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습관·식이요법
Q. 비타민이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과일은 어떤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형봉 영양전문가입니다.우리 몸에 비타민C 가장 필요한 곳은 두뇌입니다. 비타민 C는 수용성 비타민 중 하나이며 면역력을 높이고 상처를 치유하며 흉터 조직을 형성하고 연골, 뼈를 복구 및 유지하고 철분 흡수를 테스트하고 보조하는 2 차 항산화 제입니다. 또한 빛나는 피부에도 도움이됩니다. 채식주의 자용 식품은 비타민 C가 함유 된 식품으로 각 식품마다 비타민 C의 양이 다릅니다. 비타민 C가 풍부한 식품을 조리하면 비타민 C가 열에 불안정하여 비타민 C의 효과를 파괴합니다.과일과 채소에는 비타민 C가 풍부히 들어 있습니다.1) 구아바과일 1 개 : 377mg (DV 628 % 이상)2) 블랙 커런트1 컵 : 203mg (DV 338 % 이상)3) 고추생 1 컵 : 190mg (DV 317 % 이상)4) 키위1 개 : 164 mg (273 % DV)5) 피망다진 1 컵, 날것 : 120mg (200 % DV)6) 오렌지1 개 라지 : 82mg (DV 163 % 이상)7) 딸기1 컵 : 89.4mg (149 % DV)8) 파파야1 컵, 조각 : 86.5mg (DV 144 % 이상)9) 브로콜리생 1 컵 : 81.2mg (135 % DV)10) 케일생 1 컵 : 80mg (134 % DV)11) 파슬리1 컵, 신선함 : 79.8mg (133 % 이상)12) 파인애플1 컵, 신선함 : 78.9 mg (131 % 이상)13) 브뤼셀 콩나물생 1 컵 : 74.8mg (125 % DV)14) 포도1 컵 : 71.8mg (120 % DV)15) 완두콩생 1 컵 : 58mg (97 % DV)16) 콜리 플라워다진 생 1 컵 : 46.4mg (77 % DV 이상)17) 망고1 컵 : 45.7mg (76 % DV)
Q. 성인남자가 하루에 물을 얼마나 마셔야 도움이될까요?
안녕하세요. 강형봉 영양전문가입니다.세계보건기구의 하루 물 섭취 권장량은 1.5에서 2리터입니다. 이런 물컵(200미리 잔 들고)으로 약 8잔에서 10잔 가량의 물인데요.우리 신체의 60%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물인 만큼 적당한 양의 물은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하지만 사람 마다 마시는 물의 량은 차이가 많답니다.자신에게 맞는 하루 물 섭취량 계산 방법은 '자신의 체중 X 0.03(L)'입니다. 따라서 체중이 적게 나가거나 많이 나가는 경우, 또는 체격이 작은 어린이들은 마셔야 하는 물의 양이 다르겠죠? 예를 들어 40kg이라면, 40X0.03으로 1.2L를 마셔야 해요. 50kg인 사람은 1.5L, 70kg인 사람은 2.1L, 90kg인 사람은 2.7L가 하루 물 섭취 권장량입니다. 다만, 날씨가 덥거나 활동량이 많아서 땀을 많이 흘린다면 그만큼 더 마셔야 하죠. 하지만! 이것도 건강한 사람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체중이 같다고 해서 동일한 양의 물을 마셔야 하는 건 아니에요. 질병이 있을 경우 물을 더 많이 마셔야 할 수도 있고 적게 마셔야 할 수도 있답니다.먼저 물을 충분히 마셔야 하는 경우는 고혈압·협심증, 염증성 비뇨기 질환, 폐렴·기관지염 등의 질병에 걸렸을 때입니다. 이와 같은 질병을 가진 경우 물을 많이 마셔야 질병의 상태가 완화되거나 혹은 더 악화되는 것을 막아줍니다. 반대로 물을 적게 마셔야 하는 사람은 간경화, 갑상선기능저하증, 신부전증 등의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입니다. 이와 같은 질병을 가진 경우 물을 많이 마실 경우 질병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하루에 물을 얼마나 얼마나 마셔야 하는지, 계산해 보시고요. 체중마다, 사람마다 달라질 수 있는 하루 물 섭취량에 대해 알고 지내면 좋습니다.
식습관·식이요법
Q. 보디빌더나헬스운동하는사람들이먹는단백질은어떤영양소가들어있나요?
안녕하세요. 강형봉 영양전문가입니다.음식 중에 열량을 주는 3대 영양소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입니다.탄수화물은 1g당 4kcal의 열량을 주고요. 단백질도 1g당 4kcal 열랑을 우리 몸에 공급하지요. 지방은 1g당 9kcal 열량을 냅니다.운동선수들이 단백질을 보충하는 이유는 근육량을 키우는데 필수적인 단백질 공급을 위해 섭취하곤 하지요.하지만 단백질을 과다하게 섭취한 경우 간 기능 상실, 신장 장애, 통풍 유발 등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가 요구됩니다.3대 영양소 중 하루 단백질 섭취 칼로리는 7~20%가 적당합니다.
Q. 닭가슴살만 먹으면 문제가 될까요?
안녕하세요. 강형봉 영양전문가입니다.우리 몸이 필요로 하는 하루 열량의 영양소 섭취 비율은 대략 탄수화물 55~65%, 단백질 7~20%, 지질 15~30% 정도 이고비타민류, 각종 미네랄 성분이 필요하며 그리고 필수 영양소는 섭취해야 합니다.전체 섭취 칼로리 중 탄수화물이 절반 정도 되도록 식단을 편성하는 것이 건강유지에 매우 좋습니다.다이어트 하더라도 식단은 위 영양소(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율 대로 식단을 구성하여 섭취하되 체중을 줄일 목적 이라면 하루 필요 열량보다는 적게 섭취하고 기초대사량 보다는 약간 많게 섭취한다면 체중을 줄일 수 있습니다.닭가슴살 영양성분은 100g당 열량은 109kcal, 탄수화물 0kcal, 단백질 22.98g, 지방1.23g, 나트륨 65mg, 콜레스테롤 58mg, 칼슘254mg 이 함유되어 있습니다.닭가슴살로 식사를 대체한다면 섭취 칼로리 중 단백질로 섭취되는 열량은 약 84%가 됩니다.하루 단백질 섭취비율 7~20%에 비해 너무 높습니다.단박질을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간 기능 저하, 신장 장해, 통풍 유발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위 섭취 비율을 준수 하는 것이 건강 유지에 좋습니다.
Q. 곤약은 어떤 성분이길래 다이어트식으로 애용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강형봉 영양전문가입니다.곤약은 곤약나무 열매로 만든 젤리의 일종입니다. 곤약은 젤라틴 같은 질감을 가지고 있으며 저칼로리, 저탄수화물, 고섬유질 식품으로 유통되어 식자재 원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곤약을 섞어서 곤약국수, 곤약칼국수, 곤약밥 등을 만들어 카로리를 낮추기때문에 다이어트식품으로 인기가 있답니다.
식습관·식이요법
Q. 어떠한 종류의 당성분이 몸에 더 안좋은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형봉 영양전문가입니다.당을 결합된 수에따라 분류 한다면 단당류와 이당류로 분류할 수 있는데 단당류는 산, 알카리, 효소 등으로 가수분해 되지않는 당으로 포도당, 유당, 과당 등이 있습니다.이당류는 2개의 당이 결합된 형태로 맥아당, 서당, 젖당이 있습니다.몸에는 단당류까지 분해된 단당류(단순당)을 이용하기 때문에 단순당이 많은 설탕, 꿀, 과당 등이 혈당수치를 높이고 에너지로 소모하지만 더 많은 양이 보급되면 체지방으로 축적되어 비만의 원인이 되게 만듭니다.우리 몸에서 단순당은 중요합니다. 꼭 필요하고요 하지만 과잉 섭취는 하지 말라는 이유이지 안좋은 것은 아나라는 얘기 입니다.
식습관·식이요법
Q. 생강가루의 효능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형봉 영양전문가입니다.생강에 대한 효능에 대해 소개합니다.생강의 건강학적 효과비타민 C, 마그네슘, 칼륨, 구리 및 망간의 좋은 공급원인 생강은 위장내 가스 배출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구풍(驅風) 효과를 가진 약초입니다. 또한 진경제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위장관을 완화하고 진정시킵니다.생강은 배탈을 진정시키고, 구토, 가스 및 설사를 완화에 효과가 있으며 메스꺼움을 우선적으로 예방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뜨거운 생강차는 진저롤과 프로테아제 성분을 방출하여 심혈관 순환을 실제로 증가시키며 편안한 온기가 체 내에 빠르게 돌도록 돕습니다.많은 연구들은 생강이 진통 효과가 있으며 메스꺼움과 구토를 완화하는 메커니즘이 타액의 흐름을 자극하는 능력과 관련있다라는 사실을 입증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임산부의 입덧(아주 작은 양이 필요한 매우 안전한 방법) 및 멀미(일반 의약품인 드라마민보다 더 뛰어난 효과가 있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생강은 어지러움, 메스꺼움, 그리고 구토 및 식은땀 등 화학 요법과 관련된 부작용을 줄입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생강은 골관점염 틍증과 난소암, 대장암, 폐암, 유방암 등 여러 암 등을 예방하는 것으로 보여진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생강에 대한 연구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와 관련된 문제(위병증의 주요 원인)가 대두되면서 무릎 또는 엉덩이 골관절염 치료 요법으로 340mg의 생강 추출물과 디클로페낙(일반 처방약)을 비교하는 무작위 배정, 대조 임상시험이 실시되었습니다. 43명이 환자 중에 절반은 생강 추출물을 받고 나머지 절반은 디클로페낙 100mg을 4주 동안 매일 받았다고 합니다(글루코사민 1,000mg을 동시에 복용함). 실험을 마친 후 각 치료군에 대해 위장관 통증, 소화불량 및 식도 점막 수준을 평가했는 데 결과는 다음과 같았습니다.생강 추출물을 섭취한 환자들은 점액 수치가 높았으며 소화불량 통증이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디클로페낙 그룹은 소화불량 통증이 증가했으며 위장 점막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또한 연구 결과 생강이 유방암 치료제에 유망한 후보자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으며, 또 다른 연구에서 생강 뿌리에서 추출된 화합물은 대장암 세포에 독성 반응을 나타냈으며 과학자들은 대장암 예방에 유용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리기도 했습니다.생강은 폐암 세포주의 증식을 중화하고 억제한다는 사실이 있으며 이는 폐암에 대한 잠재적인 화학적 예방 효과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