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종호 전문가
열린동해문학
역사
역사 이미지
Q.  가장 오래된 경전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서삼경이라고하며 서경은 공자가 요순 임금으로부터 주나라에 이르는 동안의 정사에 관한 문서를 수집, 편찬한 책으로 가장 오래된 경전이라고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상생을 의미하는 사자성어는 어떤게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주이불비( 두루 주, 말 이을 이, 아닐 불, 견줄 비) - 친밀하게 지내되 부정하게 살지마라 즉, 부정하게 살지말고 상생하며 살라는 사자성어라 할 수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의 왕 중에 정치를 제일 잘한 왕이 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의 제 22대 왕 정조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정조는 자신의 정적들을 제거 하는데 주력하였으며 이를 홍국영을 통해 추진하였습니다. 동시에 정조는 규장각을 설치, 인재 육성과 학문 정치 구현을 위한 발판으로 삼고자 하였고 왕위에 오른 지 4년 정도 경과한 시점까지 사신의 정적들의 제거에 일단락 성공한 정조는 이후 각종의 개혁 정책을 추진하였습니다. 정치적으로는 선왕 영조를 계승, 탕평정책을 추진하였고 그동안 정치에서 소외되었던 남인세력을 등용하여 정치에 참여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정조는 규장각을 통해 학문정치를 구현하며 인재 육성을 추진하고 연소한 문신들을 선발, 교육해 국가의 동량으로 키워 자신의 친위세력으로 확보하고자 하였습니다. 규장각 내에 검서관제도를 두어 서얼 신분인 이덕무, 유득공, 박제가 등을 등용하여 신분적 한계로 그동안 자신들의 기량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이들에게 기회를 제공하며 사회적 소통을 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온돌문화는 우리나라만 있나요? 언제부터 시작된거죠?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온돌문화는 바닥난방을 중심으로 하는 우리날의 총체적 주거문화를 말하며 전통적인 온돌은 아궁이에서 불을 붙여 그 열기가 고래를 통과하면서 바닥을 따듯하게 하는 직접 가열식 난방으로 취사와 난방이 동시에 가능한 구조였습니다. 온돌은 중국 북부지역에도 일부 공간의 바닥을 데워 사용하는 캉이 있지만 방바닥 전면을 데우는 온돌은 우리나라만의 고유한 방식이라고합니다. 온돌의 역사는 집을 짓기 시작하던 신석기시대 움집에는 노에서 피운 불로 난방과 취사, 조명을 하였고 청동기 시대에는 난방을 위한 노와 취사를 위한 부뚜막이 분리되었으며, 초기 철기시대가 되어서야 온돌의 원시형이라 할 수 있는 고래식 구들과 굴뚝 시설이 나타났고, 이후 바닥 난방의 주요 구조부인 고래는 여러 줄의 고래로 진화하다가 고려 후기에 이르러서야 방바닥 전체에 고래를 설치하고 구들장을 까는 전면 온돌 구조가 생겨났다고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신라 지증왕 이전에는 신라는 무엇으로 불렸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는 지증왕 대에 국호를 통일하기 이전까지는 사로국, 사라 등 다른 표기를 혼용하였으며 왕의 칭호는 지증왕 이전에는 거서간, 차차웅, 이사금, 마립간으로 불렸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노비도 양반이 될 수가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의 노비는 사유재산 소유가 가능했기에 이를 법적으로 보장받았고 노비가 다른 노비를 소유할 수도 있었으며 재산도 양반보다 많은 경우가 있었다고합니다. 또한 노비가 되어도 노비생활을 하면서 돈을 많이 벌어 양인 신분을 살 수도 있었다고합니다. 신분제 사회였던 조선시대 하층민들은 자연스레 양반지향의식이 많았고 조선 후기에 이르러 왜군, 호란, 기근 등으로 어려운 사회 상황이었기 떄문에 공명첩 등 신분 상승의 기회가 있었습니다. 호적 기록을 보면 꾸준한 노력을 통해 양반 집안으로 신분이 상승되었으나 전통 양반들의 세계로 진입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웠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비명횡사라는 말은 언재부터 쓰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맹자의 진심 상에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격암유록 세론시에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라고 기록되어있어 비명횡사라는 말을 사용했음을 알 수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독립운동가 남자현 의사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남자현은 1919년 3.1운동때 중국 둥베이 지방으로 건너가 서로군정서 등에서 활약하였으며 12곳에 교회를 건립하여 10개의 여성교육회를 조직하고 독립운동과 여성계몽에 힘썼다고합니다. 1925년 국내로 들어와 총독 사이토 마코토의 암살을 계획했지만 실패하고 말았고 조선 독립원이란 혈서를 작성하여 조국의 독립을 호소하였습니다. 또한 일본 장교 무토 노부요시를 살해하려고 폭탄과 무기를 가지고 가다가 체포되어 옥중에서 단식으로 항쟁하다 병보석으로 석방되었지만 하얼빈에서 순국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전통과자인 한과하고 약과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과는 한국 옛 과자를 총칭하는 이름으로 대표적인 한과의 종류로는 유밀과, 다식, 정과, 과편, 숙실과, 강정 등이 있습니다. 약과는 한국의 전통 과자로 전통적인 유밀과의 한 종류이며 고운체로 거른 밀가루에 참기름 등을 치고 거기에 조청과 술을 넣고 반죽하여 약과판에 찍어서 무늬를 새긴 후 기름에 튀겨 만듭니다. 전근대에는 기름과 꿀이 귀해서 약으로도 취급되었기에 약이라는 단어가 붙었다고 합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베트남쌀국수에는 핫소스가 꼭나오던데 핫소스도 베트남 음식재료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베트남 쌀국수 먹을때 현지 식당에서는 베트남의 식재료인 베트남산 핫소스와 함께 굴소스 혹은 피시소스, 마늘식초, 칠리 사테소스, 라임 등을 넣어먹으라고 주는데 취향에 맞게 넣어 먹으면 더욱 깊고 다양한 풍미를 더해 먹을 수있기 때문이라고합니다.
1261271281291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