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김경렬 전문가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블록 체인의 원리에 대하여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블록체인(blockchain)은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데이터 위변조 방지 기술입니다.P2P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소규모 데이터들이 체인 형태로 무수히 연결되어 형성된 '블록'이라는 분산 데이터 저장 환경에 관리 대상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누구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게끔 만드는 기술입니다.블록에는 해당 블록이 발견되기 이전에 사용자들에게 전파되었던 모든 거래 내역이 기록되어 있고, 이것은 P2P 방식으로 모든 사용자에게 똑같이 전송되므로 거래 내역을 임의로 수정하거나 누락시킬 수 없읍니다. 블록은 발견된 날짜와 이전 블록에 대한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블록들의 집합을 블록체인이라 칭한다. 쉽게 말하자면 수많은 기록을 그냥 한 묶음으로 만들어 버리는 기술입니다.기존에 전자화폐로 거래할 때 중앙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는 것과는 달리, 블록체인은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기록을 보여주며 서로 비교해 위조를 막습니다. 즉 계산하고 보상 받는 형식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 중앙에 있는 내핵은 무엇인지 궁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내핵의 존재는 1936년 레만(Lehman)에 의해서 밝혀졌으며, 외핵과 내핵의 경계에서 P파의속도는 10.3km/s에서 11km/s로 급격히 증가합니다.이와 같은 속도 증가는 내핵을 구성하는 물질의 강성률의 증가를 의미하며, 따라서 내핵은 액체가 아니라 고체로 추정됩니다.지구 심부의 물질을 추정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은 운석의 성분입니다.지구의 내핵은 밀도가 커서, 철, 니켈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철질운석(鐵質隕石)과 유사한 물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됩니다.핵은 지구 전체 부피의 16% 정도이며, 질량으로는 31%를 차지한다. 내핵의 밀도는 12.6 ~ 13.0g/cm3입니다.내핵은 지구 자전과 지진 발생에 영향을 주며, 지구의 자기장을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SSD 저장 방식에 대한 궁금증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가장 먼저 사용된 SLC(Single Level Cell) 방식은 한 셀당 1bit를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수명도 가장 길고 속도도 가장 빠르며 안전성과 신뢰도가 높은데,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용 제품은 거의 단종된 상태이며 서버 시장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MLC(Multi Level Cell) 방식은 한 셀당 2bit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SLC에 비해 2배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지만, 쓰기 수명이 SLC의 1/10입니다. MLC 방식이 처음 나왔던 초기에는 수명에 대한 우려가 많았지만 현재 MLC 방식의 SSD 제품은 고급에 속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TLC(Tripple Level Cell) 방식은 한 셀당 3bit를 저장하는 것으로 SLC보다는 3배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지만 역시나 쓰기 수명은 MLC의 1/10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하지만 최근에는 수명 문제를 개선한 3D V-NAND 메모리가 개발되면서 다양한 SSD 제품에서 TLC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를 볼 수 있으며 고급 제품도 TLC 방식을 사용하는 추세입니다.QLC(Quad Level Cell) 방식은 한 셀당 4bit를 저장하는 것인데, 앞서와 마찬가지로 수명이 TLC의 1/10이라는 단점이 있지만 최근에는 이를 보완해서 삼성이나 마이크론, 웨스턴 디지털, 씨게이트 등에서 제품이 나오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요즘 새에 관심이 있어 꿩에 대해 궁금한점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꿩의 암수구별은 눈으로도 쉽게 구별됩니다.보통 사람들이 아는 화려한 꿩이 '장끼'라고 하는 숫꿩이며수풀색을 한 수수한 꿩이 '까투리'라고 하는 암꿩입니다.그리고 까투리가 장끼보다 크기가 작습니다.타조는 날개가 있지만 날지 못하는 새 중에 하나 입니다. 지금은 멸종되었지만 도도와 모아라는 새도 날지 못하는 새였습니다. 지금은 펭귄과 에뮤라는 새들이 있지만 환경오염과 기후의 변화로 멸종위기에 있습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나침반의 N극이 북쪽을 가리키는 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에 있는 원자 혹은 분자 중에는 자성을 지닌 물질이 있습니다.이러한 물질의 주변에는 자기력이라고 하는 힘이 작용하게 되는데 자기력이 작용하는 공간을 자기장이라고 하며, 이에 기본이 되는 것은 자기력은 같은 극에서는 반발하고, 다른 극에서는 서로 끌어당긴다는 것입니다. 나침반의 N극이 북쪽을 향하는 이유는 지구가 커다란 자석이기 때문입니다.
2562572582592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