으로 파란만장한 프랑스 역사를 생동감 있게 표현하고 있어 도움이 되실 것으로 생각 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16
0
0
고요한 아침의 나라는 어떤의미로 쓰이기 시작한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고요한 아침의 나라(The Land of the Morning Calm)은 19세기 후반 서구에서 조선을 소개할 때 사용한 말입니다. 현재도 이말은 구한말을 가리키는 별칭처럼 쓰이고 있습니다.1882년 미국인 그리피스(W.E. Griffis)는 자신의 저서에서 조선을 서양에 처음 소개하며 서구인의 한국관을 해소하고 조선의 역사와 풍속을 상세히 설명했습니다. 그는 조선의 선(鮮)을 고요할 선(禪)으로 초월번역을 하여 '고요한' 이라고 표현 한 것이고, 또 이 '고요한'은 은둔국의 이미지를 문학적 수사로 표현한 것이라고 합니다. 그가 일본을 문명을 개화하여 태양처럼 떠오른 왕국(Sunrise Kingdom)이라고 표현한 것에 대비되는 것으로 보입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16
0
0
향후 미래의 대한민국의 가상적국은 어디라고 보십니까
안녕하세요.국제간의 관계는 자국의 이익에 따라 언제든 변할 수 있는 것이기에 질문자님의 생각처럼 미래 대한민국의 가상적국은 중국 북한 일본 러시아 모두 다 적국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적극까지는 아니지만 미국 또한 자국의 이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언제든 우리와 동맹 관계를 끊을 수도 있습니다.그러니 우리나라의 국방을 우리의 힘으로 지키려는 노력은 계속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16
0
0
사극물의 대사가 실제 조선시대 관료들이 사용한 언어와 같나요?
안녕하세요. 조선 시대 궁전 내부의 관료들의 말을 똑같이 재현하기는 힘들겠지만 드라마 작가들도 상당한 고증을 통해 드라마를 만들기 때문에 어느 정도 신뢰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그래서 저는 완전히 똑같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는 비슷했을거라 생각합니다.미흡하지만 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16
0
0
유명한 교양곡들은 왜 전부 외국일까요?
안녕하세요. 교양곡이 아니라 교향곡이랍니다.교향곡은 관악기와 현악기가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작곡된 큰 규모의 기악곡입니다. 즉 관현악으로 연주하는 형식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완전한 짜임새를 가지고 있습니다. 교향곡은 기본적인 4악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교향곡은 고전파의 중심 음악가인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 등을 통해 완전한 형식을 갖추게 되었습니다.베토벤의 제5번 '운명 교향곡', 슈베르트의 제8번 '미완성 교향곡', 차이콥스키의 제6번 '비창 교향곡'이 세계 3대 교향곡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이처럼 교향곡은 유럽을 중심으로 오래전애 시작되었고 우리나라에서 연주되기 시작한 것도 역사적으로 따지면 얼마 안되기에 유명한 교향곡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뿐만 아리라 미국이나 일본 중국 등에서도 유명한 교향곡이 없습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음악
22.12.16
0
0
조선시대에 처음으로 금혼령이 생기게 된 유래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금혼령(禁婚令)은 국가에서 일정 기간 동안 백성들의 혼인을 금지시키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시대나 조선 시대에 국가에서 왕비나는 왕세자 또는 왕세손의 빈을 간택하기 위하여 일정 연령에 도달한 여성들의 혼인을 금하는 명령을 내렸습니다.또 공주나 옹주의 부마 간택을 위하여 일정 연령에 도달한 남자의 혼인을 금지하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이밖에 국상중이거나 중국으로 공녀를 보내기 위해서도 금혼령이 내려지기도 했다고 합니다.언제 처음 생겼는지는 정확히 나와 있지 않지만 1292년 '고려사절요'에 고려 충렬왕 18년 양가의 처녀를 선발하기 위해 금혼령을 내렸는데 이를 지키지않고 자녀를 결혼시킨 자를 금령을 범해서 귀양을 보냈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16
0
0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