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한국의 할머니들은 왜 다 파마를 할까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할머니들이 파마를 하시는 이유는 머리를 간수하기가 편하기 때문이랍니다.짧은 머리에 파마를 하면 머리가 뻣지도 않고 파마 가격도 저렴하고 오래가기 때문에 시골 할머니들께서 파마를 많이 하시는 것 같습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16
0
0
구전동화의 출처는 알 수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구전동화는 말 그대로 입에서 입으로 전래되어 온 이야기입니다.그렇기 때문에 작가가 누구인지 출처가 어디인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예전에 있어왔고 그 이야기를 들은 누군가가 또 그 이야기에 약간의 재미를 더해 전해 내려온 이야기가 구전동화입니다.미흡하지만 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16
0
0
사이가 안 좋은 가족을 콩가루 집안이라고 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콩가루 집안이란 말은 오래전부터 전해져 온 말로 콩가루가 잘 뭉쳐지지 않는 데서 유래했습니다.다른 가루에 비해 콩가루는 유독 잘 안 뭉쳐지고 흩어지기 때문에 떡의 고물로 쓰입니다.가족이란 서로 아끼고 사랑해야 하며 화합이 잘되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가족도 있습니다.가족 간의 사이가 안좋고 화합이 되지 않는 가정을 빗대어 쓰는 말이 ‘콩가루 집안’입니다.요즘은 그 의미가 확대되어 정상적인 범위에서 심하게 벗어난 가족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가족을 모두 콩가루 가족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16
0
0
가을이 왜 '독서' 의 계절이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가을이 독서의 계절이 된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가을에 사람들이 제일 책을 읽지 않아서라고 합니다.가을은 단풍도 예쁘고 날씨도 좋아서 집에 있기보다는 밖으로 여행이나 나들이가 많아지는 계절로 상대적으로 책을 읽게 되는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고 합니다. 이에 출판유통업계 종사자들에 따르면 가을은 도서 매출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시기입니다.그렇기에 가을을 독서의 계절이라고 하며 독서를 유도 하려는 의도가 다분히 있어보입니다.사실 가을이 독서의 계절로 불리는 것은 농경문화의 관습에서 유래한다고 보는 견해가 많습니다.‘등화가친(燈火可親)’이라는 한자성어가 있는대요. 이 말은 ‘한 해 농사를 마쳐 먹거리가 풍성한 가을은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공부하기에 더없이 좋은 계절’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또한 가을은 기온이 적절해서 공부하고 책 읽기에 적당한 계절이기에 가을이 독서의 계절이 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16
0
0
기새유하생량, 이 말 있는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질문자님이 궁금해 하시는 기새유 하생량은 '기생유 하생량'이 맞는 말이며 이말은 무척 유명한 말입니다.“하늘이시여! 이미 내(주유)가 태어났거늘, 어찌하여 제갈량을 태어나게 하십니까?"라며, 하늘을 원망하면서 남긴 말이 그 유명한 '기생유 하생량(旣生瑜 何生亮)'이다.이는 삼국지에 나오는 말로 오나라의 주유(周瑜)는 무척이나 똑똑하고 여러 가지 분야에 다재다능한 인재였습니다. 오나라 병권을 장악하고병법에도 뛰어난 지략가이기도 했는대요.'손권 유비 동맹'을 통해 주유는 제갈량과는 의기투합할 때도 있지만 많은 경우 대립 관계에 있었다고 합니다. 손권의 책사 노숙은 이 둘 사이를 화해시켜보고자 많은 노력을 했지만 주유의 시기심과 경쟁의식으로 별 효과가 없었다네요.주유는 스스로를 능력자로 대단한 자긍심을 가졌지만 제갈량의 신기묘산한 재주에는 시기심과 열등감이 생겨 사사건건 경쟁 관계로 부딪칠 때가 많았고, 그럴 때마다 그는 제갈량에게 번번이 졌으며 이것이 병이 되어 요절하게 되었는대요.그는 죽으면서 남긴말이 바로 이말이라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16
0
0
한국인은 왜 소파를 두고 바닥에 앉을까요?
안녕하세요. 저도 바닥에 앉는 것을 좋아합니다.소파가 있어도 바닥에 앉는 것은 우리나라가 아무래도 온돌이 발달한 온돌문화 때문이 아닐까요^^우리는 전통적으로 바닥에 익숙한 민족입니다.바닥을 따뜻하게 달궈서 온기를 전하는 온돌을 사용했고 지금 주택을 지을 때도 바닥에 보일러를 넣어서 바닥을 따뜻하게 해서 사용합니다.그래서 침대보다 바닥에 요와 이불을 깔고 자왔고 지금도 그래서 거실에 소파가 있어도 바닥에 앉는 것을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15
0
0
사찰은 왜 대부분 산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불교가 전래되어 불교를 믿는 사람이 많았고 고려시대에는이런 불교가 부흥한 시기라 절이 도심지 가까이에 있었다고 합니다.그러다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숭유억불 정책으로 인해 불교가 배척을 당함에 따라서 절이 대부분 사람들이 드문 산속에 지어졌다고 합니다.미흡하지만 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15
0
0
내년 2월에 신규 분양 아파트로 입주할 예정인데..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저는 미신을 믿지 않습니다. 믿기 시작하면 한도 끝도 없습니다.좋은 쪽으로만 생각하시길 바랍니다.아파트 입주하시는 거 축하 드리며 그 곳에서 행복한 일만 있기를 기원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15
0
0
정주영회장이 조선소 건설을 위해 보여 줬다던 거북선이 저는 오원동전이라구 알고 있는데
안녕하세요. 정주영 회장이 조선소를 건립하기 위해 보여주었던 것은 500원 짜리 지폐였다고 합니다.1971년 정주영 당시 현대그룹 회장은 공장도 없는 상태에서 현대 조선소를 설립하기 위해 영국 바클레이즈 은행에 차관을 빌리러 갔었습니다.이때 영국 은행 관계자들 앞에서 호주머니 속 500원 지폐를 꺼내놓으며 지폐 속의 거북선이 영국의 조선(造船) 역사보다 300년이나 앞섰으며 이 거북선으로 일본을 물리쳤다고 하면서 우리의 조선(造船)의 능력과 아이디어가 충만함을 강조했다고 하네요.이 결과로 차관을 얻은 그는 무사히 조선소를 세웠다고 합니다.지폐 한 장에 그려져 있던 거북선 모습이 현재 세계 제일의 조선 강국 한국을 만드는 첫걸음이 됐었던 것이죠.우리 화폐에 거북선이 도안으로 사용된 것은 1953년 제2차 화폐개혁 당시 발행된 ‘환’ 표시 지폐부터라고 합니다.이때부터 지금까지 거북선은 우리 돈 13종(지폐 7종, 주화 6종)에 도안으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5원짜리 동전에 거북선과 50환에도 거북선 그림이 입니다.500원 짜리 지폐의 앞면에는 이순신과 거북선이 동시에 나와있습니다.
학문 /
역사
22.11.15
0
0
한글이 본격적으로 사용되어진 시기는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한글이 창제된 시기는 1446년으로 576년의 시간이 지났지만, 한글 사용이 본격적으로 대중화된 시기는 100여 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고 합니다.우리나라는 19세기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오랜 기간 동안 쓰여온 중국의 한자를 중심으로 한글과 한자를 동시에 사용하는 언어 문자 생활을 해왔습니다.이후 근대적 사회로 변모되는 과정에서 개화 계몽운동의 일환으로 국어국문운동이 대중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했고 이후 1894년 갑오경장 이후 국가시험에 국문 과목이 포함되고, 법률 칙령이 한글로 개편되는 등 한글 사용이 공식화되었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15
0
0
64
65
66
67
68
69
70
7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