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고려시대의 불교종파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전기오교구산 (五敎九山)통일신라시대 및 고려 전기 불교종파의 총칭. 5교는 삼국에서 통일신라시대에 걸쳐 불교가 한창 성했을 때 경교(經敎)를 공부하는 종파가 5개로 나누어진 것이며, 9산은 통일신라시대 승려들이 중국에 가서 달마선법(達磨禪法)을 받아 와서 종풍(宗風)을 일으킨 것이다. 5교는 교학을 바탕으로 한 교종의 5종파이며, 보덕(普德)의 열반종(涅槃宗), 자장(慈藏)의 계율종(戒律宗), 진표(眞表)의 법상종(法相宗), 원효(元嶢)의 법성종(法性宗), 의상(義湘)의 화엄종(華嚴宗)이다. 9산은 선종(禪宗)에 속하는 9개의 사찰을 의미하며, 홍척(洪陟)이 남원(南原) 실상사에서 개산한 실상산문(實相山門), 도의(道儀)를 종조로 장흥(長興) 보림사(寶林寺)에서 개산한 가지산문(迦智山門), 범일(梵日)이 강릉(江陵) 굴산사에서 개산한 사굴산문, 혜철(惠哲)이 곡성(谷城) 태안사(泰安寺)에서 개산한 동리산문(桐裏山門), 무염(無染)이 보령(保寧) 성주사에서 개산한 성주산문(聖住山門), 도윤(道允)이 화순(和順) 쌍봉사(雙峰寺)에서 개산한 사자산문(師子山門), 도헌(道憲)이 문경(聞慶) 봉암사(鳳巖寺)에서 개산한 희양산문(曦陽山門), 현욱(玄昱)이 창원(昌原) 봉림사에서 개산한 봉림산문(鳳林山門), 이엄(利嚴)이 해주(海州) 광조사(廣照寺)에서 개산한 수미산문(須彌山門)이다. 고려중후기오교양종(五敎兩宗)오교는 에는법상종(法相宗),계율종(戒律宗),열반종(涅槃宗),법성종(法性宗),원융종(圓融宗)으로 되어 있으며,에는자은종(慈恩宗),총남종(摠南宗),시흥종(始興宗),중도종(中道宗),화엄종(華嚴宗)으로 되어 있으며, 대각국사묘지명>과 에 나타난 종조(宗祖)는법상종과 자은종은 진표(眞表, 8세기),계율종과 총남종은 자장(慈藏, 7세기),열반종과 시흥종은 보덕(普德, 7세기),법상종과 중도종은 원효(元曉, 617~686),원융종과 화엄종은 의상(義湘, 625~702)로 되어 있다.양종(兩宗)은천태종(天台宗)[대각국사 의천이 화엄종과 선종을 천태교관에 입각 통합한 것],조계종(曹溪宗)[천태종과 통하지 않은 선종의 구산선문이 통합한 것]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