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나라의 뛰어난 온돌방문화가 있는데 다른나라에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온돌은 매우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난방 방식으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온돌은 아궁이에서 불을 붙여 그 열기가 온돌을 통과하면서 바닥을 따뜻하게 하는 직접 가열식 난방입니다.이는 방을 데우는 난방은 물론 그 아궁이에 밥을 짓고 음식을 만드는 등의 취사가 동시에 사능한 구조입니다.우리나라처럼 실내에서 신발을 벗고 바닥에 앉거나 누워서 잠을 자는 좌식 생활 방식인 경우 매우 합리적인 온돌은 열원을 이용하여 바닥을 데우고, 다시 바닥의 열기로 방안의 공기를 데우는 대류의 원리를 이용한 난방 방식입니다.우리나라 외에 중국 북부 지역에도 일부 공간의 바닥을 데워 사용하는 캉(坑)이 있지만, 방바닥 전면을 데우는 온돌은 우리나라만의 고유한 방식이라고 합니다.여름에는 시원하게 겨울에는 따뜻하게 살 수 있도록 해주는 온돌은 우리의 기후 환경에 지혜롭게 적응해 온 한국인의 창의성이 발현된 독특한 문화라는 점에서 2018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고 하네요.질문에 '좋아요' 와 답변에 ‘추천’과 ‘좋아요’ 은 아하 커뮤니티를 더욱 발전 시킬수 있습니다.그래서 저는 제가 답변하는 질문에는 '좋아요' 누르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8
0
0
AI로봇이. 지배하는세상 사람이 할수 있는 직업은?
안녕하세요. 여러 나라의 전문가들은 현존 직업 중 50만 개가량이 인공지능으로 작동하는 로봇이나 기계로 대치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미국의 하버드대 하워드 가드너 교수의 저서 ‘미래를 위한 다섯 가지 생각’ 에 따르면 미래에 살아남을 직업으로 교사, 회계사, 법률가, 의사, 변호사, 약사, 목수, 벽돌공 등을 꼽고 있습니다.이런 직업들은 로봇이 대신 하기에는 실용적이지 않거나 사교적이며, 형이상학적인 직업들로 이 외에도 엄청난 정보의 진위를 걸러낼 수 있는 ‘정보처리 능력’과 ‘가상환경’을 다룰 수 있는 능력도 미래 사회에서는 중요하게 대우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이런 직업으로는 정보보안 전문가, 빅 데이터 분석가, 인공지능·로봇 전문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등이 있다고 하네요.질문에 '좋아요' 와 답변에 ‘추천’과 ‘좋아요’ 은 아하 커뮤니티를 더욱 발전 시킬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제가 답변하는 질문에는 '좋아요' 누르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8
0
1
칼로저스는 자기답게 사는게 젤중요하다고 했다는데요?
안녕하세요.나답게 산다는 건 정말 쉬우면서도 어려운 일인것 같습니다.제가 생각하는 '나답게 산다'는 의미는 자신만의 주관을 가지고 남들과 비교하지 않으며 사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삶을 살아가다 보면 우리는 남들의 시선에 많은 제약을 받습니다. 그러다 보니 어느새 '나다움'을 잃어버리고 의미 없이 남을 따라가게 됩니다. 자신이 생각한 바는 남들과 같아져서 튀지 않기를 바라는 거요.자신이 하고 싶은 일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한 남들과 똑같아지려고 하지 않고 자신의 고유한 성질을 이어가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남들과 비교하지 않고, 남들과 같아지려고 하지 않고, 내가 가진 나만의 개성이나 특성을 살리는 일, 이것이 진정한 '나다움'이며 나답게 사는게 아닐까 합니다.질문에 '좋아요' 와 답변에 ‘추천’과 ‘좋아요’ 은 아하 커뮤니티를 더욱 발전 시킬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철학
22.12.08
0
0
어제보다 오늘이 조금더 나으려면 어찌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매일 매일을 힘들게 살아가며 좌절하는 사람도 있고 똑같은 상황이지만 그 어려움 속에서도 희망을 발견하고 감사하며 사는 사람도 있습니다. 모든 것은 사람이 마음 먹기에 따라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미국의 대통령이었던 링컨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행복하고자 마음 먹은 만큼 행복해진다.'라고 했습니다.희망과 행복의 비결은 파랑새가 멀리 있지 않고 우리집 처마에 있었다는 이야기와 같습니다.멀리서 찾지 말고 내 가까운 곳에 작은 일들부터 감사하는 마음을 갖는다면 우린 행복하고 희망찬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네가 헛되이 보낸 오늘은 어제 죽은 이가 그토록 그리던 내일이다.'라는 말처럼 살아가고 있음 자체가 행복인 것입니다.어제보다 조금이라도 나은 오늘을... 오늘보다 더 희망찬 내일의 소망하며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에 감사하며 살아가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8
0
0
남산을 대표하는 남산타워는 언제 생겼나요?
안녕하세요. 예전에는 남산타워라고 불리었는데 지금은 N서울타워로 개칭하였습니다.서울의 어느 곳에서든 이 타워를 볼 수 있어 우리나라의 대한민국 서울의 중심으로의 상징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이 타워가 완공된 때는 1974년이고, 총 높이는 남산이 479.7m이고 탑의 높이는 236.7m로입니다. 이 타워의 꼭대기 전망대에서는 시야가 좋은 맑은 날 동쪽으로는 양평 용문산, 서쪽으로는 인천 앞바다와 남인천항, 남쪽으로는 남한산성, 북쪽으로는 북쪽의 송악산까지 볼 수 있다고 합니다.N서울타워는 'N'은 New Namsan의 이니셜로 새롭게 정비된 서울타워에 대한 기대감 과 새로움의 문화적 트렌드를 부각하는 의미라고 합니다. 서울시는 N서울타워를 2018년 ‘서울 미래유산’으로 지정하였다고 하네요.질문에 '좋아요' 와 답변에 ‘추천’과 ‘좋아요’ 은 아하 커뮤니티를 더욱 발전 시킬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8
0
0
인사동은 언제부터. 지금처럼 바뀐건가요?
안녕하세요. 인사동(법정동)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곳으로 우리의 전통적인 물건들을 파는 곳이 밀집해 있습니다. 골동품, 화랑, 표구, 필방, 전통공예품, 전통찻집, 전통음식점 등이 있어 구경하는 재미도 있는 곳이고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에 왔을 때 꼭 들려보기를 권하는 곳 중에 한 곳입니다.인사동에는 조선 태조 때부터 공신들의 업적을 조사하던 관청인 충훈부와 그림을 그리는 화공들이 많았던 도화서가 있었다고 합니다.일제강점기 때 우리나라의 문화재 수탈의 창구 역할을 했던 골동품 상점들이 들어서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이곳에서 3.1 독립 운동의 주역이었던 33명의 사람들이 모였던 태화관이 있었다고 합니다.해방 후 1070년대 화랑, 표구점 등의 미술품 관련 상점들이 이곳에 자리잡게 되었고 지금의 문화의 거리로 발전했습니다.인사동은 현재 서울시에 의해 ‘전통문화의 거리’와 ‘제1호 문화지구’로 지정되었습니다.질문에 '좋아요' 와 답변에 ‘추천’과 ‘좋아요’ 은 아하 커뮤니티를 더욱 발전 시킬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8
0
0
새해가 바뀔때 치는 종소리는 왜 33번을 치나요?
안녕하세요. 해마다 12월 31일 자정에 서울 보신각과 각 지방에서는 33번의 제야의 종을 칩니다.이 때 동시에 여러 곳의 절에서는 여러 중생의 백팔번뇌를 없앤다는 뜻으로 종을 108번 울립니다.이 33번의 숫자는 108와 같이 불교와 관련이 있습니다. 33의 숫자는 33명의 관세음보살을 얘기 합니다. 백의관음, 수월관음, 약왕관음, 등 자비스러운 33명의 관세음보살님들이 중생들을 위하여 중생이 원하는 곳이라면 어느 곳이든지 모든 사람의 원하는 바를 따라 모습을 바꿔서 나타난다고 합니다.33번의 종을 치는 것은 우리나라 국민들의 시름과 번뇌를 씻고, 새로운 한해에는 모든 것을 이루기를 축원하는 의미하고 합니다.좋은 질문에 ' 좋아요' 눌렀습니다^^ 제 답변도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8
0
0
도깨비 이야기에 나오는 깨금은 어떤 열매 인가요?
안녕하세요.깨금은 개암나무 열매입니다.개암나무는 쌍떡잎식물로 참나무목 자작나무과의 낙엽활엽 관목입니다. 주로 산기슭의 햇빛이 잘드는 양지쪽에서 자랍니다.깨금은 개암, 헤이즐넛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대요, 깨금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작지만 생긴 모양과 맛이 밤과 비슷해서 '개 밤'으로 불리다가 '개암'으로 또 '깨금'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등으로 불리고 있습니다.단백질과 지방이 많아 기력이 회복 되는 것을 돕고 위장을 튼튼하게 하는 데 사용했다고 합니다.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했는데 신체가 허약하거나, 식욕이 없거나, 눈이 피로한 경우에 차방했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8
0
0
신라에서는 왜 화랑이라는걸 만들었을까요?
안녕하세요. 몇년 전 박서준 주영의 '화랑' 이라는 드라마를 너무 재미 있게 봤었는대요.화랑은 신라 진흥왕 때 전쟁에 필요한 군사로 쓰기 위해 유능한 인재들을 모아 조직한 단체로 주로 용모출중한 진골 귀족의 15 ~ 18세 정도의 아들들로 구성되었다고 합니다.화랑의 총지도자는 국선이고 그 아래에 화랑이 있고, 각 화랑들은 수백 명에서 천 명 정도 되는 낭도들을 거느렸다고 합니다.이렇게 모인 화랑들은 산 높고 물 맑은 곳을 돌아다니며 몸과 마음을 수련했습니다.화랑을 교육했던 덕목으로 원광법사의 ‘세속오계’가 있습니다.사군 이충(事君以忠 : 임금에게 충성), 사친 이효(事親以孝 : 어버이에게 효도), 교우 이신(交友以信 : 친구를 믿음으로 사귐), 임전 무퇴(臨戰無退 : 싸움에서 물러서지 않음), 살생 유택(殺生有擇 : 함부로 살생하지 말 것)입니다.이 중 오늘날 군대에서도 필요한 것을 이어가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7
0
0
베트남사에 대해 궁금한게 많은데 책 추천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권재원 자가가 쓴 '반전이 있는 베트남사(가깝고도 낯선, 작지만 강한 나라베트남 이야기)'를 추천합니다. 2019년 출간된 책인데 베트남의 역사를 쉽고 재미있게 쓴 책입니다.알수록 재미있는 베트남의 이모저모를 적은 책인데 읽다보면 베트남의 역사가 우리와 닮아 있음을 발견하게 되실거랍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7
0
0
46
47
48
49
50
51
52
53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