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가 말끝마다 미운소리를 해서 너무 화나네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먼저 아이가 언제 그런 말투를 사용하는지를 유심히 살펴보는것이필요합니다피곤할 때인지, 무언가 통제당하고있다고 느낄 때인지, 혹은 누군가와의 관계에서 억울함이나 불만을 느낀 직후인지 등의 상황적 맥락을 파악해보면 그 행동의 원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빈다 이 후에는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조금 더 건강한 방식으로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서 아이가 짜증을 낼 때 즉각 반응하지 말고 감정을 가라앉힐 시간을주거나 나중에 차분해졌을 때 왜 그런 말투를 썼는지 야길 나눌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야합니다 이때 훈계보다는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그런 말투가 듣는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려주는 방식으로 접근하는것이 효과적입니다
Q. 아이가 자꾸 친구에게 돈을 빌려준데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먼저 아이가 왜 돈을 빌려줬는지에 대해 꾸짖기보다는 구체적으로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떤 상황에서 얼마나 빌려줬는지, 친구가 어떻게 요청했는지, 그 돈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천천히 물어보며 이야기를 들어야합니다이후에는 아이에게 돈의 개념과 가치, 그리고 친구관계에서 지켜야할 경계에 대해 설명해주는 과정이필요합니다돈은 단순한 호의의 도구가 아니며, 타인과의 관계에서 주고받는 방식으로 사용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을 이해시켜야합니다특히 돈을 빌려주는것은 어른들 사이에서도 신중해야하는 일이며, 친구관계에서는 하지않은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설명하면 더 효과적입니다
Q. 언어능력이 뛰어난 39개월 남아 입니다 어린이집에서 친구가 때린다고 계속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는데 어떻게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먼저 아이가 표현한 내용을 자세히 들어주는 것이우선이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상상과 현실을 혼합해 말할 수도 있지만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진술이 이싸면 무시해서는 안됩니다 친구가 누구인지, 어떤상황에서 때리는지, 얼마나 자주 그런일이 일어나는지, 선생님이 개입했는지 등의 구체적인 내용을 차분히 물어보고 정리해보는 것이 좋습니다이때 아이를 다그치거나 몰아붙이지 않고 감정을 안전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다음에는 어린이집 선생님과 직접 소통해야합니다 아이의 진술내용을 그대로 전달하고 실제로 어떤 일이 있었는지, 교실에서 아이들의 상호작용이 어떤지, 교사 입장에서 본 상황은 어떤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이때 문제를 따지기보다는 협력적인 태도로 접근해, 아이가 안전하게 지낼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자는입장을 분명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초등학교 1학년 수학은 어떻게 시작하는 게 좋나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가장 중요하 것은 수의 감각을 키우는 일이빈다 수를 단순히 읽고 쓰는 것을 넘어서 수의 크기나 양을 감각적으로 느끼고 비교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 생활속에서 물건을 세어보거나 숫자를 활용해 놀이를 하거나 간단한 덧셈과 뺄셈 상황을 함께 경험하는 것이 좋은 출발점이 됩니다예를 들어서 마트에서 물건을 몇개 샀는지 세어보거나 간식을 나누는 과정에서 수 개념을 활용하는 식입니다또한, 도형이나 공간 감각을 익히는 데 도움이되는 놀이도 적극활용할 수 있습니다블록 쌓기 , 포즐맞추기, 종이접기,그림 그리기 등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공간을 인식하고 도형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