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세상에는 자기와 똑같이 생긴 도플갱어가 정말로 존재할까요
안녕하세요. 도플냉어는 독일어로 '이중으로 돌아다니는 사람'이라는 의미라고 합니다.보통 같은 시대와 공간에서 타인은 볼 수 없지만 본인 스스로 자신과 똑같은 대상(환영)을 보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우리말로 자기분신, 분신복제 등으로 불린다고 하네요.도플갱어가 실재 존재하는지에 대해 명확하게 규명된 것이 없고 공포 영화 속에서 도플갱어와 마주치면 머지 않아 자신이 죽을 것임을 암시하는 것이라고 나오기도 합니다.저는 이 도플갱어는 실제 없다고 생각합니다.사람들이 흥미있는 소재로 꾸며낸 것, 즉 만들어 낸 개념이라고 생각합니다.
학문 /
미술
22.12.14
0
0
현대의 한복은 과거 왕족이나 귀족들이 입었던 의복이 발전해서 만들어진건가요?
안녕하세요.지금의 한복은 조선시대 양반들이 주로 입었던 형태가 변형되어 만들어진 것입니다.한복도 유행을 타서 그때 그때 다른 경향을 보입니다.예전에 하지원이 주연으로 나왔던 황진이 드라마가 유행했을 당시에는 가생들이 입었던 스타일의 한복이 유행했던 적도 있었습니다.
학문 /
역사
22.12.14
0
0
6.25때 켈로부대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켈로부대’는 ‘KLO(Korea Liaison Office·주한 첩보연락처)’의 준말입니다.6·25전쟁 당시 대북첩보를 수집하고 후방을 교란하는 게릴라 작전을 벌였던 미 극동군 특수전사령부 운용 부대로, 특히 인천상륙작전 등에서 혁혁한 공을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켈로부대는 1949년 6월 주한 미 극동사령부 정보참모부 산하에 창설된 특수부대로약 3만 명 규모였는데, 주로 북한군이나 중공군으로 위장하여 첩보 수집 등의 임무를 담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부대원들은 대부분 북한 실정에 밝고, 연고가 있는 북한 출신들로 조직됐다고 합니다.이 켈로 부대원들은 정식 정규군이 아니었기 때문에 무명용사로 전해오다 1995년 ‘참전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뒤늦게 참전유공자로 인정받아 일부 혜택을 받았다고 합니다.시라소니는 켈로부대를 창설한 미군이 찾아와 교관을 맡아달라고 해서 조국을 위하는 마음에서 요구를 받아들였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2.12.14
0
0
임진왜란 의병이나 승병들 질문이요!!
안녕하세요.임진왜란 때 나라를 위해 의병을 일으킨 사람들은 어떤 대가를 받기위해 한 행동이 아니었습니다.그리고 그 당시 임진왜란으로 피폐해진 조정에서 의병이나 승병에게 보상을 지급할 여력이 없었을 것 같습니다.따라서 보상이 없었을 것으로 보입니다.미흡하나마 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14
0
0
경찰들이 사용하는 수갑 사제로 사서 사용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근 신문에 난 기사를 보면 '경찰 관계자는 "임용시 수갑을 받지만 비사용 부서에서 오래 근무하다 보면 분실하는 사례가 가끔 발생한다"며 "경찰서에서 직접 관리하며 필요 인력, 필요 시기에만 수령하는 것이 더 책임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라는 것으로 보아 나라에서 경찰 임용시 지급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학문 /
음악
22.12.14
0
0
포스트모더니즘이란 것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은 탈근대주의로 일반적으로 근대주의로부터 벗어난 서양의 사회, 문화, 예술의 총체적 운동을 말합니다.근대주의의 이성중심주의에 대해 근본적인 회의를 내포하고 있는 사상적 경향으로 이는 2차 세계대전 및 여성운동, 학생운동, 흑인민권운동과 구조주의 이후 일어난 해체 현상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데리다가 주장한 해체, 탈구축, 탈중심적 다원적 사고, 탈이성적 사고가 탈근대주의의 가장 큰 특징으로 1960년대 프랑스와 미국을 중심으로 일어난 사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학문 /
문학
22.12.14
0
0
옛날 삼국(고구려,백제,신라)중에 나라를 누가먼저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정확한 역사적 자료는 없으나 백제와 신라의 초기 왕계보를 볼 때, 백제와 신라의건국 시기는 고구려보다 늦었던 것으로 보입니다.제일 먼저 건국된 나라는 고구려, 그 후 백제, 신라 순으로 건국했을 가능성이 높아입니다.백제와 신라가 아직 한강 이남에 있던 70여개국의 성읍 국가 중 하나의 단계일 때, 이미 고구려는 경쟁국이었던 부여를 추월하고 중국 한족 세력과 투쟁을 벌이고 있었다는 기록을 통해 이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2.12.14
0
0
625당시 해남사람들은 진짜 전쟁난지도 몰랐나요?
안녕하세요. 6.25 전쟁이 일어났던 시기는 교통과 통신이 그다지 발전하지 못했던 시기로 전쟁이 시작되었을 때는 해남 사람들이 전쟁이 일어난 것을 몰랐을 수도 있습니다.하지만 전쟁으로 인한 피해가 심해지고 남쪽으로 피란을 오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전쟁으로 인한 피해는 없었어도 알고는 있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학문 /
역사
22.12.14
0
0
나관중의 삼국지는 역사책인지 아니면 소설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삼국지(三國志)는 진나라 진수(陣壽)가 그 당시의 사료들을 모아서 하나로 편찬한 정식 역사서입니다.질문자님께서 궁금해 하시는 나관중이 쓴 책은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로 서기 184년 황건적의 난부터 서기 280년까지 중국 내륙에서 벌어진 역사적 사건을 바탕으로 허구의 내용을 가미한 중국의 대표적 연의(고전역사소설)라고 합니다.나관중의 삼국지연의는 진수가 집필한 ‘삼국지‘를 토대로 얼마간의 가공적인 인물을 가미하여 재미있게 꾸며 놓은 이야기라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14
0
0
병자호란이 왜 일어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1627년에 일어난 정묘호란 뒤 조선과 후금은 형제의 나라로 조약을 맺고 서로 평화롭게 지내기로 약속했습니다.그러나 후금은 태도를 바꿔 두 나라의 관계를 군신(임금과 신하)의 관계로 바꿀 것을 요구하게 됩니다.이런 후금의 요구에 조선 조정은 크게 분노했고 차라리 후금에 맞서 전쟁을 벌이는 게 낫다는 주장까지 나왔다고 합니다.1635년에 나라 이름을 ‘청’으로 고친 후금은 조선의 태도에 대해 조선의 왕자를 볼모로 보내고 전쟁을 주장했던 신하를 체포하여 보낼 것을 요구했고 조선이 이를 거부하자 청 태종은 1636년에 13만여 명에 이르는 대군을 이끌고 조선에 쳐들어 왔는데 이 전쟁이 바로 병자호란입니다.
학문 /
역사
22.12.14
0
0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