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유병자 간편보험 가입시, 건강검진이 의심소견이 있다면, 무슨날을 기준으로 가지나요? 검사일? 판정일? 통보일?
안녕하세요. 권태민 보험전문가입니다.보험 가입 시 고지 의무는 보험 계약 전 보험사가 계약의 위험성을 평가하고 보험 인수 여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검사일, 판정일, 통보일 중 어느 기준으로 해당 사항을 알려야 하는지는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고지 의무의 기준일반적으로 보험 가입 시 고지해야 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판정일 (진단일):의사가 질병에 대해 최종적으로 진단을 내린 날짜를 기준으로 고지해야 합니다.이는 검사 결과에 대한 의사의 종합적인 판단이 이루어진 날짜를 의미합니다.따라서 검사일이나 단순 통보일보다는 판정일을 기준으로 고지하는 것이 원칙입니다.각 날짜별 의미 및 고려사항검사일:검사를 받은 날짜는 단순한 검사 행위일 뿐, 질병의 확정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없습니다.하지만 검사 결과에 따라 추가 검사나 정밀 검사가 필요한 경우, 해당 사실도 함께 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판정일 (진단일):의사가 질병에 대해 최종적으로 진단을 내린 날짜로, 고지 의무의 가장 중요한 기준입니다.진단서나 진료 기록 등에 명시된 날짜를 기준으로 고지해야 합니다.통보일:검사 결과를 환자에게 통보한 날짜는 환자가 질병을 인지한 시점을 의미합니다.하지만 통보일은 판정일과 다를 수 있으므로, 판정일을 기준으로 고지해야 합니다.건강검진 결과지를 통보, 수령전까지는 질병의심소견으로 볼 만한 근거가 없다는 것입니다. 다만, 검진시 용종 제거등을 했다면 수술에 해당합니다.고지 시 유의사항사실대로 고지: 과거 병력, 검사 결과, 진단 내용 등을 사실대로 고지해야 합니다.상세히 고지: 질병의 종류, 발병 시기, 치료 내용 등을 상세히 고지해야 합니다.보험사에 문의: 고지 대상 여부가 불분명한 경우, 보험사에 문의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고지 의무 위반 시 불이익보험 계약 해지: 보험사는 고지 의무 위반을 이유로 보험 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보험금 지급 거절: 보험사는 고지 의무 위반과 사고 발생 간의 인과관계가 있는 경우 보험금 지급을 거절할 수 있습니다.보험료 할증: 고지 내용에 따라 보험료가 할증될 수 있습니다.따라서 보험 가입 시에는 판정일(진단일)을 기준으로 해당 사항을 고지하는 것이 원칙이며, 필요한 경우 검사일이나 통보일도 함께 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