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임신성 당뇨가 얼마나 위험한 질병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임신성 당뇨느 임신 중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질환으로,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질환입니다. 하지만 철저한 관리 하에 건강한 출산이 가능합니다. 산모에게 미치는 영향으로는 거대아 출산 위험과 조산 위험이 증가하고, 고혈압 또는 임신중독증의 위험이 높아지겠습니다. 산후 감염 위험도 증가합니다. 태아에게는 출생 직후 저혈당이 발생할 수 있고 호흡곤란 증후군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신생아 황달, 저칼슘혈증, 출생 이후 비만과 당뇨 위험도 증가합니다. 당뇨가 심하지 않다면 혼자 생활하는 것이 가능하나, 혈당 조절이 중요합니다. 저혈당 위험이 있거나 합병증이 있다면 보호자가 필요하겠습니다. 식후 어지러움, 두근거림, 극심한 피로감이 있다면 가족이나 병원에 도움을 요청해야 합니다.식단 중 탄수화물을 조절하고 저당질의 식사를 하셔야 합니다. 가벼운 운동도 좋습니다. 식후 30분~1시간 정도 산책이 좋겠습니다. 혈당 수치는 공복 혈당 95mg/dL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시 인슐린 치료가 가능합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Q. 갑작스런 명치통증에 대해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갑작스러운 명치 통증의 원인으로 역류성 식도염, 위염, 위궤양 등의 위장 문제가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위산이 역류하면 가슴이 타는 듯한 속쓰림과 트림 증가 등이 나타나는데 누우면 증상이 더 악화됩니다. 상체를 살짝 올리고 자는 것이 좋습니다.심장 문제 또한 드물지만 놓치면 안 되는 원인입니다. 가슴이 답답하고 쥐어짜는 느낌으로 나타나며, 운동할 때 더 심해지거나 왼쪽 팔, 턱까지 방사통이 가능합니다. 젊은 나이에도 스트레스나 가족력이 있다면 심장 검진이 필요합니다. 특정 자세에서 통증이 심해진다면 횡격막이나 신경통 가능성이 있습니다. 근육 긴장이나 잘못된 수면 자세 때문일 수 있습니다. 위장문제의 가능성이 높다면 식후 2-3시간 이내에 눕지 않고 카페인이나 알코올, 기름진 음식 등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도록 합니다. 심장 문제 의심시 즉시 병원에 방문해야 하며 가족력이 있거나 고혈압, 고지혈증이 있다면 심장 검진이 필수적입니다. 3일 이상 지속되거나 점점 심해지는 통증이라면 내과에 방문해 진료받아보시기 바랍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