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동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전문가입니다.

김동연 전문가
보가9 그래픽 디자인 및 영상 편집 총괄
역사
역사 이미지
Q.  요구르트는 튀르키예 언어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가 먹은 유산균 발효유의 바른 표기는 요구르트입니다. 영어로는 yogurt, yoghurt 또는yoghourt 라고 쓰고 "요거트"라고 발음하죠.그런데 일본에 있는 야쿠루토(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라는 회사에서 자신들이 만드는 요구르트의이름을 짓기 위해 고심하다가 야쿠르트라는 새로운 말을 만들어 냈습니다."야쿠르트(Yakult)"라는 말은 요구르트를 뜻하는 에스페란토어인 '야후르토(Jahurto)"를 발음하기 쉽게변형시켜 새롭게 지어낸 말입니다.이 일본 야쿠루토사와 한국이 합작하여 '한국야쿠르트유업'이라는 회사를 만들어 유산균 발효유를 생산하면서 '야쿠르트'라는 상표를 그대로 사용하게 되는데,사실 이전까지 우리나라에는 유산균 발효유의 보급이 없었기 때문에 '야쿠르트'라는 상표명을 요구르트제품의 일반 명칭으로 잘못 인식하게 된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최초의 라이터는 언제 만들어졌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라이터가 성냥보다 먼저 발명된 이유는 총기 발달의 역사와 그 맥을 같이 합니다. 라이터는 화승총의 발사 원리를 응용해서 만들었기 때문에 화승총이 만들어진 16세기에 나올 수 있었습니다.​반면에 19세기에 발명된 성냥은 작은 나무막대기 끝에 화학물질 - 대표적인 물질이 인(phosphorus)-을 발라야하는데 인이란 물질을 사용하는 기술의 발달이 화승총의 발달보다 상대적으로 늦어서 성냥이 라이터보다 늦게 나온 것입니다​인'은 대단히 위험하고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어서 그 것을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는 기술이 19세기 말이 되어도 해결하지 못해서 그 발전이 지지부지했습니다만 그래도 이래 저래 사용은 해왔으며 서부영화에서 부츠나 벽에 성냥을 그어 담배불을 붙이는 장면을 본 기억이 있을 것입니다.따지고보면 성냥제조업자들의 농간이 여기에 개입되어 있었던 것도 사실입니다.성냥공장 노동자들이 '인'으로 인해 받는 피해는 무시하고 원가절감을 위해 안전한 물질 사용을 기피한 점도 있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성냥공장 노등자들의 직업병으로 인한 피해는 심각하고 끔찍했습니다.돈에 환장한 기업가들은 어느 시대나 늘 있기 마련이니까요.​현재 사용되는 '성냥'은 20세기초가 되어서야 미국정부와 유럽 여러국가에서 성냥 생산업자들에게 압력을 가해 안전한 물질을 인대신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등장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글에 존댓말이 있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존댓말 사용은 연장자를 존중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인간의 생활이 수렵이였던 때를 생각해봅시다. 힘은 약하지만 오랜 기술과 숙련, 삶의 지혜를 아는 늙은 사람, 연장자는 한마디로 커다란 도서관과도 같았습니다. 연장자를 잃는 것은 생활을 잃는 것과 같았죠. 그래서 연장자, 나이든 사람을 따르며 배우고 또 존경한다는 의미로써 일반적인 말과 구분지어 사용했을 것입니다. 연장자에 대한 존경의 의미로써의 '존댓말'은 지금도 다르지 않습니다. 상대방이 나보다 먼저 살아간 시간에 대한 존경과 시각의 차이를 받아들이고 존중한다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우리 앞에 먼저 살았던 사람이 없다면 우린 지금 존재할 수 없습니다. 존댓말의 경우로 연장자 뿐 아니라 동등한 나이나 어린 사람에게도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는 내가 잘 알지 못하는 사람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로 보시면 됩니다. 낯설고 잘 모르는 사람이라는 말 안에는 '내가 온전히 저 사람의 능력과 됨됨이를 모른다. 저 사람의 무한한 능력과 창조력이 얼마나 잠재해 있는지 모른다' 라는 의미도 포함 된 것입니다. 그리고 나 자신도 언제나 '낯설고 잘 모르는 사람'이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구요. 존댓말은 사람이 사람을 아끼는데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사람과 사람이 서로를 아끼기 위해서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남, 북극을 정한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남극이 대체 어딜까?남극은 말 그대로 지구의 남쪽 끝이다.그런데 정확히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남극일까?얼음이나 바다 위에 금을 그어놓을수는 없는 일.남극의 범위에 대해서는 서로 약간씩 다른 세 가지의 기준이 있다.①남위 60도세계의 여러 나라들이 함께 맺은 에서는 남위 60도 남쪽 지역을"남극"이라고 부른다. 여기엔 남극 대륙과 섬들,..그리고 바다가 포함된다.대륙 한복판을 세로로 가로지르는 '그리니치 자오선(경도 0도)'을 기준으로동쪽은 동남극이고 서쪽은 서남극이다.②남극 수렴선생물학자들은 '남극 수렴선'을 기준으로 삼는다.남극 대륙 주변에는 찬 바닷물과 따뜻한 바닷물이 서로 섞이지 않은 채 따로 흐르고 있는데, 그 경계선이 바로 '남극 수렴선'이다.남극 수렴선은 남위 54~62도에 걸쳐 꾸불꾸불하게 이어지며, 이 선의 안쪽과 바깥쪽은 수온 차이가 크기 때문에 살고 있는생물들의 종류도 전혀 다르다.③남극권천문학자들은 남위 66.5도를 기준으로 그 남쪽을 '남극권'이라고 부른다.남극에서는 몇 달씩 낮이 계속되거나 밤이 계속될때가 있는데,그런 현상이 나타나는 지역과 안 나타나는 지역을 가르는 선이 바로 남위66.5도다.(북극 역시 마찬가지.북위 66.5도 위쪽이 북극권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역사적으로 조선에 호랑이가 많았던 이유?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도성 안에 호랑이가 출몰 할 정도로 호랑이가 많았다고 합니다. 조선시대에 호랑이가 많았던 이유는 조선의 건축 특성에서 찾기도 합니다. 중국이나 일본 등과 달리 조선의 궁궐은 주변이 산으로 둘러 싸여 있고, 곳곳이 계곡과 이어지는 등 자연친화적인 입지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호랑이가 머물고 이동하기에 매우 좋았던 환경 이었던 것입니다.
2562572582592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