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노스트라다무스는 예언으로 유명한데 어떤사람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의 조상은 원래 유대인이었으나 할아버지 때 가톨릭으로 개종한 상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영민한 미셸은 상업 대신 학문의 길을 택해 15세 때 아비뇽 대학에 입학했으나 2년 뒤인 1520년에 흑사병이 돌아 대학이 휴교하자, 8년간 프랑스 전역을 방랑하며 견문을 넓히고 학문을 다듬었다. 이때 약재에 대한 지식을 배워 약종상으로 일하기도 했다. 이후 1529년에 당대의 명문 몽펠리에 대학 의대에 입학했지만 얼마 못 가서 교수들과 반목하다 과거 약종상으로 일한 전적이 있다는 것이 발각되어 퇴학당한다.[6]그 뒤 당대의 명의 스칼리제 밑에서 수련을 하면서 앙리에트 당코스라는 여인과 결혼하여 1남 1녀를 얻었으나, 흑사병 환자들을 치료해 주고 돌아와 보니 아내와 자식들이 흑사병에 걸려 사망해있던 비극을 겪는다. 그 후로 약 10년간의 행적이 묘연한데, 노스트라다무스의 삶을 다룬 소설이나 영화에서는 이 기간 동안 신비주의나 점성술과 같은 오컬트에 정진했다고 묘사된다.그 후 1546년에 남부 프랑스에 흑사병이 퍼졌을 때 새로운 치료법으로[7] 흑사병을 치료하는 데 공헌했고, 1547년부터 살롱드프로방스라는 마을에 안주하며 여기서 안 퐁사르드라는 과부를 만나 재혼하게 된다. 안에게서 3남 3녀의 자녀들을 얻는다.1550년경부터 다음 해에 있을 일들을 예언하는 달력(토정비결 비슷한 달력)을 발간하기 시작했고, 이게 잘 맞는다 하여 예언가로서 명성을 쌓기 시작한다. 1555년에는 그 유명한 노스트라다무스 예언집의 초본을 발간하게 되는데, 인쇄술의 보급, 당시 지식인들 사이의 오컬트 열풍 등을 타고 프랑스 전체로 퍼져나가게 된다. 그러던 중 오컬트 신봉자인 앙리 2세의 왕비 카트린 드 메디시스에 의해 궁정으로 초청된다.이후 앙리 2세의 마상 창 시합 도중의 사고사, 앙리 2세와 카트린 사이에서 얻은 아들들이 모두 프랑스 왕이 되지만 모두 요절한다는 예언이 들어맞으며 더욱 유명해진 그의 이름은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가고, 사람들은 큰 사건이 터질 때마다 그의 예언서를 뒤져보게 된다.말년에는 통풍과 류머티즘으로 고생했으나, 왕비의 총애를 받아 그럭저럭 풍족한 노후를 보내며 62세로 사망했다. 당시 유럽 평균 수명의 약 2배를 더 산 나이니 상당히 장수한 것이다. 1566년 7월 1일 병사하기 전날 밤에 자신의 죽음을 가족들에게 예언한 것이 마지막 예언이 되었다.
Q. 사자성어 만사형통의 유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만사형통(萬事亨通)’은 고대 중국 문헌에서 유래한 성어로, 직역하면 '만 사물이 형통하다'는 뜻입니다.이 성어는 모든 일이 원활하게 진행되고, 모든 것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는 상황을 묘사합니다.이 말은 인생의 다양한 분야에서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것을 기원하거나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보통 사업, 관계, 학업, 가정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거나 일이 순조롭게 진행될 때 사용됩니다.예를 들어, 사업을 시작하면서 모든 계획이 순리에 따라 진행되고 성공하는 상황에서 "만사형통"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또한, 개인의 인생에서도 모든 일이 원만하게 풀리는 것을 기원할 때나, 친구나 지인에게 긍정적인 에너지와 응원의 메시지를 전달할 때 사용되곤 합니다."만사형통"이라는 말은 중국의 고사성어로서 고대로부터 인간의 삶과 세상의 동향에 대한 이해를 깊게 담고 있습니다.이는 모든 일에 긍정적이고 활력 넘치는 에너지를 상징하며, 부정적인 장애물이나 어려움 없이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상황을 묘사합니다.각자의 목표와 꿈을 끊임없이 추구하며, 그 과정에서 얻는 성공과 만족감을 상징하는 긍정적인 성어로, 현대에 와서도 이를 기원하는 말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만사형통은 인생의 길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일들이 어려움 없이 순조롭게 진행되길 바라는 진심어린 기원이자, 인간의 끊임없는 노력과 의지, 그리고 희망을 담은 성어로 여겨져 현대인들에게도 큰 힘이 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