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김경렬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3년 4월 22일 작성 됨
Q.
컴퓨터 모니터의 경우 어떤 원리로 화면을 나타낼 수 있는거죠?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요즘 가장 많이 사용하는 LCD 모니터로 답변드리겠읍나다.모니터 뒤쪽에 있는 백라이트에서 빛이 나오면 이 빛은 액정패널을 지나가게 되는데 액정의 소자들은 전압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이렇게 전압에 따라 다르게 나온 빛은 화면을 구성하고 컬러필터와 편광필터를 지나가면서 색과 빛을 띄게 됩니다. 이런 빛들이 모여져서 우리가 보는 화면을 구성합니다.
화학
2023년 4월 22일 작성 됨
Q.
소똥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소똥을 말리면 같은 무게의 코크스를 이용할 때보다 열량이 35%가량 높은 부생가스를 확보할 수 있고,말린 소똥을 미분탄(석탄가루)과 섞어서 쓰면 연소 효율이 최고 30%포인트 개선됩니다.소똥을 원료로 쓰면 소똥을 오수로 내보내는 것에 비해 환경오염을 덜 수 있고 수입 원료를 대체해 원가 경쟁력을 높이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화학
2023년 4월 22일 작성 됨
Q.
옛날에 오줌을 모아가곤했던것이 생각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농경사회에서 농작물의 비료로서는 물론 가죽을 무두질할 때, 옷을 세탁할 때나 화약을 만들 때도 소변은 요긴하게 사용되었다. 하지만 현대적인 중앙 집중식 하수관리 시스템이 등장한 이후로 소변의 사용은 사라졌읍니다.
생물·생명
2023년 4월 22일 작성 됨
Q.
소나무는 왜 불에 잘 타는지 과학적 근거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소나무와 같은 침엽수 단순림은 산림연료의 수분함량이 낮고 송진과 같은 정유성분이 풍부하기 때문에 산불에 상대적으로 취약해 산불 발생의 위험이 높다고 합니다.
화학
2023년 4월 22일 작성 됨
Q.
액화질소는 어떤 물질이고 어디에 쓰이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거의 모든 물질들이 압력에 따라서 끓는점이나 녹는점이 달라집니다.질소의 경우, 끓는점이 -196℃로 상온에서는 원래 기체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196℃로 질소를 냉각시켜서 고압을 견딜 수 있는 용기에 담아두게 되면 질소가 액체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게 되는거죠. 이것이 액화질소입니다.식품공업 및 산업분야의 냉각제, 냉동제와 급속냉동분쇄 및 냉매로 사용합니다.초전도체에 대한 연구 이외에 다양한 특성을 지닌 첨단 소재의 개발에 널리 이용되고 있고불연성이므로 소화기로 활용 하고 있읍니다.질소가 손에 닿을 경우 순식간에 동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밀폐된 공간에서 작업하실 경우 산소 농도가 낮아져 질식의 위험이 있습니다.
토목공학
2023년 4월 22일 작성 됨
Q.
해저터널은 어떠한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건설되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해저에 만드는 터널은 TBM 기계를 이용해서 천공을 하고 발생하는 잔재물(암석, 흙 등)은 바깥으로 반축시키고 미리 제작한 커다란 콘크리트 원형 파이프를 끼워 넣어 설치합니다.그 속에 기본적인 배수시설, 관리용도로, 전기시설을 설치하는 공간 들을 미리 만들어서 조립을 하고 후에 마감공사를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4월 22일 작성 됨
Q.
태풍은 왜 비구름을 동반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북태평양 서부에서 발생하는 열대 저기압 중에서 중심 부근의 최대 풍속이 17m/s 이상으로 강한 폭풍우를 동반하는 것을 말합니다.태풍은 적도 부근이 극지방보다 태양열을 더 많이 받기 때문에 생기는 열적 불균형을 없애기 위해, 저위도 지방의 따뜻한 공기가 바다로부터 수증기를 공급받으면서 강한 바람과 많은 비를 동반하며 고위도로 이동하는 기상 현상 중의 하나입니다.적도인근 해상의 공기는 고온다습하고 불안정합니다.. 이에 따라 기압이 주변보다 약한 곳이 생기면 인근의 공기가 몰려들어 상승하면서 자그만한 소용돌이를 이루며 적란운을 만듭니다. 때에 따라 적란운이 비를 뿌리는 스콜이 발생합니다.이같은 소용돌이가 북동무역풍의 영향으로 한 곳에 모여 세력이 커지면 태풍의 씨앗이 됩니다.태풍은 바닷물이 26도를 넘겨 증발하면서 모이게 된 커다란 비구름이 회전력을 얻으면서 만들어집니다. 아울러 바닷물 온도가 지구 온난화로 높아지면서 더 많은 수증기가 공급되고, 태풍의 위력도 그만큼 커져 슈퍼태풍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화학
2023년 4월 22일 작성 됨
Q.
비가오는날에도 식물은 광합성을 하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광합성에 필요한 요소① 빛에너지:태양의 빛에너지를 엽록소가 흡수② 물:뿌리에서 흡수되어 물관을 통해 잎에 공급③ 이산화탄소:잎의 기공을 통해 공기 중에서 흡수비오는 날 빛에너지가 없어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4월 22일 작성 됨
Q.
바다에 사는 물고기를 회로 먹을때는 왜 짠맛이 나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살아 있는 생선은 견고한 피부 보호막이 있기 때문에 바닷물이 몸속으로 스며 들지않습니다.
화학
2023년 4월 22일 작성 됨
Q.
겨울에 미끄럼틀을 타게되면 왜 정전기가 더 심하게 발생하는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정전기는 전하가 생겨서 방전을 못하니까 정전기가 되는겁니다. 특히 겨울에는 습도가 없으므로 대기중 수분이 높은 여름철에 비해 정전기가 많이 발생합니다공기중 수분이 있어야 수분으로 전하가 흘러가서 정전기가 안 생기는 겁니다. 가습기를 틀어놓으면 생기지 않습니다.
126
127
128
129
1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