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측우기는 누가만들었고 어떻게 강우량을 파악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장영실은 조선 세종 때의 과학자로 본관은 아산(牙山)이다. 기생의 아들로 동래현의 노비 출신이었지만 농기구, 무기등을 고치고 만드는 솜씨가 뛰어나 세종대왕의 명으로 중국에서 공부하였다. 1423년(세종 5년)에 왕의 특명으로 상의원 별좌라는 벼슬을 가지게 되면서 노비의 신분에서 벗어나 궁중 기술자로 활동하였다. 그 후 행사직이 되고 1432년 중추원사 이천(李狀)을 도와 간의대(簡儀臺) 제작에 착수하고 각종 천문의(天文儀) 제작을 감독하였다. 1433년 호군에 오르고 혼천의(渾天儀) 제작에 착수하여 1년 만에 완성하고 이듬해 동활자(銅活字)인 경자자(庚子字)의 결함을 보완한 금속활자 갑인자(甲寅字)의 주조를 지휘감독하였으며, 1450년에 우리 나라 최초의 물시계인 자격루를 완성하고, 1437년에는 소간의와 대간의를 비롯하여 해시계인 현주일귀, 앙부일귀, 정남일귀 등을 만들었다.1437년부터 6년 동안 천체관측용 대 ·소간의(大小簡儀), 휴대용 해시계 현주일구(懸珠日晷)와 천평(天平)일구, 고정된 정남(定南)일구, 앙부(仰釜)일구, 주야(晝夜) 겸용의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태양의 고도와 출몰을 측정하는 규표(圭表), 자격루의 일종인 흠경각(欽敬閣)의 옥루(玉漏)를 제작 완성하고 경상도 채방별감이 되어 구리·철의 채광 ·제련을 감독하였다. 1441년 세계 최초의 우량계인 측우기와 수표(水標)를 발명하여 하천의 범람을 미리 알 수 있게 했다. 측우기의 원리는 간단합니다. 그냥 측우기의 통 안에 들어간 물의 높이를 측정하여 강수량을 재는 것입니다.
Q. 백색기가 언제부터 항복을 상징하게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의 '깃발연구센터'에 따르면 고대 중국과 로마의 역사학자들이 문헌에서 똑같이 "백기 사용은 항복을 뜻한다"고 밝히고 있는 것으로 보아 1∼3세기부터 유래된 관습이라고 설명합니다. 동양에서는 중국 한(漢) 왕조(서기 25∼250년) 때 유래된 것으로 알려졌고 서양에서는 비슷한 시기인 서기 100년쯤에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로마의 코넬리우스 타키투스는 109년에 출간된 그의 저서 '역사(Histories)'에서 서기 69년에 비텔리우스 황제와 베스파시언 황제가 벌였던 크레모나 전투까지만 해도 방패를 머리 위로 올리는 것이 항복의 표시였다고 증언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왜 흰색이었을까요? 염료기술이 발달하지 않았던 시절 가장 쉽게 구할 수 있는 천인데다 전투 현장에 널린 형형색색의 깃발과 구분이 잘 됐기 때문이라고 학자들은 말합니다.한 가지 재미있는 것은, 1991년 걸프전에서는 지휘관들이 항복하지 못하게 군인들의 흰옷과 양말, 심지어 흰색 속옷까지 모두 압수하기도 했었는데, 당시 군인들은 손을 머리 뒤에 올리고 "삼촌!(Uncle!)"이라고 외치는 기지를 발휘해 투항에 성공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