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화폐를 쓰기 시작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반도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이미 화폐를 사용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화폐는 중국의 화폐에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삼국시대에는 가뭄이나 홍수 등의 자연 재해로 농작물 생산이 줄어들면서 급작스럽게 물가가 상승하는 경우가 있었고, 그에 따라 물물교환을 통한 거래만으로는 불편함이 커졌습니다. 이에 따라 첫 번째 화폐인 '동백꽃 동전'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이 화폐는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지금의 동전과 비슷한 형태를 갖추고 있습니다.이후 고려시대에는 천연자원이 부족하여 철, 대나무, 나무 등을 이용하여 화폐를 만들었으며, 조선시대에는 도자기, 천, 종이 등 다양한 자원을 이용하여 화폐를 발행하였습니다.
Q. 우리나라는 섬이 총몇개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반도 주변에는 수많은 작은 크기의 섬들이 존재합니다. 이 중 몇몇 섬들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미개발 지역이나 관광지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섬의 개수는 지역, 기준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약 3,000여개 정도가 있다고 합니다.하지만 인구가 거주하는 섬은 그 수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대표적으로는 제주도, 강화도, 거제도, 울릉도, 독도 등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인구가 거주하는 섬은 제주도입니다. 인구가 거주하는 섬의 수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며, 인구이동 등에 따라 섬의 인구 현황도 변화합니다.무인도는 인간의 영향이 거의 없는 자연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섬을 말합니다. 이러한 무인도는 대개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대한민국에는 약 1,000여 개의 무인도가 존재합니다.지속적으로 바다의 해수면 상승, 풍랑 등의 이유로 섬이 생기거나 없어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는 대개 천천히 일어나므로, 대부분의 섬들은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Q. 비트루비우스의 인간은 어떤 철학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비트루비우스의 인간은 인간의 비례와 우주적인 철학에 대한 그의 생각을 담은 작품입니다. 이 그림은 로마 시대의 건축가 비트루비우스의 책에서 발췌한 것으로, 비트루비우스는 인간의 몸을 기하학적인 도형과 비례로 설명하며 우주의 조화와 관련지었다고 합니다.이 그림에서 원은 천구, 정사각형은 지구를 상징하며, 이 두 도형을 바탕으로 인간의 모습을 그렸습니다. 인간의 팔과 다리를 각각 원과 정사각형의 대각선에 따라 위치시키면, 전신이 원과 정사각형 안에 완벽하게 들어맞게 됩니다. 이는 전신의 각 부분들이 우주의 비례와 조화를 따라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이 작품은 다빈치가 인간의 비례와 우주적인 철학에 대한 연구를 한 결과물로, 그의 미술 작품뿐만 아니라 공학, 철학, 과학 등에 대한 관심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면에서, 이 작품은 다빈치가 대학자로서의 자신을 표현한 것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Q. 윤이상 작곡가는 왜 기념관 까지 세워서 기리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윤이상 작곡가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작곡가 중 한 명입니다. 그의 음악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매우 인기가 있으며, 특히 그의 대표작인 '아리랑'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민요로 자리잡고 있습니다.윤이상 작곡가는 1915년에 충청북도 청주에서 태어났으며, 1946년에 '아리랑'을 비롯한 여러 곡을 작곡하면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작곡가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그의 음악은 조용하고 아름다운 선율과 우리 민족의 정서를 담은 가사로 인해 대중들에게 매우 사랑받았으며, 특히 '아리랑'은 한국 전역에서 사랑받는 민요 중 하나로 자리잡았습니다.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통영시에서는 윤이상 작곡가 기념관을 세워 그의 작품과 생애를 기리고 있습니다. 또한 매년 통영 국제음악제에서는 윤이상 작곡가의 음악을 공연하면서 그의 업적을 다시금 되새기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