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접종하는곳은 거의 근육에 접종하는지 궁금해요!
예방접종은 피하주사 혹은 근육주사로 주사하게 되는데요 영아의 경우 대퇴부 주사를 하고 소아나 성인의 경우 삼각근 부위에 주사를 하게 됩니다. 말씀 주신 팔, 허벅지, 엉덩이, 종아리 등 우리 몸의 대부분은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근육을 통해 신체를 움직일 수 있게 됩니다. 근육주사를 할 때에는 근육이 충분히 발달하고 흡수가 빠른 부위가 주사가 적절한데요. 이러한 부위는 흔히 주사를 맞는 부위인 엉덩이나 위쪽 팔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돌 미만의 아이의 경우에는 엉덩이 근육이 잘 발달하지 않아 다른 부위에 근육주사를 맞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Q. 머리가 이유 없이 아플 때가 있는 데 왜 그런 것 일까요?
두통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그 중 가장 흔한 두통의 종류는 긴장성 두통으로 머리 주위, 목, 어깨 근육의 뭉침으로 인한 수축이 주변 근육을 자극하여 두통으로 이어지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 피로한 경우 두통이 악화될 수 있으며 두통이 심할 시 타이레놀 등의 진통제를 복용하고 평소 목과 어깨의 마사지나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흔한 두통은 편두통으로 주로 양쪽 머리가 아파오며 빛, 소리 등과 같은 약화요인이 있으며 두통 전 전조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 급성기 약과 예방약을 복용하여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 의사의 면밀한 진료와 상담 후 처방이 필요합니다. 두통이 너무 심하시다면 위의 원인 외에도 뇌혈관 질환이나 또 다른 질환들을 의심해 볼 수도 있으며 만약 머리가 깨질듯이 아프거나 발열이 동반되는 등의 기타 증상이 있다면 지체 없이 병원에 내원하여 진료받아보시기를 권유드립니다. 감사합니다.
Q. 의사도 전부 수술이가능한건아닌가요?
말씀하신 개원의와 박사과정, 수술이 가능한 전문의, 이 세 영역 모두 전혀 다른 경로를 통해 가게 되는 진로이기 때문에 통틀어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보통 심장혈관흉부외과나, 외과, 신경외과, 정형외과 등의 수술과 전문의가 되기 위해서는 보건복지부에서 인증한 수련병원에서 정해진 기간 동안 (3-4년) 수련을 받고 전문의 시험을 통과해야 흉부외과 전문의, 외과 전문의 등의 전문의 자격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난이도가 높은 수술은 더 긴 러닝커브가 필요한 경우가 많아 이를 위해서 대학병원에 남아 전임의(펠로우) 과정을 거쳐 수술에 대한 수련을 받기도 합니다. 보통 이러한 과정을 거친 경우 그리고 충분히 숙련된 경우 말씀드린 고난도의 수술을 집도할 수 있게 되는데요. 이러한 수술을 할 수 있는 대학병원 교수님들도 드물게 퇴사를 하시고 개원을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모든 개원의들이 고난도의 수술을 하지 못하거나 수술을 하라고 하여도 못한다는 말은 모든 개원의에게 해당되지는 않습니다.또한 박사과정은 위에서 말씀드린 전문의 과정과는 전혀 다른 경로로 의학을 전공으로 대학원을 나와 석사, 박사과정을 수려해야 의학 박사 학위를 받게 됩니다. 대부분의 대학병원 교수님들은 박사학위를 갖고 있으시지만 박사학위과정과 위의 전문의 과정은 전혀 다른 과정이기 때문에 별개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결론적으로 모든 의사들이 수술을 능숙하게 하는 것은 아니며 대부분의 수술과 전문의들은 충분한 수술 경험을 가지고 있지만 말씀주신 고난도의 수술은 숙련된 일부 전문의들이 가능한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이는 개원의인지, 교수인지의 여부와 100% 일치하여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며 박사학위도 마찬가지 이유로 100% 관련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