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조무사 자격증
Q. 간호조무사의 정신적 건강을 지키기 위한 일상적 관리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미영 간호조무사입니다.저는 10년이 넘게 간호조무사, 간호사로써 병동 3교대로 일을 해왔어요저 같은 경우는 교대근무로 체력적으로도 너무 떨어지고 정신적으로도 업무에 대한 압박감, 동료들&의사와의 과의 의사소통에 의한 스트레스가 많았던 기억이 있어요체력이 떨어지면 정신적으로도 쉽게 지치게 되어있어요. 덩달아 업무에도 적지않은 부정적인 영향이 많이 미치게됩니다저는 3교대를 함에도 꾸준한 운동을 했습니다비용이 들지않는 혼자 할 수 있는 운동인 러닝을 주로 했어요. 정신건강전문의 들도 햇빛을 자주 보며 바람을 쐬는것을 추천하는 분들이 많습니다공간에 제한되어 오랫동안 근무하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되도록 외부에서 활동할 수 있는 운동이나 취미를 추천드립니다잠도 충분히 자는 것도 중요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간호조무사 자격증
Q. 간호조무사 시험 어떻게 하는게 효율적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미영 간호조무사입니다.국시가 얼마 남지 않았군요, 하지만 아직도 한달 반이나 남았네요. 조급하고 스트레스를 받기시작하면 공부하기에 심리적으로도 압박감이 심해져 너무 힘들 것 같아요 마음을 편안하게 하시고 차근차근 해보세요저는 시험을 준비했을때 각 과목마다 꼭 개념을 확실히 알아야하는 항목들이 있어요 개념을 먼저 잡아두시고요약정리를 한번 쭉 해보세요~기출문제는 풀어보면 반복되는 질문들도 있고, 풀다보면 내가 많이 틀리는 분야가 있어요~ 차근차근 잘 풀어보시면서 파악해보며 보충하시면 될거같아요도움이 조금이나마 되셨길 바라며좋은 결과 있으시길 응원할게요🥰
간호조무사 자격증
Q. 간호조무사가 고령 환자에게 제공하는 맞춤형 운동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미영 간호조무사입니다.고령인 노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운동은 대체로 유산소운동, 스트레칭이나 간단한 근력운동을 추천할 수 있습니다고령이기때문에 근감소증으로 인해 활동하다 낙상될 가능성이 높기에 무리하여 하지않도록 격려합니다(낙상으로 인한 골절 위험 예방)유산소운동: 걷기운동, 실내자전거타기, 수영 등이 있고, 벽을 이용한 푸쉬업, 스쿼트 또는 가벼운 생수통을 활용한 운동등이 있습니다(팔과 어깨 근육을 유지하는데 유용합니다스트레칭도 있구요앞서 작성하였지만 고령환자에게는 낙상위험에 대한 교육과 중요성을 상기하는 것 입니다
간호조무사 자격증
Q. 감연 관리 상황에서 개인 보호 장비 착용의 올바른 방법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미영 간호조무사입니다.코로나 시국에 개인 보호복을 착용하는법에 대해 많이 교육이 되었습니다이는 나를 보호하고, 타인에게도 감염에 노출을 적게 하기 위함입니다코로나 시국엔 의료진들이 레벨디(level D)를 착용하고 근무를 했었습니다제가 안내하는 방법은 일반 4종 착의법입니다1 개인보호구 착의준비(장갑은 필요에 따라 두겹 착용)2 손 씻기3가운을 입기(이중 장갑을 착용해야할 시 속장갑을 먼저 착용, 속장갑 위로 가운소매가 덮이도록)4 보건용 마스크(kf94또는 N95)를 착용5 손가락으로 마스크의 코 접촉부위를 눌러 밀착시키기6 양손으로 마스크를 움켜쥐고 불고 들이마시며 새는곳이 없는지 확인하기7 고글이나 안면보호구 착용하기8 마지막으로 장갑은 옷소매 위를 덮어 소매가 노출되지 않도록 착용하기올바르게 입는 것도 중요하나무엇보다 제일 중요한 것은 탈의하고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간호조무사 자격증
Q. 간호조무사가 외상 환자를 돌볼 때 필요한 초기 대응 지침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미영 간호조무사입니다.외상환자의 초기 대응에 대해 질문 하셨군요외상중에서도 가벼운 외상은 굳이 응습처치를 할 필요는 없지만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외상인 경우는 초기에 어떻게 대응하냐에 따라 예후가 달라집니다1 호흡을 확인하기 : 뇌손상의 경우는 4-5분 이내에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구강내 이물질이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면 즉각 제거하고 심폐소생술(CPR)을 시행합니다2 출혈부위가 있다면 압박하며 지혈하기 :동맥출혈이 발생할 시 과다 출혈로 저혈량 쇼크가 올 수 있어요깨끗한 헝겊이나 천으로 압박하여 지혈하고 다른천으로 덧대어 압박해야합니다출혈부위에 이물질이 꽂혀있더면 제거하는것은 금물입니다3 골절은 그대로 두기 :어느부위에 골절을 당했냐에 따라 억지로 움직였다가 골절된 뼈가 혈관이나 근육을 손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부목을 대는 것도 금물입니다주위에 도움을 청하고, 다중이용시설에 비치되어 있는 AED 기구나 119구 신고하고 호흡을 확인하며 위와 관련된 외상에 따른 간단한 응급처치를 해주며 기다리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