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박재화 전문가
AMES Micron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재료공학
2024년 7월 23일 작성 됨
Q.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위한 중요한 요소들에는 무엇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고체 배터리의 핵심적인 부분 중 하나는 고체전해질 입니다. 기존의 액체 전해질을 대신하여 고체전해질을 적용함으로써, 배터리 전체를 고체로 만들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배터리의 안전성 확보가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전기·전자
2024년 7월 23일 작성 됨
Q.
전기로만 돌아가는 세상이 올까요??
안녕하세요. 현재 대부분의 사회시설들은 전기가 핵심적으로 사용되어 운영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많은 분야들이 전기를 활용하는 형태로 변환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전기차의 등장 또한, 기존 내연기관에서 전기를 사용하는 형태로 변환되는 예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세상이 변해감에 따라, 미래에는 전기의 공급 단절 등을 해결할 만한 수단도 같이 개발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전기·전자
2024년 7월 23일 작성 됨
Q.
전기가 흐르면 열이 발생되는건 전기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전기가 흐를때는 흐르는 도체에 저항이 있기 마련입니다. 초전도체의 경우는 저항이 없겠지만, 도체의 저항은 열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며, 전기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4년 7월 23일 작성 됨
Q.
핸드폰을 머리 맡에 두고 잠을 자면 전자파로 인체에 해롭다고 하는데 정말인가요?
안녕하세요. 해당 문제에 대하여 머리 가까이 두고 자는 것에 대한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확실하게 규명된 바는 없는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자파 노출을 최소화 하는 것이 드러나지 않았을지 모르는 위험요소에 대한 예방 조치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전기·전자
2024년 7월 23일 작성 됨
Q.
전선에서 생긴 발열 온도가 얼마까지 괜찮은건가요?
안녕하세요. 결론적으로 TFR CV 전선의 경우 70도 까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로 보고되고 있고, VCTF 전선의 경우는 90도 까지 허용된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처럼 발열이 발생한다는 것은 전선에 과부하가 발생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사용하는 전자기기와 전선의 전류 용량을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전기·전자
2024년 7월 23일 작성 됨
Q.
두꺼비집을 살펴보는데 선간전압에 대한 감전을 방지할 수 없다고 적혀있던데 이것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선간전압이라는 것은 두 활성 도체사이의 전압을 의미합니다. 보통의 누전차단기는 접지와 관련된 누설 전류를 감지하게끔 되어있고, 선간전압으로 인한 감전 사고는 누전차단기로는 방지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혹시 전기 작업이 진행될때는 주의와 적절한 안전보호장비를 착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재료공학
2024년 7월 22일 작성 됨
Q.
자석은 어떻게 만드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자석은 자연에서도 발견되나, 우리가 사용하는 자석들은 주로 인위적으로 만듭니다. 자석은 크게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영구자석과 전자석으로 구분됩니다. 영구 자석의 경우 금속 내 자기장을 걸어주어 만들어 지게되며, 전자석의 경우, 전류가 흘렀을 때, 강력한 자기장을 형성하고, 전류가 끊기면 자성이 사라지는 특징을 가진 자석입니다.
전기·전자
2024년 7월 22일 작성 됨
Q.
우리나라가 220v 전압을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우리나라는 초기 110V를 사용해 왔으나, 전기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전압을 승압시켜, 배전선에서의 전력손실을 줄였습니다.
전기·전자
2024년 7월 22일 작성 됨
Q.
최근에 인기 있는 신기술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인공지능 및 러신머닝 기술이 상당히 신기하고 인기있는 신기술인 것 같습니다. 최근 매우 인기있는 분야이며, 쳇GPT나 헬스케어, 자율주행차 등 다양한 곳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재료공학
2024년 7월 22일 작성 됨
Q.
철은 왜 BCC구조인가요?(상온에서)
안녕하세요. FCC와 HCP의 경우 원자충진율이 0.78로 가장 조밀한 구조이나 BCC의 경우 0.68로 FCC와 HCP에 비해 원자충진율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철의 고유한 성질로, 철의 물리적 성질, 열역학적 안정성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471
472
473
474
4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